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뮤지컬 '달고나'…추억도 살 수 있을까

]‘난타’의 PMC프러덕션이 만든 창작 뮤지컬 ‘달고나’(오은희 작·조광화 연출)는 기억에서 막 불려나온 사람과 사물로 무대를 채운다. 기억만큼 과장과 생략, 비약이 심하고 고집스럽기까지 한 게 또 있을까. 때론 아련하고 성기게, 때론 배꼽을 빼놓다가도 슬프게 이어지는 장면들은 이 작품 속 2벌식 수동 타자기처럼 관객에게 20~30년 전의 추억을 ‘타자(打字)’한다. 주인공 세우(이계창)는 인터넷 홈쇼핑 방송국의 40대 PD다. 추억의 물건들을 파는 그는 자신이 내놓은 구식 타자기가 ‘장독대 소녀’라는 네티즌에게 낙찰되자 추억의 자기장 속으로 빨려들어간다. 옛날 집 장독대에 쌓인 연애편지를 한 장씩 넘기며 이야기가 펼쳐진다. 제자리로 돌아가는 풍경은 아름답다. 이 작품은 사람마저 종종 물건으로 기억된다는 점을 잘 안다. 아무개는 제기로, 다른 아무개는 나팔바지로, 또 다른 누구는 기타나 스케치북을 들고 무대로 불려나온다. 그리고 그 물건의 주인공들이 추억에 젖어 꾸미는 무대는 140석짜리 객석을 들썩이게 한다. 과거는 종종 촌스럽고 우스꽝스럽다. 배우들이 부르는 20~30년 전 노래는 아기자기한 연출과 잘 어울린다. 파란 비닐우산을 든 채 춤을 추며 부르는 ‘골목길’, 입영 통지서와 함께 날아드는 ‘이등병의 편지’, 전경이 된 세우가 시위대에 낀 여자친구와 마주칠 때 들려오는 ‘그대 눈물 마르기 전에’, 영상으로 한국 현대사를 훑을 때 나오는 ‘사계’ 등의 노래를 따라 부르는 재미도 있다. 영화 촬영 에피소드 등 공들인 장면이 많지만 이별 등 몇몇 에피소드는 설명이 박해 그냥 노래에 묻혀버리는 게 흠이다. 극장 입구에서 딱지, 달고나, 70~80년대 불량식품 등을 파는 추억의 상품점도 눈길을 끈다. 조선일보/박돈규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