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하기 위해 무대에 오른다”, 뮤지컬배우 이건명

이건명은 보기만 해도 기분이 좋아지는 배우다. “행복하기 위해 무대에 오른다”고 말하는 그는 뮤지컬 ‘렌트’, ‘틱틱붐’, ‘맘마미아’, ‘미스사이공’, ‘로미오와 줄리엣’ 등으로 꾸준히 필모그래피를 채우고 있다. 이건명은 최근 뮤지컬 ‘잭더리퍼’에서 살인마 ‘잭’ 역을 맡아 열연을 펼쳤다. 이제 다가오는 9월 1일 무대 위에서 살기를 내뿜던 잭에서 변신해 연극 ‘국화꽃향기’에서 지고지순한 사랑을 펼칠 예정이다. 인터뷰 내내 힘 있는 목소리로 쾌활한 에너지를 뿜어대던 배우 이건명과 연극 ‘국화꽃향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 연극 ‘국화꽃향기’에서 맡은 역을 소개한다면?
 
연극 ‘국화꽃향기’의 ‘승우’는 ‘소나무 같은 남자’다. 극 중에서도 소나무로 표현된다. 7년간 한 여자만 사랑하면서 일편단심 바라보는 것은 힘든 일이다. 하지만 ‘승우’는 그런 캐릭터다. 마지막 ‘미주’가 떠나는 길까지도 참고 바라봐준다.

 

- 요즘 뮤지컬 ‘잭더리퍼’에서 잔인한 살인마 역을 하고 있다. 연극 ‘국화꽃향기’에서는 지고지순한 남자다. 그 두 가지 캐릭터를 오가는 일을 병행하기가 힘들진 않았나. (뮤지컬 ‘잭더리퍼’는 8월 14일 막을 내렸다. 그는 인터뷰 당시 뮤지컬 ‘잭더리퍼’에 출연 중이었다.)

 

쉽지만은 않다. 왜 ‘거짓말을 하면서도 거짓말을 사실이라고 믿는’ 정신병이 있지 않나. 배우란 그런 정신병을 앓는 사람이다. 내가 실제로 살인마는 아니지만 무대에서는 살인마라고 믿는다. 뮤지컬 ‘잭더리퍼’의 공연이 있는 날은 살인마가 되기 위해 평소보다 극장에 먼저 가서 몰입을 시작한다. 무대에 오르면 다른 생각이 머릿속에 남아있기 때문에 최대한 그 생각들을 떨치려고 하는 것이다. 살인마로서 ‘잭’이라는 캐릭터를 몸에 가득 채우고 공연하려고 노력한다. 나는 안 좋은 일이 있으면 극장에 일찍 간다. 머리에 그 일을 담고 들어가면 공연 중간에 안 좋은 일이 계속 떠올라 집중이 잘 안 된다. 머릿속에 남아있는 생각을 최소화하려고 한다.

 

- ‘국화꽃향기’ 속 ‘승우’는 요즘 세상에 없을 것 같은 남자다. 연극 속 ‘승우’의 모습을 어떻게 이끌어 내려고 했나.

 

‘승우’가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인물이라면 딱 내 나이다. 내가 91학번인데 ‘승우’가 대학을 다녔던 그 시기와 거의 맞아떨어진다. 대학 시절의 ‘승우’와 ‘미주’를 그려보면 내 대학시절 같다. 작품을 준비하면서도 대학시절의 추억을 계속 끄집어냈다. 당시는 핸드폰이 아니라 삐삐만 있던 시기였다. 마음을 전할 때도 손편지를 쓰던 시절이다. 지금 2011년을 사는 젊은이도 그렇고 누구나 한 번쯤은 지고지순한 사랑을 해봤을 거다. 내가 대학을 다닐 때는 그런 지고지순한 사랑이 더 흔했다. 바라만 보는 사랑이 낯설지 않은 시대였다. ‘나이트클럽’을 가도 남자가 정중하게 대시하던 때였다. 같은 시대를 공유해서 그런지 나는 ‘승우’의 마음을 정말 많이 헤아릴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음성 녹음을 남기고 답변을 기다리던 심정이 어떤 심정인지 잘 안다. 캐릭터의 모습을 꺼내는 일이 어렵지는 않은 것 같다. 내 나이 또래의 관객이 보신다면 추억들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 ‘승우’ 역은 이건명 배우와 박상훈 배우가 더블 캐스팅됐다. 박상훈 배우의 ‘승우’에 대해 기대평을 남긴다면?

