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두 여자는 왜 함께 죽음을 택했나?
작성일2016.12.22
조회수3,093
창작뮤지컬 '콩칠팔 새삼륙' 4년 만에 앙코르
1930년대 동성애 빠졌던 실존 인물 이야기
이나오 연출 "시대 속에서 사랑 다루게 돼"
내년 1월 8일까지 대학로 아트원씨어터에서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1931년 4월, 경성의 영등포역 기차선로에 젊은 여성 두 명이 함께 뛰어들었다. 사람들은 꽃다운 나이에 죽음을 선택한 그들을 철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과연 이들은 정말로 철이 없어서 이런 무모한 선택을 한 것일까. 죽음을 결심하기까지 두 사람에겐 도대체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
일제강점기에 일어난 실제 사건을 소재로 한 창작뮤지컬 ‘콩칠팔 새삼륙’이 4년 만에 앙코르공연으로 돌아온다. 실존 인물인 홍옥임, 김용주의 실화를 바탕으로 시대에 맞서 꿈과 사랑, 자유를 선택한 두 여성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작곡가 이나오가 2008년부터 구상을 시작해 2011년 첫 선을 보였다. 이번엔 연출까지 직접 맡아 초연보다 달라진 버전을 선보인다.
21일 서울 종로구 동숭동 아트원씨어터에서 연 하이라이트 시연회에서 이 연출은 “초연에선 두 여자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에 집중했다면 이번엔 시대 속에서 사랑 이야기를 다루는 것으로 관점이 자연스럽게 바뀌었다”며 “시대 안에서 여성을 다루기 위해선 남성을 다뤄야 한다는 것, 우리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우리 윗세대의 이야기를 해야 한다는 것 등을 생각했다. 여러 가지로 확장성을 갖춘 작품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재연엔 ‘퍼-플시대’란 부제가 붙는다. 서양과 동양, 새로운 문화와 오래된 관습이 혼재하던 1930년대 경성을 ‘자주빛’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퍼-플 살롱’이란 공간을 새로 추가했다. 옥임의 아버지의 불륜상대로 용주를 위기에서 구하는 여인 화동이 운영하는 살롱이다. 이곳에서 여성들은 자신의 가면을 벗고 욕망에 충실한 당당한 모습이 된다. 용주와 옥임이 서로의 감정에 솔직해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 연출은 “화동을 통해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고 털어놨다. 그는 “우리 작품은 여성들의 이야기다. 이번엔 시대에 마냥 당당할 수만은 없었던 여성이 당당한 여성들의 모습을 바라보는 심정을 다루고 싶었다. 옥임과 용주의 당당함, 이를 바라보는 동화의 시선을 평행선처럼 가져가고자 했다”고 밝혔다.
동성애란 다소 파격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지만 이를 부각시킬 생각은 없다. 이 연출은 “홍옥임, 김옥주의 이야기에 처음 끌렸던 이유는 ‘연민’이었다”며 “남들이 보기에 다 가진 것 같은 여성에게도 아픔과 고달픔이 있었기에 이런 선택을 했을 거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제목인 ‘콩칠팔 새삼륙’은 지금은 ‘콩팔칠팔’로 쓰는 말로 ‘남의 일에 대해 시시콜콜 떠드는 것’을 뜻한다. 이 연출은 “‘콩칠팔 새삼륙’ 같이 하는 말이 누군가를 옭아맬 수도 있다. 옥임과 홍주가 그랬을 것이다. 그럼에도 당당하게 사랑과 죽음을 선택한 그들이 아름답게 느껴졌다”며 “이런 부분이 ‘퍼-플시대’란 부제와도 이어진다고 본다”고 했다.
최근 들어 동성애를 바라보는 시선이 관대해진 것도 사실이다. 영화 ‘아가씨’의 흥행이 이를 잘 보여준다. 그러나 이 연출의 생각은 “지금 시대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지금은 동성애를 잘 알지 못하면 시대에 뒤쳐지는 것 같이 보여 어떻게든 받아들이려고 하는 것 같다. 오히려 동성애자로서의 삶을 선택해 당당하게 사는 건 지금 시대에도 여전히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아가씨’의 영향으로 이 작품을 다시 올리게 된 건 아니다. 다만 시대 분위기가 완화된 만큼 이런 기회에 다시 이들의 이야기를 해야한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초연에서 옥임과 용주를 연기한 배우 최미소, 신의정이 이번에도 다시 호흡을 맞춘다. 내년 1월 8일까지 대학로 아트원씨어터에서 공연한다.
|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1931년 4월, 경성의 영등포역 기차선로에 젊은 여성 두 명이 함께 뛰어들었다. 사람들은 꽃다운 나이에 죽음을 선택한 그들을 철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과연 이들은 정말로 철이 없어서 이런 무모한 선택을 한 것일까. 죽음을 결심하기까지 두 사람에겐 도대체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일까.
