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디팬미팅] 장진, 미래의 감독들과 만나다

뮤지컬, 연극, 영화의 연출, 작가를 꿈꾸는 지망생들이 장진 감독과의 만남을 가졌다. 군복무 시절 제대를 앞두고 들뜬 마음에 썼다는 <서툰 사람들> 이야기부터 시나리오를 쓰는 노하우까지, 장진감독의 진한 경험이 미래의 감독, 작가 앞에서 선물보따리처럼 풀어졌다. 연극 <서툰사람들> 공연장에서 만난 장진 감독과 미래 크리에이터들.

Q 내년에 입대를 하는데, 진행 중인 시놉시스를 완성하고 싶습니다. 군대에서 글 쓰는 방법을 배우고 싶어요.

군대를 어디로 가는지도 중요해요. 본인이 살던 세상과 완전히 다른 세상으로 가면 다른 사고가 나오거든요. 게다가 군대에 가면 이제껏 나를 둘러싸고 있던 사람들과 전혀 다른 사람들을 만나요. 그 사람들이 하는 말 하나하나가 정말 재미있는 순간이 오거든요. 그런 경험을 글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군에 가면 다만 한 줄이라도 매일 기록하세요. 가끔은 한 단어가 나올 수도 있고, 가끔은 아무 글씨 없이 선 하나만 있을 수도 있어요. 제대할 때 600개의 메모가 있고, 이건 600개의 정서가 될 겁니다. 전 21살에 군대에 갔고 군대에서 글을 쓰기 시작했어요, <서툰 사람들>을 22살 군 제대를 앞두고 썼습니다. 하룻밤에 일어나는 상황극, 청춘 멜로인데, 그 당시 내 기분이 그랬거든요. 제대를 앞두고 있으니까 들떠 있는 감성이 녹아 든 작품이죠.

Q 장진 사단이라고 해서 같은 배우들과 작업을 많이 하시는데, 전 누군가와 계속 작업을 하는 게 어렵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장단 점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좋은 점은 서로의 코드와 이해 해야 할 점을 잘 알고 있단 것이죠. 단점은 나도 그 사람의 바닥을 알고, 그 사람도 내 바닥을 안다는 거에요. 정재영씨와는 오랫동안 같이 작업 했는데 당분간은 작품으로 만나지 말자고 서로 이야기를 했어요. 그 배우가 다른 작품을 했는데 ‘정재영은 장진과 작품 했을 때 가장 빛난다’라는 이야기를 들으면 그 배우도 싫고, 저도 싫어요. 예를 들면, 저라고 해도 봉준호 사단 배우라고 하면 부담이 있잖아요. 배우 입장도 ‘저 감독은 항상 그 배우와 하는데…’ 이러면 좋을 게 없어요. 서로에게 긍정적이지 못할 때가 있는 것이죠. 하지만 처음 시작할 때는 사단이 필요합니다. 서로 기다려주고 봐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 처음엔 그 힘으로 가야 하죠.

Q 제 최종 목표는 영화, 뮤지컬 연출입니다. 주위 분들은 호흡이 달라서 두 장르를 한번에 하는 건 힘들다고 말하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제가 26살에 만든 첫 장편영화에 뮤지컬 장면이 있었어요. 그때만 해도 그건 이상한 시도였어요.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영화 쪽 사람들 대부분이 연극 쪽 사람들이고요. 호흡이 다르다는 말은 개인의 능력차에요. 그것을 걱정하실 건 없고, 사람들은 의외로 장르를 분리해서 생각하지 않습니다. 질문자 분이 실제로 일을 하실 때면 아주 당연한 일이 돼 있을 겁니다.

 

Q 감독님은 SNL코리아, 영화, 연극을 모두 하시는데, 본인의 생각이나 아이디어는 어떤 장르에 어떻게 부합시키시나요. 

그 동안 여러 장르를 해봤기 때문에 어떤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어떤 장르와 맞을지, 이런 분별은 있어요. 그런데 정형적인 건 새롭지 않습니다. 어떤 아이디어가 떠올랐는데 이건 누가 봐도 연극이에요. 그런데 이걸 영화로 만들면 어떨까, 이런 생각이 들기 시작하죠. 2차 대전 전투에 관한 건, 누가 봐도 영화잖아요. 이걸 연극 모노 드라마로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처럼. 연극과 영화의 차이점은 사전을 찾아보면 정확하게 나오죠. 그걸 역발상 할 수 있어야 합니다. 



Q 단편 시나리오는 몇 편 완성하고 장편을 준비 중입니다. 장편 시나리오를 쓰는 장소, 시간, 비법 등이 알고 싶어요.

전 2002년부터 초고를 쓸 땐 항상 태백으로 들어가서 씁니다. 초고나 나오면 수정 없이 시간을 둡니다. 초고에 갇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객관적이기 힘들거든요. 나중에 다시 한번 보고 2고에 들어가죠. 단편을 쓰다가 장편으로 쓰는 건 쉽지 않습니다. 30분 안팍의 이야기를 쓰다 100분의 이야기를 쓰는 건 당연히 엄두가 안 나죠. A4 100장으로 어떻게 절묘한 이야기가 나올까 싶을 겁니다. 이럴 경우 한달만 트레이닝 한다고 생각하고 스스로 정말 좋은 작품이라고 생각하는 영화나 드라마 두 작품을 골라보세요. 그 대본을 그대로 써보는 거에요. 그러면 그 작품과 똑 같은 대본이 나오잖아요. 거기서 조금씩 바꿔보는 겁니다. 공간이나 장면, 캐릭터를 바꿔보든가, 줄거리를 조금씩 변형해도 되고 인물을 빼거나 넣어보는 거에요. 이런 식으로 트레이닝을 하면 감을 잡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시나리오를 쓸 땐 머리 속에 피라미드를 새겨둬야 합니다. 처음엔 사건과 인물들이 하나씩 펼쳐지고, 점점 꼭지점을 향해 가는 거에요. 그런데 그게 마음처럼 쉽지 않을 때가 많아요. 다이아몬드처럼 튀어나올 때도 있고 한쪽이 들어갈 수도 있고. 시나리오를 읽을 때 처음 5~10페이지는 읽는 속도가 느리지만 중간이 넘어가면 빨리 빨리 넘어가야 합니다. 마지막 3~4페이지는 절정인 거죠. 그걸 염두 해 두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Q 국문학과인데 앞으로 연출을 해보고 싶어서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어요. 잘하고 있는 것인지 조언 부탁 드립니다.

감독이나 작가 활동을 할 때 가장 걸리는 게 인문학적인 깊이, 철학적 고민이에요. 내가 살고 있는 이 시대에 나와 함께 살고 있는 사람들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중요하거든요. 뼈저리게 이해할 순 없지만 어느 정도는 이해하고 있어야지, 사람들을 이해 못하면서 어떻게 내 작품을 보여줄 수 있겠어요. 그래서 저는 인접 학문을 공부하는 게 참 훌륭하다고 생각해요. 여러 자원에서 소양을 갖춘 사람들이 혹시 이쪽에 관심이 있어서 활동하면, 연출을 전공한 사람보다 훨씬 넓게 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글: 송지혜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song@interpark.com)
사진: 배경훈 (Mr.Hodol@Mr-Hodol.com)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