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의 진짜 모습은? 개막 앞둔 <잃어버린 얼굴 1895>, 관객과의 만남 현장
작성일2013.09.17
조회수15,524
단 한 장의 사진도 남기지 않은 명성황후, 그녀의 진짜 얼굴은? 역사 속으로 사라진 명성황후의 진짜 모습을 찾아가는 뮤지컬 <잃어버린 얼굴 1895>의 개막을 일주일 앞두고 배우와 관객들이 미리 만나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난 16일, 차지연·손승원·김건혜·박영수·김도빈·조풍래 등 배우들과 60여명의 관객들이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내 연습실에서 짧은 만남의 시간을 가졌다.
오는 22일 개막을 앞둔 <잃어버린 얼굴 1895>는 그간 <윤동주, 달을 쏘다><바람의 나라>등을 무대에 올려온 서울예술단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창작뮤지컬로, 구한말 비운의 삶을 살다간 명성황후의 삶을 상상 속에서 새롭게 빚어낸 작품이다.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의 이지나 연출과 <빨래>의 민찬홍 작곡가의 참여 소식으로도 기대를 모았다.
(아래 왼쪽부터) 조풍래, 김도빈
이날의 만남은 배우 김도빈·조풍래의 사회로 진행됐다. 극중 주요 사건인 을미사변의 발생년도를 묻는 깜짝퀴즈부터 시작해 배우들의 넘버 시연, 가위바위보 게임 등의 순서가 이어졌다.
작품에 대한 본격적인 소개는 명성황후 역을 맡은 차지연이 시작했다. 참가자들에게 극의 결말을 살짝 공개한 차지연은 <잃어버린 얼굴 1895>를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허구의 인물과 상황을 적절히 섞은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역사적인 사실만 갖고 가기에는 시간도 많이 부족하고 명성황후의 내면을 다 표현하기 힘들 것 같았다. 허구의 인물과 허구의 상황을 다 아울러 그 안에서 명성황후가 한 인간으로서 겪는 갈등과 심리적 상태에 대해서 표현하고 있다"고.
이어 사진사 휘 역의 손승원과 궁녀 선화 역의 김건혜가 연습 소감을 밝혔다. 손승원이 맡은 휘는 장성희 작가가 만든 가상의 인물로, 어미를 죽게 한 명성황후에게 북수심을 품고 왕실 촉탁 사진사의 조수가 되는 인물이다. 역시 상상 속 인물인 선화는 늘 명성황후의 곁을 지키는 충직한 궁녀. 김건혜는 맡은 역할이 가상의 인물이라서 연기가 수월했었지만, 반대로 손승원은 허구의 인물을 연구하는 것이 힘들었다고.
"명성황후와 김옥균은 실존인물이잖아요. 그래서 어느 정도 고증을 거쳐야 하고 공부도 많이 해야 해서 어려웠을 텐데 저는 그런 면에서 오히려 쉽지 않았나 생각해요. 스토리라인이 정확히 구축돼 있어서 그 라인을 따라가되 김건혜 라는 인물만 살짝 얹어서 만든 것 같아요."(김건혜)
"저도 가상의 인물인데, 기댈 곳이 없어서 연구하는 데 힘이 들었어요. 십 대부터 오십 대까지의 모습을 연기해야 해서 처음에는 머리를 하얗게 하거나 수염을 붙일까 생각했는데, 결국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만 빼고 나머지는 다 똑같이 가기로 했습니다."(손승원)
(왼쪽부터) 김건혜, 손승원
실존인물을 다룬 작품이다 보니, 배우들은 연습기간 동안 작품의 역사적 배경과 각기 맡은 인물에 대해 많은 공부를 했다고 한다. "명성황후를 생각하면 애국자나 조선의 국모라는 이미지가 떠올랐다"는 차지연은 관련 자료를 공부하면서 당초 생각과는 다른 부분이 많아 고민이 되기도 했다고.