 

아직은 연습에 깊게 들어가지 않았다. 박상훈 배우는 굉장히 담백하다. 사람 자체가 담백하다고 해야 하나? ‘담백한 남자’가 가진 매력이 있다.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웃음) 좋은 예는 아닌데, 무뚝뚝한 남자의 매력과 비슷하다. 프랑스 남자의 매너, 이탈리아 남자의 느끼함, 경상도 남자의 거침 등이 가미되지 않은 그냥 한 남자다. 표현이 잠 어렵다. 이것이 매력이다. 사람의 담백한 매력은 인력으로 만들려 해도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박상훈 배우의 그 타고난 천성이 지고지순한 기다림의 ‘승우’와 참 잘 어울린다.

 

- 그렇다면 이건명 배우의 '승우'는 어떤 모습인가.

 

나의 ‘승우’를 내가 설명하는 것은 잘 못하겠다.(웃음) 어려운 것 같다. 나는 대본에 있는 대로 ‘승우’의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다.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에서 뮤지컬 ‘투란도트’를 할 때 연극 ‘국화꽃향기’의 대본을 받았다. 밤 공연을 마치고 숙소로 가서 읽었는데 정말 많이 울었다. 책의 감동을 영화나 연극 매체가 따라가지 못하는 것은 독자의 상상과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한 면에서 책을 읽고 상상한 등장인물의 모습이 가장 ‘나’스러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지금은 이건명이 상상했던 ‘승우’를 쫓아가는 중이다.

 

- 영화 ‘국화꽃향기’에서 ‘승우’ 역을 박해일 배우가 했었다. 관객에게 각인되어 있는 박해일의 ‘승우’에 대한 부담감은 없었나.
 
부담감은 잘 안 느낀다. 내 연기에 자신 있어서 그러는 것이 아니다.(웃음) ‘국화꽃향기’ 영화도 일부러 안 봤다. ‘영화라는 장르의 표현’과 ‘연극이라는 장르’의 표현이 절대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오히려 박해일 배우의 연기를 보는 것은 이 작품에 도움이 안 될 것 같다.  그의 연기를 내가 따라 한다고 해서 그만큼 연기를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또 그의 연기를 일부러 피하려고 한다면 정말 좋은 부분을 표현하지 않는 실수를 범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분을 염두에 두다 보면 ‘자신의 연기’를 못한다. 이건 정말 자신감이 넘쳐서 그러는 것이 아니라 작품을 위해서 영화를 염두에 두지 않는 것이다.

 

- 연극 ‘국화꽃향기’가 원작 소설이나 동명의 영화와는 차별화되는 점이 있다면 어떤 부분들이 있을까?

 

영화는 아직 못 봐서 잘 모르겠다. 제작발표회 때 많은 분들이 ‘너 이번에 최루성 연극 하는구나’라고 하셨다. 연극 ‘국화꽃향기’에 대해 많은 분들이 ‘울리는 연극, 슬픈 연극’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이 작품의 대본을 보고 ‘슬퍼서 슬픈 것이 아니라, 아름다워서 슬픈 작품’이라고 느꼈다. 이 작품이 슬픈 것은 이들의 사랑이 너무나 아름다워서다. 제작발표회 날, 행사를 마치고 간단한 ‘맥주 자리’가 있었다. 작가님도 연출님도 다들 나처럼 생각하고 계셨더라. 울리려고, 슬프려고 하다 보면 신파가 되지 않나. 작품을 만드는 모두가 신파적인 생각은 안 하고 있다. 소설 ‘국화꽃향기’를 쓰신 김하인 작가님도 ‘아름다워서 슬픈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소설에서도 독자들이 그렇게 느끼길 원하셨던 것 같다. 우리 작품은 이 부분을 지향해서 만들어 갈 것 같다.

 

- 연극 ‘국화꽃향기’의 명장면을 꼽는다면 어떤 장면일까.

