<라스트 파이브 이어스> 연출에 도전한 음악감독 박칼린
작성일2008.12.11
조회수17,309
공연이 끝난 뒤 배우들 못지 않게 박수를 받는 이가 있다. 또 하나의 무대 오케스트라석을 이끄는 박칼린 음악감독이 그 주인공. <시카고> <댄싱섀도우> <렌트> <미스 사이공> <아이다> <오페라의 유령> <미녀와 야수> 등 국내 웬만한 굵직한 작품의 음악은 모두 맡다시피 해 온 데다 모국어인가 싶을 정도로 능숙하게 한국어를 구사해 뮤지컬 관객에게도 잘 알려진 음악감독이다. 그가 이번에는 뮤지컬 <라스트 파이브 이어스>로 연출에 도전했다. 2003년 그가 음악감독을 맡았던 작품이라 더 주목을 받고 있다. <라스트 파이브 이어스>의 박칼린 연출을 만났다.
처음으로 연출을 맡았다. 무대를 보니 어떤가.
내가 뜻한 바 대로 작품이 나온 것 같다. 무대 자체는 시계, 원고 이외에는 자잘한 무대 장식을 배제해 건조해 보이지만 그래서 더 배우들에게 집중할 수 있다고 본다.
연출에 도전한 음악감독으로 화제가 되고 있다.
그러게 말이다. 왜 그런가(웃음).
국내를 대표하는 음악감독이기 때문 아닐까.
기사에 스타 음악감독이라고도 나오더라. 누가 처음에 썼는지 얼굴 좀 보고싶다(웃음).
연출로 데뷔하니 어떤가.
사실 (음악감독과) 차이가 별로 없다. 음악감독이 배우에게 노래를 가르치는 건 대본을 가르치는 것과 같다. 음악이란 게 가사의 압축성이 있어서 배우들에게 연기 지도를 안 할래야 안 할 수가 없다. 특히 번역까지 해 온 경우가 많아서 대본 파악을 진짜 잘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사전 작품 파악은 때론 연출보다 더 일찍 시작해서 파고 들곤 했다.
그럼 달라진 게 없었겠다.
<라스트 파이브 이어스>처럼 노래로만 구성된 작품은 특히 그렇다. 70~80% 정도는 그렇다고 느낀다. 대신 기술적인 부분, 용어들 예를 들어 조명이나 무대 세트에 대해서는 지금도 배워가는 중이다.
음악감독으로서 엄격하다고 들었다. 연출로서도 그런가
음악 감독일 때는 진짜 잡는다. 고래고래 소리 지는 것도 많았다. 너무 음악에 예민해져 다들 긴장 하면서 작업을 해야 했다. 물론 배우들에게도 무척 엄격하다.
그런데 연출로 접근하는 건 달라진다. 일부로 그런 건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배우들을 데리고 가야 하기 때문에 작품이 몸에 익을 때까지 계속 옆에서 도와주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불 같은 성격이 안 나오더라(웃음).
<라스트 파이브 이어스>의 네 배우에 대해 말한다면.
캐스팅은 한 사람에 의해 이루어 지는 게 아니지만, 크리에이티브팀은 작품에 맞는 배우를 뽑으려고 항상 고심을 한다. 이번에는 잘 한 거 같다. 배해선씨는 스토리라인을 잘 가지고 가는 똑똑한 배우다. 이건명씨는 에너지가 있다. 동선을 끌고 가는 데 분명 힘이 있는 배우다. 양준모씨는 원래 노래꾼인데, 드라마를 잘 이해하는 노래꾼이다. 금상첨화라고 할 수 있다. 김아선씨는 자체가 가지고 있는 캐릭터가 캐시 캐릭터와 워낙 잘 맞는다. 목소리와 외모에서 자연스럽게 맞아떨어졌다. 이러 저리 조합해도 잘 해나가는 배우들이다.
연출 뿐 아니라 번역도 맡았다.
한국말로 표현 하는 건 다른 사람들보다 낫지 않을 수 있지만 자신 있는 건, 영어에서 원래 뜻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잘 캐치할 수 있단 것이다. 모국어니 당연하다. 원래 뜻하는 바를 정확히 한국어로 옮긴 후에 더 나은 표현은 주위 분들에게 도움을 받을 때도 있다. 어차피 배우들이 소화해야 하는 대사기 때문에 배우들과 상의 하기도 한다.
이번 작품도 영어 대본을 분석하는데 오래 걸렸다. 직역은 아니더라도 맛을 살리기 위해 노력했는데, 초연을 본 분들은 스토리가 좀 더 이해하기 쉬워졌단 말은 들었다.
무대에 있는 시계는 캐시와 제이미의 시간에 대해 설명을 한다. 초연 때 없었던 장치 아닌가.