"많은 자료와 책·영화를 봤지만, 명성황후가 선행을 했다거나 좋은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는 부분이 별로 없더라고요. 이걸 어떻게 할까 하다가 왜 명성황후가 그런 인물로 비춰졌는지, 왜 그런 결정을 내렸어야 하는지 당위성을 찾으려고 노력했던 것 같아요. 'See what I want to see'라는 말이 있잖아요. 같은 상황이라도 보는 시각에 따라 다 다르듯이 명성황후나 다른 인물들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다 다른 것 같습니다."(차지연)
고종 역을 맡은 박영수 역시 비슷한 이야기를 전했다. "<잃어버린 얼굴 1895>에 나오는 고종의 모습은 제가 알고 있던 것과 많이 달랐어요. 제게는 나름대로 연기적으로 새로운 도전이고 재미도 있는데 여러분들에게는 어떻게 비칠지 모르겠습니다."(박영수)
이 작품에는 명성황후와 고종 외에도 명성황후의 조카 민영익, 갑신정변을 일으킨 김옥균, 고종의 아버지 대원군 등이 등장한다. 김옥균을 맡은 김도빈은 "많은 분들이 김옥균이라는 인물을 친일파로 알고 계신데, 이 작품에서는 젊은 혁명가로 그리고 있다"고 설명했고, 조풍래는 연습하며 어려웠던 점으로 "사실이라는 틀 안에 가상인물을 넣어서 그 틀을 벗어나지 않고 이야기해야 한다는 것"을 꼽았다.
(왼쪽부터) 차지연, 박영수
포스터를 촬영하는 동안 있었던 재미있는 에피소드도 공개됐다. "포스터 보시면 이거(가채) 보이시죠? 저도 그날 처음 봤어요. 사진 찍는다고 가만히 앉아 있는데 어디서 김 한 두루마리를 가져오셔서(일동웃음) 찍어주시더라고요. 저는 나름대로 감정표현 한다고 바닥에 뒹굴면서 인상을 썼더니 작가님이 '자자 피곤하신 거 압니다'하셔서(일동웃음) 그 때 빵 터졌어요."(차지연)
차지연·손승원 외 다른 배우들은 모두 서울예술단 소속이다. 이들에게 서울예술단 배우들과 함께 작업한 소감을 묻자, 대답 속에서 연습실의 평소 훈훈한 분위기가 전해져 왔다.
"다른 작품을 할 때는 배우들이 서로 잘 모르니까 '친해지길 바래' 기간이 있는데 서울예술단 분들은 이미 서로 잘 알고 계시기 때문에 저만 잘 하면 되겠다 싶었어요. 여기 배우들은 식당에서 같이 밥을 먹고 꼭 커피 내기 가위바위보를 해요. 같이 밥 먹은 사람이 18~19명이 되더라도 진 사람이 다 커피를 사는 거에요. 근데 그렇게 하니까 친해지더라고요. 돈은 나갔지만(일동웃음). 그리고 서울예술단 배우들이 되게 순수해요. 가끔씩 저 웃겨주려고 탈춤도 춰주고."(차지연)
"저도 걱정을 하고 들어왔는데 형님들이 많이 챙겨주셔서 적응하기 쉬웠고, 여기는 식당이 있어서 너무 편했어요. 다른 공연을 할 때는 밖에 나가서 사먹어야 하는데, 여긴 식권도 주시고(일동웃음)."(손승원)
이날 참석자들은 또다시 늦은 밤 연습에 돌입해야 하는 배우들을 위해 아쉬움을 품은 채 자리에서 일어섰다. 일주일 후, 작품의 첫 무대에 오를 배우들이 마지막 인사를 전했다.