 

‘승우’는 라디오 PD다. ‘승우’는 ‘미주’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를 DJ의 입으로 라디오를 통해 전달한다. ‘미주’도 ‘승우’의 이야기를 라디오를 통해 듣고 그에게 하고 싶은 말을 DJ의 입을 빌어서 전한다. 그러한 장면이 정말 아름다운 것 같다. 지금처럼 문자나 전화로 하는 소통이 아니다. ‘그 사람이 듣고 있을 거야’라고 생각하며 쓰는 사연과 ‘그 사람’이 라디오를 듣고 다시 사연을 보내는 모습이 정말 정말 예쁘다. 예전에는 정말 그랬다. 라디오 프로그램에 노래를 신청하면서 ‘같은 반 누구누구와 함께 듣겠다’고 적어 보낸다. 그 반 친구들이 다 모여서 듣고 있다가 자신의 이름이 나오면 ‘내 이름 나왔다!’고 흥분했었다.(웃음) 그런 시절이 있었다.

 

- 대학시절을 떠올리거나, 여러 추억을 떠올리면서 연습했다면 재미있는 부분도 있겠다. 연습 기간에 재미있었던 에피소드는 없었나.

 

슬픈 작품을 연습하면 연습실은 울음바다다.(웃음) 어제도 하루 종일 울다 왔다. 연습 때 많이 울지 않으면 공연 때 정말 슬퍼져서 공연을 제대로 못 한다. 연습하는 기간 동안 충분히 울어놔야 공연 때 제정신을 찾을 수 있다. 정말 많이 슬퍼서 엉엉 울다 보면 어느 순간 객관적이 되는 거다. 지금 ‘승우’의 ‘미주’의 사랑이 지금 아파야 공연할 때는 아픔이 무뎌져서 그 사랑을 객관적으로 연기할 수 있게 된다. 배우가 슬퍼서 엉엉 울어버리면 관객은 배우가 울기 때문에 같이 울게 된다. 그것이 아니라 배우가 정확하게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사랑을 잘 전달해서 관객의 눈가를 적셔야 한다.

 

- 연극 ‘국화꽃향기’의 자랑을 대놓고 해보자.(웃음)

 

대놓고 해도 되는 건가.(웃음) 인간의 감성이 가장 충만한 시기가 바로 ‘가을’이다. 낙엽과 가을빛은 아름다우면서 아련하다. 내가 나이가 있기 때문이 아니라 어릴 때부터 가을에는 늘 그랬던 것 같다. 가을에는 충만해진 자신의 감성을 마음껏 즐겨보는 것도 좋다. 우리는 관객의 감성을 마구 건드릴 것이다.(웃음) 슬픔으로만이 아니라, 1막에선 아주 아름답고 예쁜 장면으로 관객을 괴롭힐 거다. 가을에 충만해진 감성을 몸 안에 두지 말고 즐기셨으면 한다. 연극 ‘국화꽃향기’는 그러한 감성들을 즐기기에 좋은 작품이다.

 

- 연극 ‘국화꽃향기’ 이후에 작품 계획이 있나.

 

연말에 뮤지컬 ‘미스사이공’을 다시 하게 될 것 같다. 대구 공연으로 시작해 대전, 울산을 들려 성남에서 할 예정이다.

 

- 마지막 질문이다. 관객에게 어떤 배우로 기억에 남고 싶나.

 

나는 뮤지컬을 시작한 이유가 인생을 살면서 가장 행복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 생각해 보니 ‘무대 위에서 연기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무대에 서면서 있었던 잠깐의 슬럼프 기간 때도 ‘내 인생이 행복할 수 있는 길’을 찾았더니 ‘무대가 답’이었다. 지금도 무대에서 가장 행복하다. 행복은 바이러스와 같다. 행복한 사람을 보면 다른 사람도 함께 행복해진다. 내가 무대 위에서 ‘죽음’이나 ‘슬픔’, ‘살인마’를 연기한다 하더라도 그것들이 궁극적으로는 감정을 정화시켜 누군가의 삶을 행복하게 해 주는 소스가 된다. 나는 관객들에게 그런 소스가 되고 싶다. 내가 어떠한 캐릭터를 연기하든 공연을 본 관객이 단 한 뼘이라도 행복해 질 수 있었으면 좋겠다.

 


뉴스테이지 정지혜 기자 newstage@hanmail.net

 



[공연문화의 부드러운 외침 ⓒ뉴스테이지 www.newstage.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