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대의 아들딸, 지치지 말고 힘냈으면” 연극 ‘선녀씨 이야기’ 이삼우 연출가
과거 개그우먼 신보라가 고향인 ‘거제도’를 배경으로 개그 프로그램을 선보인 적 있다. 프로그램 속 거제도는 순박함이 묻어나는 그야말로 ‘시골 마을’이었다. 최근 그 ‘시골 마을’ 거제도에 ‘수작’이라는 이름을 달고 한 편의 연극이 탄생했다. 이삼우 연출가가 자전적 이야기로 써내려간 연극 ‘선녀씨 이야기’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연극 ‘선녀씨 이야기’는 2012년 경남연극제 대상 수상을 시작으로 거침없는 행보를 이어나갔다. 전국연극제에 참가해 대상(대통령상), 희곡상, 최우수연기상 등 주요 부문을 휩쓸었고, 곧이어 서울 공연 제작이 결정됐다. 8월 중순 서울 공연을 앞두고 7월 26일 합정동의 연습실 근처 카페에서 만난 이삼우 연출가는 정겨운 사투리로 환한 인사를 건넸다. “더 많은 관객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다”는 그의 소망이 이뤄져서일까. 투박한 사투리에 즐거운 기색이 실려 있는 것 같았다. 8월 16일부터 약 한 달간 대학로뮤지컬센터 중극장 무대에 오를 연극 ‘선녀씨 이야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 연극 ‘선녀씨 이야기’는 거제도에서 제작돼 상업 프로덕션까지 왔다.
인터뷰할 때 ‘왜 서울에 진출하지 않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그때마다 ‘어디’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어떻게’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이런 나름대로의 철학을 갖고 연극을 해왔고, 그 첫 번째 결과물이 연극 ‘선녀씨 이야기’라 생각한다.
애초부터 서울 진출이 목적은 아니었다. 개인적으로는 작품이 보다 더 많은 관객을 만났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다. 후원 업체와 극단 자비로 예산을 만들어 서울 공연을 준비하고 있던 때, 지금의 기획사(PS엔터테인먼트)가 다가와 줬다. 기획사 대표가 김해에서 연극을 하던 친구인데, 이 작품의 소문을 듣고 같이 하자고 한 것이다. 아마 극단이 하려고 했다면 이렇게 큰 규모의 작품이 되지는 못했을 거다. 연극 ‘선녀씨 이야기’가 갖고 있는 고유한 힘과 작품성을 잃지 않는 선에서 상업 프로덕션을 진행하고 있다. 이렇게 좋은 제작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어서 감사하다.
- 현재 작업 환경은 지역 극단의 환경과 차이가 많이 날 텐데.
많이 난다. 지역 극단은 염세적인 환경에서 작업한다. 전문 스태프진이 거의 없다. 요즘은 조명과 무대 부분에서 스태프진이 많이 좋아졌다. 중앙의 스태프진이 지역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아져서인 것 같다. 반면 소품이나 의상은 여전히 주먹구구식이다. 단원들이 자기 소품을 직접 만들고, 의상은 집에 있는 것을 가져다 쓴다. 능력이 수퍼맨이 아니라 맡은 일의 양이 수퍼맨이다. 상업 프로덕션은 스태프가 모두 전문화 돼 있다. 기획도 지역에서는 연출이 해야 했는데, 여기서는 회사가 붙어서 진행해 준다.
- 이번 공연의 규모가 꽤 크다. 전국연극제에서 선보인 것과 달라진 부분이 있나?
크게 달라지는 부분은 없다. 올해는 이재은 씨의 남편 분이 안무가로 참여했다. 술을 한 잔 하다가 재능기부를 하겠다고 약속하셔서 참여하게 됐다.(웃음) 지금 몇몇 장면에 움직임이 들어갈 예정인데 상상하던 것 이상의 그림이 나오고 있다. 또, 연기하는 배우가 다르기 때문에 달라지는 부분은 있을 것이다. 배우들 모두 자라온 환경이 다르고, 삶이 다르지 않나. 대신 작품의 큰 틀이나 정서는 달라지지 않는다.
- 자전적인 이야기라고 들었다.
이 이야기는 어머니의 장례식으로 시작된다. 집 떠난 지 15년이 지난 뒤 돌아온 아들 ‘종우’의 시각으로 바라본 어머니의 삶을 담는다. 나의 자전적 이야기와 장례식장에서 들었던 형제간의 다툼 이야기를 결합해 썼다.
종종 극단적으로 그런 이야기를 하곤 한다. ‘어머니 인생 팔아서 성공한다’고. 요즘 작업을 하다보면 늘 묘한 기분이다. 내 이야기를 하다 보니 아프기도 하고, 더 넓은 곳에서 공연하게 돼 기쁘기도 하다. 어머니께 감사하면서도 죄송하다. 거제도에서는 일주일에 한 번씩 찾아뵀는데, 서울에서 작업하다 보니 오히려 물리적인 거리는 멀어졌다. 아이러니하다.(웃음)
- 올해 참여하는 배우들의 면면이 화려하다. 고수희, 이재은, 임호, 진선규, 한갑수 모두 제 위치에서 실력을 인정받는 배우들이다. 어려운 점은 없나?