"창작뮤지컬을 만들어가는 저희들이 어떻게 준비를 해왔고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 와서 확인해주시고, 각 인물들이 가진 색깔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 잘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박영수)
"서울예술단과 함께 해서 이런 좋은 작품을 함께 해서 감사하고, 또 오늘 이렇게 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저희 정말 아침부터 땀 흘리며 열심히 하고 있어요. 그 땀방울과 노력이 얼만큼 여러분에게 가 닿을지 긴장이 되지만, 최선을 다해서 하고 있으니까 따뜻하게 봐 주세요. 명성황후라는 한 여인의 감정을 같이 느끼시면서 저와 함께 잘 따라와주시면 새로운 느낌의 명성황후가 여러분 앞에 나타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차지연)
글: 박인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iapark@interpark.com)
사진: 기준서(스튜디오춘 www.studiochoon.com)
오는 22일 개막을 앞둔 <잃어버린 얼굴 1895>는 그간 <윤동주, 달을 쏘다><바람의 나라>등을 무대에 올려온 서울예술단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창작뮤지컬로, 구한말 비운의 삶을 살다간 명성황후의 삶을 상상 속에서 새롭게 빚어낸 작품이다.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의 이지나 연출과 <빨래>의 민찬홍 작곡가의 참여 소식으로도 기대를 모았다.
(아래 왼쪽부터) 조풍래, 김도빈
이날의 만남은 배우 김도빈·조풍래의 사회로 진행됐다. 극중 주요 사건인 을미사변의 발생년도를 묻는 깜짝퀴즈부터 시작해 배우들의 넘버 시연, 가위바위보 게임 등의 순서가 이어졌다.
작품에 대한 본격적인 소개는 명성황후 역을 맡은 차지연이 시작했다. 참가자들에게 극의 결말을 살짝 공개한 차지연은 <잃어버린 얼굴 1895>를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허구의 인물과 상황을 적절히 섞은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역사적인 사실만 갖고 가기에는 시간도 많이 부족하고 명성황후의 내면을 다 표현하기 힘들 것 같았다. 허구의 인물과 허구의 상황을 다 아울러 그 안에서 명성황후가 한 인간으로서 겪는 갈등과 심리적 상태에 대해서 표현하고 있다"고.
이어 사진사 휘 역의 손승원과 궁녀 선화 역의 김건혜가 연습 소감을 밝혔다. 손승원이 맡은 휘는 장성희 작가가 만든 가상의 인물로, 어미를 죽게 한 명성황후에게 북수심을 품고 왕실 촉탁 사진사의 조수가 되는 인물이다. 역시 상상 속 인물인 선화는 늘 명성황후의 곁을 지키는 충직한 궁녀. 김건혜는 맡은 역할이 가상의 인물이라서 연기가 수월했었지만, 반대로 손승원은 허구의 인물을 연구하는 것이 힘들었다고.
"명성황후와 김옥균은 실존인물이잖아요. 그래서 어느 정도 고증을 거쳐야 하고 공부도 많이 해야 해서 어려웠을 텐데 저는 그런 면에서 오히려 쉽지 않았나 생각해요. 스토리라인이 정확히 구축돼 있어서 그 라인을 따라가되 김건혜 라는 인물만 살짝 얹어서 만든 것 같아요."(김건혜)
"저도 가상의 인물인데, 기댈 곳이 없어서 연구하는 데 힘이 들었어요. 십 대부터 오십 대까지의 모습을 연기해야 해서 처음에는 머리를 하얗게 하거나 수염을 붙일까 생각했는데, 결국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만 빼고 나머지는 다 똑같이 가기로 했습니다."(손승원)
(왼쪽부터) 김건혜, 손승원
실존인물을 다룬 작품이다 보니, 배우들은 연습기간 동안 작품의 역사적 배경과 각기 맡은 인물에 대해 많은 공부를 했다고 한다. "명성황후를 생각하면 애국자나 조선의 국모라는 이미지가 떠올랐다"는 차지연은 관련 자료를 공부하면서 당초 생각과는 다른 부분이 많아 고민이 되기도 했다고.