시계는 없었던 거 같다. 언제든지 극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관객들이 캐시와 제이미의 시점을 확인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 놓앗다. 예쁘지 않나?(웃음). 그런데 2003년 작업이 왜 이렇게 기억이 안 날까(웃음).
전 작품이 기억이 안 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아무래도 그렇게 해야만 다음 작품에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클렌징 한다고 한다. 화장 지우듯 클렌징 타임을 항상 갖는다. 한 작품이 끝나면 다음 작품을 위해 모든 것을 싹 잊는 DNA가 공연하는 사람들에겐 있다.
수많은 작품의 음악감독을 해오며 한국뮤지컬의 역사를 함께 걸어왔다. 현재 우리 뮤지컬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작품이 너무 많은 것 같다. 특히 슬랩스틱 코미디같은 작품들이 유행을 하고 있는데, 내 스타일이 아니라 그런지 (웃음을) 벌리는 것을 별로 안 좋아한다. 하지만 지금 그런 작품이 유행을 하고 있고, 이게 당연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다들 한번 덤벼서 만들어 보고 시간이 지나면 걸러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난 TV를 무대에 옮겨 놓는 걸 난 너무나, 절실히 싫어한다. 만드는 사람이 쉽게 TV 방송처럼 만들어버리면, 관객들은 공연예술의 감동과 진한 여운을 느끼지 못하지 않나. 길게 봐서는 퀄리티 있는 작품만 살아 남을 것이라고 본다.
다음에 연출에 도전할 뜻이 있는지.
난 연출에 도전하고 싶어서 이 작품을 한 게 아니고, 이 작품을 하고 싶어서 연출을 한 거다. 왜 굳이 <라스트 파이브 이어스>라고 하면 이유는 모르겠다. 그냥 그렇게 와 닿았다. 노래로만 이루어 져서 그런지… 사실 노래로만 이뤄진 작품은 꽤 있다. <미스 사이공>도 그렇고. 그렇지만 <미스 사이공>은 연출하고 싶은 마음이 조금도 없다. 글쎄…인연이 아닐까 한다(웃음). 이작품은 처음에 할 때 나같으면 이렇게 해보겠다란 생각이 머리속에 많이 있었다.
다음 작품은 무엇인가.
렌트다. 바로 음악감독의 자리로 돌아간다(웃음).
이 작품을 관람하는 관객들에게 한 마디 해달라.
두 남녀가 사랑을 시작해서 헤어지기까지의 과정이 서로 다른 시간 순으로 흘러가는 독특한 형식의 뮤지컬이다. 떠들썩 하진 않지만 사람 이야기가 있는 작품이니까 오셔서 함께 즐길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글: 송지혜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song@interpark.com)
사진: 다큐멘터리 허브(club.cyworld.com/docuherb)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처음으로 연출을 맡았다. 무대를 보니 어떤가.
내가 뜻한 바 대로 작품이 나온 것 같다. 무대 자체는 시계, 원고 이외에는 자잘한 무대 장식을 배제해 건조해 보이지만 그래서 더 배우들에게 집중할 수 있다고 본다.
연출에 도전한 음악감독으로 화제가 되고 있다.
그러게 말이다. 왜 그런가(웃음).
국내를 대표하는 음악감독이기 때문 아닐까.
기사에 스타 음악감독이라고도 나오더라. 누가 처음에 썼는지 얼굴 좀 보고싶다(웃음).
연출로 데뷔하니 어떤가.
사실 (음악감독과) 차이가 별로 없다. 음악감독이 배우에게 노래를 가르치는 건 대본을 가르치는 것과 같다. 음악이란 게 가사의 압축성이 있어서 배우들에게 연기 지도를 안 할래야 안 할 수가 없다. 특히 번역까지 해 온 경우가 많아서 대본 파악을 진짜 잘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사전 작품 파악은 때론 연출보다 더 일찍 시작해서 파고 들곤 했다.
그럼 달라진 게 없었겠다.
<라스트 파이브 이어스>처럼 노래로만 구성된 작품은 특히 그렇다. 70~80% 정도는 그렇다고 느낀다. 대신 기술적인 부분, 용어들 예를 들어 조명이나 무대 세트에 대해서는 지금도 배워가는 중이다.
음악감독으로서 엄격하다고 들었다. 연출로서도 그런가
음악 감독일 때는 진짜 잡는다. 고래고래 소리 지는 것도 많았다. 너무 음악에 예민해져 다들 긴장 하면서 작업을 해야 했다. 물론 배우들에게도 무척 엄격하다.
