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만큼 더 즐거워진다! 뮤지컬 <뉴시즈>


2016년 <뉴시즈> 아시아 초연은 원작의 대본과 음악만을 살린 논레플리카(non-replica) 방식으로 진행된다. 무대와 안무, 의상 등은 모두 한국 정서에 맞춰 새롭게 구성된다. 아시아에서 첫 발걸음을 내딛는 만큼 철저한 준비를 거쳐 한국 관객들을 만날 예정이라고. 그렇다면 우리도 <뉴시즈>를 더 완벽하게 즐기기 위해서, 약간의 예습을 해보는 건 어떨까.

1. 뮤지컬 <뉴시즈>는 동명의 디즈니 영화가 원작이다.


<뉴시즈>는 1992년 디즈니가 제작한 동명의 영화가 무대화 된 작품이다. 디즈니 뮤지컬 영화 중에서 무대화 요청이 가장 많았던 작품 중 하나이기도 하다. 처음 무대에 올랐을 때는 12주 간 단기 공연으로 선보일 예정이었으나, 관객들의 호평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공연 중이라고.

디즈니 제작 뮤지컬에는 <라이온 킹>, <아이다>, <알라딘>, 디즈니 영화 '노틀담의 꼽추'를 바탕으로 한 <노트르담 드 파리> 등이 있다. <노트르담 드 파리>의 경우 디즈니 버전과 프랑스 버전이 별개의 작품.


2. <뉴시즈>는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작품의 배경은 1899년 뉴욕, 선정주의적인 ‘황색 언론(Yellow Journalism)’ 개념이 생겨나던 시기를 바탕으로 한다. ‘황색 언론’은 당시 가장 유명한 언론인이었던 조지프 퓰리처(지금의 ‘퓰리처 상’을 만든 장본인)와 그의 경쟁자 윌리엄 허스트가 주도적으로 만들어낸 것으로, 신문사 간의 과열 경쟁이 불러일으킨 폐해였다.

당시 뉴욕에는 생계를 위해 신문을 파는 소년들이 있었는데, 이들을 뉴스보이, 혹은 뉴시즈로 일컬었다. 대부분 가난한 고아나 방랑아들로 구성된 이들은 특정 신문사에 고용된 것이 아니라 배급소에서 구매한 신문을 되팔아 돈을 벌었다. 일종의 ‘영업사원’이었던 탓에 대부분의 뉴시즈들은 언변에 매우 능통한 이들이 많았다고 한다.



이런 뉴시즈들이 단체 파업을 일으킨 사건이 바로 ‘1899 뉴스보이 파업 (Newsboys’ Strike of 1899)이다. 소비자가는 그대로 두고, 뉴시즈들이 사들이는 신문값만 올려 받으려 했던 것이 원인이었다. 소년들은 유일한 생계수단인 신문팔이가 어려워지자 퓰리처의 <뉴욕월드>와 허스트의 <저널> 판매를 거부했다. 2주 간 지속된 파업은 뉴스보이들이 더 나은 처우를 받을 수 있도록 협의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3. 한국의 <뉴시즈>는 논레플리카 방식으로 진행된다.

논레플리카 방식은 원작 뮤지컬의 대본과 음악을 살리되, 무대나 의상, 안무 등에서 변형이 가능한 제작 방식이다. 이번 공연은 대본과 음악을 제외한 모든 구성을 국내에서 제작한다. 원작의 매력과 함께 찾아올 한국의 <뉴시즈>는 내로라하는 크리에이티브팀이 참여하며 더욱 기대를 높이고 있다.


(왼쪽부터) 연출 데이비드 스완, 음악감독 원미솔, 조명디자인 이우형, 무대디자인 오필영, 음향디자인 권도경

<드라큘라>, <맨 오브 라만차>, <지킬 앤 하이드> 등 손꼽히는 작품들의 연출을 맡아온 데이비드 스완, <인 더 하이츠>, <베어 더 뮤지컬>의 원미솔 음악감독 등 한국 뮤지컬계를 선도하는 실력자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이 외에도 이우형 조명 디자이너, 오필영 무대 디자이너, 권도경 음향 디자이너, 조문수 의상 디자이너 등 모든 스탭들이 <뉴시즈>의 아시아 초연 무대를 빛내기 위해 합을 맞추고 있다.

브로드웨이 뿐만 아니라 미국 전역을 ‘뉴시즈 앓이’로 만들었던 공연인 만큼, 한국에서의 첫 무대가 매우 기대된다. 치밀한 오디션 끝에 선정된 한국 최초의 ‘뉴시즈’들은 오는 4월 12일부터 충무아트홀에서 인터파크 티켓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글: 조경은 기자 (매거진 플레이디비 kejo@interpark.com)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