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우주를 노래하다, 극작가 배삼식

연극 ‘하얀앵두’는 인간에 대한 이야기다. 두산아트센터 Space111에서 공연 중인 이 작품은 5억 년 전 캄브리아기 지층이 있던 강원도 영월을 배경으로 했다. 무대는 향토적인 강원도 사투리와 화석, 인물들의 이름에도 숨겨져 있는 온갖 꽃과 나무들로 채워진다. 특히 극의 제목이자 주인공 반아산(雅蒜)이 어린 시절 할아버지 마당에서 봤다던 ‘하얀앵두’는 실제 작가 배삼식의 유년시절 기억 속에서 모티브를 가져온 것이기도 하다.

 

2009년 과학연극 시리즈의 한 작품으로 초연됐던 연극 ‘하얀앵두’는 그가 처음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 놓은 작품이기도 하다. 그동안 ‘벽 속의 요정’, ‘허삼관 매혈기’ 등 원작이 있는 작품들을 주로 각색해 선보였던 작가 배삼식은 이 작품을 통해 할아버지와 ‘하얀앵두’에 대한 흐릿한 기억을 토대로 켜켜이 쌓인 지나간 시간들을 겹쳐 보인다.

 

- 앵두가 익어가는 시간

 

연극 ‘하얀앵두’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모두 각각의 한계와 약점을 갖고 있다. 주인공 아산은 퇴물 작가이고, 그의 아내 영란은 아이를 낳지 못한다. 지질학과 교수 오평은 죽은 아내에 대한 괴로움과 상처가 남아있고, 조교 소영은 그런 오평을 짝사랑한다. 아산의 딸 지연은 일곱 살 때 입양돼 길러졌다.

 

“누구나 다 결핍이 있죠. 상처 없는 사람은 없잖아요. 소리 내서 우는 자만, 악에 받쳐 고래고래 소리 지르는 자만 아픔이 있는 건 아니니까. 단지 그런 생각을 해봤어요. 물론 삶은 고통스럽죠. 사람들이 그것을 어떻게 끌어안고 살아가는가, 우리는 어디에서 무엇을 바라보면서 그 고통을 견뎌야 하는가, 나름대로 이런 질문들을 던진 거예요. 고통을 날 것 그대로 보여주기 보다는 각각의 사람들이 그 결핍과 상처를 어떻게 끌어안고 사는지, 안으로 썩는지 어쩐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떻게 견디고들 사는지 하는 것들을 조용히 들여다보고 싶었어요.”

 

극 중 인물들은 각자 심각한 상황을 맞닥뜨려 괴로워하다가도 암전이 되고 조명이 켜지면 다시 아무렇지도 않게 일상을 살아간다. 갈등이 크게 부각되지도 고통을 절절하게 표현하지도 않는다. 작가 배삼식은 “실제 우리 삶은, 제가 보는 삶은 그런 식이 아닌가. 시간이라는 것이 해결해주는 게 있기도 하잖아요. 작품 속에 갈등이 없다기 보다는 갈등을 바라보는 시선이 다를 뿐인 거죠. 클라이매틱한 극 구조에 익숙한 분들은 너무 해결이 쉽지 않느냐고 말씀하시기도 하지만 고의적으로 전통적인 극 구조를 비껴간 부분도 있어요”라고 설명했다.

 

날 것 그대로의 고통을 들이대는 최근 작품의 흐름과 반대로 연극 ‘하얀앵두’는 치열한 갈등과 클라이맥스가 빠진 빈자리에 반복과 대구가 자리 잡았다. 연극적인 재미가 가득하다. “작품을 쓸 때 억지웃음은 안됐으면 좋겠다고 생각 했어요. 미묘한 타이밍이나 배우 개개인의 개인기에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삶 자체에서 벌어지는 반복이나 역지사지 같은 웃음을 진지함과 함께 뒤섞어 보여주고 싶었죠. 아주 진지한 순간에도 그 사람들만 있었다면 비극이었을 거예요. 거울처럼 이 상황을 반대편에서 보는 눈들이 한 구석에 하나씩 있죠. 나름대로는 배치하면서 무거움으로부터 벗어나려고 했고, 실제로도 또 그렇고 실제 우리 삶이.”

 

그의 말처럼 인생은 아이러니다. 울다가도 웃고 고통스럽다가도 곧 배가 고파진다. 극 중 지질학자 권오평은 첫 장면부터 5억 년의 시간을 버텨낸 화석이야기를 늘어놓는다. 영원이라는 건 이처럼 무책임하다. 술에 취한 어느 날 그는 울부짖는다. “난 영원이 싫어! 싫다고! 싫단 말이야!” 작가 배삼식은 이 작품을 통해 사라짐, 소멸에 대해 이야기한다. “소멸이라는 게 사라진다는 뜻만이 아니고 타오를 ‘소’에다가 멸할 ‘멸’자를 써서 모든 게 한 순간에 확 피었다가 사라지는 걸 의미해요. 사람들은 사라질 운명들을 될 수 있으면 안 보려고 하지만 우리는 이미 그것들이 사라질 거라는 걸 알고 있어요. 무의식중에 사라지더라도 어떤 흔적을 남기고 싶어 하고. 그런 것을 통해서 영원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를 불확실하지만 가져보는 것 같아요.”

 

연극 ‘하얀앵두’는 그 포스터의 노란 색감만큼이나 따뜻하다. 작가 배삼식은 “작품을 쓸 때 따뜻함이라는 건 갈망으로 보여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어느 정도의 불편함은 남아 있길 바랐죠. 저 사람들이 얼마나 따뜻함을 갈망하고 있고, 속이 쓰리고 외롭고, 스스로 채울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저러고 있는가 하는 것들을 동시에 보여주고 싶었어요.”

 

극 중 곽씨 영감과 반아산은 집 마당가를 둘러 탱자나무를 심는다. 가을과 겨울이 가고 봄이 오면 이 메마른 가지에서도 꽃을 틔울 것이다. “영상이었다면 마지막 장면을 에덴이다 파라다이스처럼 보여줄 수도 있었겠지만 무대에서는 상상력이 필요해요. 중극장 정도의 규모가 돼서 소켓으로 한 번에 밀고 들어와 무대를 채울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게 불가능하다면 꽃은 관객들의 상상 속에 맡겨두고 싶어요.”

 

연극 ‘하얀앵두’는 오는 8월 29일까지 두산아트센터 Space111에서 공연된다.


 

 

글,사진_뉴스테이지 최나희 기자(newstage@hanmail.net)



[공연문화의 부드러운 외침 ⓒ뉴스테이지 www.newstage.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