그런데 연출로 접근하는 건 달라진다. 일부로 그런 건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배우들을 데리고 가야 하기 때문에 작품이 몸에 익을 때까지 계속 옆에서 도와주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불 같은 성격이 안 나오더라(웃음).
<라스트 파이브 이어스>의 네 배우에 대해 말한다면.
캐스팅은 한 사람에 의해 이루어 지는 게 아니지만, 크리에이티브팀은 작품에 맞는 배우를 뽑으려고 항상 고심을 한다. 이번에는 잘 한 거 같다. 배해선씨는 스토리라인을 잘 가지고 가는 똑똑한 배우다. 이건명씨는 에너지가 있다. 동선을 끌고 가는 데 분명 힘이 있는 배우다. 양준모씨는 원래 노래꾼인데, 드라마를 잘 이해하는 노래꾼이다. 금상첨화라고 할 수 있다. 김아선씨는 자체가 가지고 있는 캐릭터가 캐시 캐릭터와 워낙 잘 맞는다. 목소리와 외모에서 자연스럽게 맞아떨어졌다. 이러 저리 조합해도 잘 해나가는 배우들이다.
연출 뿐 아니라 번역도 맡았다.
한국말로 표현 하는 건 다른 사람들보다 낫지 않을 수 있지만 자신 있는 건, 영어에서 원래 뜻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잘 캐치할 수 있단 것이다. 모국어니 당연하다. 원래 뜻하는 바를 정확히 한국어로 옮긴 후에 더 나은 표현은 주위 분들에게 도움을 받을 때도 있다. 어차피 배우들이 소화해야 하는 대사기 때문에 배우들과 상의 하기도 한다.
이번 작품도 영어 대본을 분석하는데 오래 걸렸다. 직역은 아니더라도 맛을 살리기 위해 노력했는데, 초연을 본 분들은 스토리가 좀 더 이해하기 쉬워졌단 말은 들었다.
무대에 있는 시계는 캐시와 제이미의 시간에 대해 설명을 한다. 초연 때 없었던 장치 아닌가.
시계는 없었던 거 같다. 언제든지 극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관객들이 캐시와 제이미의 시점을 확인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 놓앗다. 예쁘지 않나?(웃음). 그런데 2003년 작업이 왜 이렇게 기억이 안 날까(웃음).
전 작품이 기억이 안 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아무래도 그렇게 해야만 다음 작품에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클렌징 한다고 한다. 화장 지우듯 클렌징 타임을 항상 갖는다. 한 작품이 끝나면 다음 작품을 위해 모든 것을 싹 잊는 DNA가 공연하는 사람들에겐 있다.
수많은 작품의 음악감독을 해오며 한국뮤지컬의 역사를 함께 걸어왔다. 현재 우리 뮤지컬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작품이 너무 많은 것 같다. 특히 슬랩스틱 코미디같은 작품들이 유행을 하고 있는데, 내 스타일이 아니라 그런지 (웃음을) 벌리는 것을 별로 안 좋아한다. 하지만 지금 그런 작품이 유행을 하고 있고, 이게 당연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다들 한번 덤벼서 만들어 보고 시간이 지나면 걸러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난 TV를 무대에 옮겨 놓는 걸 난 너무나, 절실히 싫어한다. 만드는 사람이 쉽게 TV 방송처럼 만들어버리면, 관객들은 공연예술의 감동과 진한 여운을 느끼지 못하지 않나. 길게 봐서는 퀄리티 있는 작품만 살아 남을 것이라고 본다.
다음에 연출에 도전할 뜻이 있는지.
난 연출에 도전하고 싶어서 이 작품을 한 게 아니고, 이 작품을 하고 싶어서 연출을 한 거다. 왜 굳이 <라스트 파이브 이어스>라고 하면 이유는 모르겠다. 그냥 그렇게 와 닿았다. 노래로만 이루어 져서 그런지… 사실 노래로만 이뤄진 작품은 꽤 있다. <미스 사이공>도 그렇고. 그렇지만 <미스 사이공>은 연출하고 싶은 마음이 조금도 없다. 글쎄…인연이 아닐까 한다(웃음). 이작품은 처음에 할 때 나같으면 이렇게 해보겠다란 생각이 머리속에 많이 있었다.
다음 작품은 무엇인가.
렌트다. 바로 음악감독의 자리로 돌아간다(웃음).
이 작품을 관람하는 관객들에게 한 마디 해달라.
두 남녀가 사랑을 시작해서 헤어지기까지의 과정이 서로 다른 시간 순으로 흘러가는 독특한 형식의 뮤지컬이다. 떠들썩 하진 않지만 사람 이야기가 있는 작품이니까 오셔서 함께 즐길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글: 송지혜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song@interpark.com)
사진: 다큐멘터리 허브(club.cyworld.com/docuherb)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