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겁고 애잔한 무대, <프랑켄슈타인>의 새로운 모습
작성일2014.10.17
조회수9,222
원작인 동명 소설이나 같은 제목의 다른 작품들을 익숙하게 봐왔던 사람이라면, 또 2011년 영국에서 화제 속에 공연되었던 작품의 라이선스 무대라는 것을 알고 기대했던 사람이라면 현재 예술의전당에서 공연 중인 연극 <프랑켄슈타인>을 보고 다소 놀랄 수도 있겠다. 과거 그 어떤 '프랑켄슈타인' 작품의 느낌과도 사뭇 다르기 때문이다.
극장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온통 하얀 무대는 <프랑켄슈타인>이 어떤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지 말해주는 첫 번째 단서이다. 하얗고 투명한 비닐과 그 밖의 것들로 누더기처럼 겹쳐지고 덧입혀진 무대와 구조물. 마치 태아가 숨 쉬는 자궁을 초음파로 보거나, 새끼를 품은 알을 마주할 때와 같은 느낌. 얇고 섬세해 위태로워 보이기까지 한 반 투명의 막과 같은 구조물 안에서 기이한 소리를 내며 꿈틀대던 존재가 갑자기 무대 가운데로 튀어 나오는데 그렇게 <프랑켄슈타인>은 시작된다.
즉, 빅터 프랑켄슈타인이 인간으로서 '신의 영역'으로 구획된 생명 창조에 도전을 결심하고 고뇌를 거듭하며 성공하는 모습보다는 생명 탄생 그 이후, 피조물과 창조자가 마주하고 부딪히는 과정과 이들 관계에 집중하는 것이 이번 <프랑켄슈타인>일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벌거숭이 피조물이 인간 사회 속에서 걷고 말을 배우고 생각을 키워나가는 등의 과정을 세밀하게 목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진화 과정 속에 피조물이 인간들에게 어떻게 처절한 배신과 상처를 받는지, 가학적인 태도를 보이는 인간들이 얼마나 어리석고 나약한 존재인지도 역시 목도할 수 있을 것이다. 피조물의 모습은 어미이자 아비에게 사랑을 갈구하는 한 생명의 발버둥이며 타인과 어우러져 감정을 나누고 싶어하는 생명체의 본능이라는 것을 객석에서 깨닫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그래서 눈 쌓인 황량한 벌판과도 같은 무대가 종종 따뜻한 솜털이 뒤덮인 온기 넘치는 공간으로 다가오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모두가 불완전한 존재로서 서로에게 애처롭고 안타까운 눈빛을 보내는 빅터 프랑켄슈타인과 피조물의 처절한 최후는 날카롭고 차갑기 보다 오히려 뜨겁고 애잔하다.
피조물을 연기하는 박해수는 걸음걸이, 손짓, 표정과 음성 하나하나에 에너지를 응축하여 놀랍게 발산한다. 이러한 모습은 그가 출연한 전작에서도 만난 적이 있으나, <프랑켄슈타인>을 통해서 배우로서 박해수의 존재감을 분명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으리라.
출연 배우들은 자신들의 출연 장면이 아니더라도 줄곧 무대 양 옆에 자리하고 있다. 관객들은 이들이 자신들과 똑같은 작품의 목격자 입장과 극중 배역 사이를 오고 가는 것을 지켜보는데, 이는 우리들이 작품 속 어느 캐릭터 하나에 감정을 이입하지 않고 인물들간의 관계, 그들이 그려내는 장면과 의미들을 전체적으로 바라보고 생각할 수 있게 도와준다. 피조물의 존재감이 워낙 커서 그를 날카롭게 자극하는 존재들, 그와 팽팽히 대립하는 감정들이 다소 약하게 다가온다는 아쉬움은 있다.
글: 황선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suna1@interpark.com)
사진: 플레이디비DB
극장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온통 하얀 무대는 <프랑켄슈타인>이 어떤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지 말해주는 첫 번째 단서이다. 하얗고 투명한 비닐과 그 밖의 것들로 누더기처럼 겹쳐지고 덧입혀진 무대와 구조물. 마치 태아가 숨 쉬는 자궁을 초음파로 보거나, 새끼를 품은 알을 마주할 때와 같은 느낌. 얇고 섬세해 위태로워 보이기까지 한 반 투명의 막과 같은 구조물 안에서 기이한 소리를 내며 꿈틀대던 존재가 갑자기 무대 가운데로 튀어 나오는데 그렇게 <프랑켄슈타인>은 시작된다.
즉, 빅터 프랑켄슈타인이 인간으로서 '신의 영역'으로 구획된 생명 창조에 도전을 결심하고 고뇌를 거듭하며 성공하는 모습보다는 생명 탄생 그 이후, 피조물과 창조자가 마주하고 부딪히는 과정과 이들 관계에 집중하는 것이 이번 <프랑켄슈타인>일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벌거숭이 피조물이 인간 사회 속에서 걷고 말을 배우고 생각을 키워나가는 등의 과정을 세밀하게 목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진화 과정 속에 피조물이 인간들에게 어떻게 처절한 배신과 상처를 받는지, 가학적인 태도를 보이는 인간들이 얼마나 어리석고 나약한 존재인지도 역시 목도할 수 있을 것이다. 피조물의 모습은 어미이자 아비에게 사랑을 갈구하는 한 생명의 발버둥이며 타인과 어우러져 감정을 나누고 싶어하는 생명체의 본능이라는 것을 객석에서 깨닫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그래서 눈 쌓인 황량한 벌판과도 같은 무대가 종종 따뜻한 솜털이 뒤덮인 온기 넘치는 공간으로 다가오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모두가 불완전한 존재로서 서로에게 애처롭고 안타까운 눈빛을 보내는 빅터 프랑켄슈타인과 피조물의 처절한 최후는 날카롭고 차갑기 보다 오히려 뜨겁고 애잔하다.
피조물을 연기하는 박해수는 걸음걸이, 손짓, 표정과 음성 하나하나에 에너지를 응축하여 놀랍게 발산한다. 이러한 모습은 그가 출연한 전작에서도 만난 적이 있으나, <프랑켄슈타인>을 통해서 배우로서 박해수의 존재감을 분명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으리라.
출연 배우들은 자신들의 출연 장면이 아니더라도 줄곧 무대 양 옆에 자리하고 있다. 관객들은 이들이 자신들과 똑같은 작품의 목격자 입장과 극중 배역 사이를 오고 가는 것을 지켜보는데, 이는 우리들이 작품 속 어느 캐릭터 하나에 감정을 이입하지 않고 인물들간의 관계, 그들이 그려내는 장면과 의미들을 전체적으로 바라보고 생각할 수 있게 도와준다. 피조물의 존재감이 워낙 커서 그를 날카롭게 자극하는 존재들, 그와 팽팽히 대립하는 감정들이 다소 약하게 다가온다는 아쉬움은 있다.
글: 황선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suna1@interpark.com)
사진: 플레이디비DB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