가장 어려운 건 배우들이 유명한 만큼 다 바쁘다는 점이다. 연습을 한 자리에서 하는 날이 많지 않다. 하지만 이 배우들이 거저 그 명성을 얻은 것은 아니지 않나. 수많은 다듬질과 현장 경험을 거쳤기 때문에 그 위치에 오른 거다. 모두들 연습에 들어가면 충실히 자기 역할을 해 내고, 연출의 의도를 빨리 캐치해준다. 연습시간이 넉넉한 편이라 크게 어렵진 않다.
- 연습실에서 배우들이 그렇게 많이 운다고 하던데.
연극하는 사람 중에는 효자가 없다.(웃음) 대부분 다 집 떠나서 본인의 꿈을 위해 살지 않나. 젊을 때는 젊은 대로, 나이 들어서는 나이 든 대로 부모님에게 기대 사는 사람들이 많다. 광주, 서울, 거제 다 공연해봤지만 연극하는 친구들이 이 작품을 보면 그렇게 운다. 모두 다 자기 이야기여서다. 지금 배우들도 첫 리딩 연습 때부터 울기 시작했다. 연습 때 마다 배우들이 울면 안 된다고 다그치고 있다. 배우들이 계속 울면 관객은 지쳐서 공연을 못 본다. 사실 오늘도 연습하는데 다들 많이 울었다. 심지어 코러스하는 젊은 남자 배우는 보기 민망할 정도로 끅끅대며 울더라. 그게 다 죄인들이라 그런 것 같다.
- 연극 ‘선녀씨 이야기’가 경남연극제, 전국연극제 등에서 주목받은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나?
내 작품이라 스스로 말하기 민망하고 조심스럽다.(웃음) 평론가나 공연을 보신 블로거들이 쓴 글을 보면 결국 세상의 뻔한 어머니 이야기이지만 기발한 연출 기법과 상상력으로 지루하지 않게 풀어냈다는 말을 많이 해주신다. 쓰고 연출하면서 ‘나의 어머니’라는 나무 하나가 뿌리를 깊이 두고 하나의 줄기를 따라 잘 성장해왔기 때문에 풍성한 잎을 가질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작품에는 네 명의 자식이 등장한다. 이들의 에피소드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 번씩 겪어봤을 이야기를 모두 모아 놨다. 그 에피소드 속에 보는 이들이 자연스럽게 녹아나기 때문에 좋아해주시는 것 같다.
- 이 작품을 쓰고 연출하며 전달하고 싶었던 부분이 있다면.
작품 속 어머니가 ‘우리 아들 울지 마라. 아프지 마라’하는 장면이 있다.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말이 있다. 그렇게 힘든 삶을 살아가는 이 시대의 딸과 아들들에게 지치지 말라고, 아프지 말고 힘내라고 말하고 싶다. 주제라기보다 그런 마음이 관객에게 전달됐으면 한다.
- 주목해야 할 명장면이 있나?
이것도 내 입으로 말하긴 부끄럽다.(웃음) 광주에서 열린 전국연극제 당시 ‘광주 연극인들이 꼽은 명장면 세 가지’가 있었다. 하나는 누나와 종우의 대화 장면이다. 누나는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도 안 왔던 종우가 어떻게 어머니의 장례식을 알고 찾아왔냐고 묻는다. 이때 종우가 무어라고 웅얼거리는데, 누나가 한 번 더 물으면 종우가 ‘엄마가 보고 싶어서!’라고 소리치고 오열한다. 이 장면을 많이 좋아해 주시더라. 두 번째는 인형이 등장하는 장면이다. 종우 남매의 어린 시절을 옛 구전동화처럼 그려내고 싶어 인형을 활용해 아기자기하게 표현했다. 세 번째는 아버지가 어머니의 잠든 모습을 본 뒤, 등을 돌리고 우는 장면이다. 전국연극제 때 아버지 역을 내가 했는데, 단원들에게 농담으로 “자, 이제 3번 척추가 울 거야. 잘 봐”하면서 연기했다.(웃음) 그 장면을 명장면으로 꼽아주셔서 개인적으로 굉장히 기뻤다.
- 마지막으로 연극 ‘선녀씨 이야기’를 찾는 관객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지역에서 제작한 연극 ‘선녀씨 이야기’가 좋은 계기를 통해 서울에 올라오게 됐다. 거제도에서 만든 연극이 서울에 올 거라고 기대한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현재 지역에는 약 100여개가 넘는 수많은 극단이 작품을 만들고 있다. 이 작품도 ‘공연장 상주단체 육성지원’ 사업이라는 재정적 지원이 있었기에 만들어질 수 있었다. 앞으로 이러한 제작 지원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
아울러 관객분들께 주변 지역의 연극도 많이 찾아달라고 말씀 드리고 싶다.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작품 중에도 우수한 연극이 정말 많다. 결국 연극은 관객분들을 위해 만드는 것이다. 요즘 대학로도 정극 관객이 많이 줄었다고 들었다. 문화예술과 지역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면 더 좋은 작품이 만들어지고, 더 많은 사람들이 좋은 작품을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정지혜 기자_사진 박민희 기자 newstage@hanmail.net
[공연문화의 부드러운 외침 ⓒ뉴스테이지 www.newstage.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