"많은 자료와 책·영화를 봤지만, 명성황후가 선행을 했다거나 좋은 이미지를 가져올 수 있는 부분이 별로 없더라고요. 이걸 어떻게 할까 하다가 왜 명성황후가 그런 인물로 비춰졌는지, 왜 그런 결정을 내렸어야 하는지 당위성을 찾으려고 노력했던 것 같아요. 'See what I want to see'라는 말이 있잖아요. 같은 상황이라도 보는 시각에 따라 다 다르듯이 명성황후나 다른 인물들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다 다른 것 같습니다."(차지연)
고종 역을 맡은 박영수 역시 비슷한 이야기를 전했다. "<잃어버린 얼굴 1895>에 나오는 고종의 모습은 제가 알고 있던 것과 많이 달랐어요. 제게는 나름대로 연기적으로 새로운 도전이고 재미도 있는데 여러분들에게는 어떻게 비칠지 모르겠습니다."(박영수)
이 작품에는 명성황후와 고종 외에도 명성황후의 조카 민영익, 갑신정변을 일으킨 김옥균, 고종의 아버지 대원군 등이 등장한다. 김옥균을 맡은 김도빈은 "많은 분들이 김옥균이라는 인물을 친일파로 알고 계신데, 이 작품에서는 젊은 혁명가로 그리고 있다"고 설명했고, 조풍래는 연습하며 어려웠던 점으로 "사실이라는 틀 안에 가상인물을 넣어서 그 틀을 벗어나지 않고 이야기해야 한다는 것"을 꼽았다.
(왼쪽부터) 차지연, 박영수
포스터를 촬영하는 동안 있었던 재미있는 에피소드도 공개됐다. "포스터 보시면 이거(가채) 보이시죠? 저도 그날 처음 봤어요. 사진 찍는다고 가만히 앉아 있는데 어디서 김 한 두루마리를 가져오셔서(일동웃음) 찍어주시더라고요. 저는 나름대로 감정표현 한다고 바닥에 뒹굴면서 인상을 썼더니 작가님이 '자자 피곤하신 거 압니다'하셔서(일동웃음) 그 때 빵 터졌어요."(차지연)
차지연·손승원 외 다른 배우들은 모두 서울예술단 소속이다. 이들에게 서울예술단 배우들과 함께 작업한 소감을 묻자, 대답 속에서 연습실의 평소 훈훈한 분위기가 전해져 왔다.
"다른 작품을 할 때는 배우들이 서로 잘 모르니까 '친해지길 바래' 기간이 있는데 서울예술단 분들은 이미 서로 잘 알고 계시기 때문에 저만 잘 하면 되겠다 싶었어요. 여기 배우들은 식당에서 같이 밥을 먹고 꼭 커피 내기 가위바위보를 해요. 같이 밥 먹은 사람이 18~19명이 되더라도 진 사람이 다 커피를 사는 거에요. 근데 그렇게 하니까 친해지더라고요. 돈은 나갔지만(일동웃음). 그리고 서울예술단 배우들이 되게 순수해요. 가끔씩 저 웃겨주려고 탈춤도 춰주고."(차지연)
"저도 걱정을 하고 들어왔는데 형님들이 많이 챙겨주셔서 적응하기 쉬웠고, 여기는 식당이 있어서 너무 편했어요. 다른 공연을 할 때는 밖에 나가서 사먹어야 하는데, 여긴 식권도 주시고(일동웃음)."(손승원)
이날 참석자들은 또다시 늦은 밤 연습에 돌입해야 하는 배우들을 위해 아쉬움을 품은 채 자리에서 일어섰다. 일주일 후, 작품의 첫 무대에 오를 배우들이 마지막 인사를 전했다.
"창작뮤지컬을 만들어가는 저희들이 어떻게 준비를 해왔고 어떻게 그리고 있는지 와서 확인해주시고, 각 인물들이 가진 색깔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 잘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박영수)
"서울예술단과 함께 해서 이런 좋은 작품을 함께 해서 감사하고, 또 오늘 이렇게 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저희 정말 아침부터 땀 흘리며 열심히 하고 있어요. 그 땀방울과 노력이 얼만큼 여러분에게 가 닿을지 긴장이 되지만, 최선을 다해서 하고 있으니까 따뜻하게 봐 주세요. 명성황후라는 한 여인의 감정을 같이 느끼시면서 저와 함께 잘 따라와주시면 새로운 느낌의 명성황후가 여러분 앞에 나타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차지연)
글: 박인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iapark@interpark.com)
사진: 기준서(스튜디오춘 www.studiochoon.com)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