일제강점기에 일어난 실제 사건을 소재로 한 창작뮤지컬 ‘콩칠팔 새삼륙’이 4년 만에 앙코르공연으로 돌아온다. 실존 인물인 홍옥임, 김용주의 실화를 바탕으로 시대에 맞서 꿈과 사랑, 자유를 선택한 두 여성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작곡가 이나오가 2008년부터 구상을 시작해 2011년 첫 선을 보였다. 이번엔 연출까지 직접 맡아 초연보다 달라진 버전을 선보인다.
21일 서울 종로구 동숭동 아트원씨어터에서 연 하이라이트 시연회에서 이 연출은 “초연에선 두 여자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에 집중했다면 이번엔 시대 속에서 사랑 이야기를 다루는 것으로 관점이 자연스럽게 바뀌었다”며 “시대 안에서 여성을 다루기 위해선 남성을 다뤄야 한다는 것, 우리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우리 윗세대의 이야기를 해야 한다는 것 등을 생각했다. 여러 가지로 확장성을 갖춘 작품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재연엔 ‘퍼-플시대’란 부제가 붙는다. 서양과 동양, 새로운 문화와 오래된 관습이 혼재하던 1930년대 경성을 ‘자주빛’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퍼-플 살롱’이란 공간을 새로 추가했다. 옥임의 아버지의 불륜상대로 용주를 위기에서 구하는 여인 화동이 운영하는 살롱이다. 이곳에서 여성들은 자신의 가면을 벗고 욕망에 충실한 당당한 모습이 된다. 용주와 옥임이 서로의 감정에 솔직해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
이 연출은 “화동을 통해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고 털어놨다. 그는 “우리 작품은 여성들의 이야기다. 이번엔 시대에 마냥 당당할 수만은 없었던 여성이 당당한 여성들의 모습을 바라보는 심정을 다루고 싶었다. 옥임과 용주의 당당함, 이를 바라보는 동화의 시선을 평행선처럼 가져가고자 했다”고 밝혔다.
동성애란 다소 파격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지만 이를 부각시킬 생각은 없다. 이 연출은 “홍옥임, 김옥주의 이야기에 처음 끌렸던 이유는 ‘연민’이었다”며 “남들이 보기에 다 가진 것 같은 여성에게도 아픔과 고달픔이 있었기에 이런 선택을 했을 거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제목인 ‘콩칠팔 새삼륙’은 지금은 ‘콩팔칠팔’로 쓰는 말로 ‘남의 일에 대해 시시콜콜 떠드는 것’을 뜻한다. 이 연출은 “‘콩칠팔 새삼륙’ 같이 하는 말이 누군가를 옭아맬 수도 있다. 옥임과 홍주가 그랬을 것이다. 그럼에도 당당하게 사랑과 죽음을 선택한 그들이 아름답게 느껴졌다”며 “이런 부분이 ‘퍼-플시대’란 부제와도 이어진다고 본다”고 했다.
최근 들어 동성애를 바라보는 시선이 관대해진 것도 사실이다. 영화 ‘아가씨’의 흥행이 이를 잘 보여준다. 그러나 이 연출의 생각은 “지금 시대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지금은 동성애를 잘 알지 못하면 시대에 뒤쳐지는 것 같이 보여 어떻게든 받아들이려고 하는 것 같다. 오히려 동성애자로서의 삶을 선택해 당당하게 사는 건 지금 시대에도 여전히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아가씨’의 영향으로 이 작품을 다시 올리게 된 건 아니다. 다만 시대 분위기가 완화된 만큼 이런 기회에 다시 이들의 이야기를 해야한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초연에서 옥임과 용주를 연기한 배우 최미소, 신의정이 이번에도 다시 호흡을 맞춘다. 내년 1월 8일까지 대학로 아트원씨어터에서 공연한다.
|
▶ 당신의 생활 속 언제 어디서나 이데일리 ‘신문 PDF바로보기’
▶ 스마트 경제종합방송 ‘이데일리 TV’ | 모바일 투자정보 ‘투자플러스’
▶ 실시간 뉴스와 속보 ‘모바일 뉴스 앱’ | 모바일 주식 매매 ‘MP트래블러Ⅱ’
▶ 전문가를 위한 국내 최상의 금융정보단말기 ‘이데일리 마켓포인트 3.0’ | ‘이데일리 본드웹 2.0’
▶ 증권전문가방송 ‘이데일리 ON’ 1666-2200 | ‘ON스탁론’ 1599-2203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