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작가들 이야기…’자기 앞의 생’ 로맹 가리 VS ‘어린왕자’ 생텍쥐베리

  • like1
  • like1
  • share
동명의 명작 소설을 무대화한 연극 ‘자기 앞의 생’과 낭독공연 ‘어린왕자’가 관객들의 호평 속에 펼쳐지고 있다. 원작이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작품인만큼 그 안에 담긴 이야기도 탄탄하지만, 두 작품을 깊이 들여다볼 때 빠뜨릴 수 없는 것이 바로 각 작품을 탄생시킨 작가들의 이야기다. ‘자기 앞의 생’을 통해 자신을 향한 세간의 편견을 통렬히 조롱했던 로맹 가리와 미스터리한 죽음으로 의문을 남긴 생텍쥐베리. 이들에 대해 알게 된다면, 공연도 더욱 흥미롭게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마침내 나를 완전히 표현했다”
죽음으로 입증한 천재성,
‘자기 앞의 생’ 로맹 가리

국립극단이 지난 달 말 무대에 올린 연극 ‘자기 앞의 생’(~3.23 명동예술극장)은 로맹 가리가 쓴 동명 소설이 원작이다. 이 소설은 파리 슬럼가에서 자신의 부모가 누구인지 모르고 자라는 아랍계 소년 모모와 그를 거둬 키우는 유대인 보모 로자의 이야기를 담았다. 점점 건강이 나빠지는 로자와 그를 걱정하는 소년 모모의 성장기를 통해 인종과 종교, 세대를 뛰어넘는 따스한 인간애를 전하는 작품이다.
 
로맹 가리(Photo J. Robert ⓒ Editions Gallimard)

로맹 가리는 1914년 러시아에서 태어난 유대계 프랑스 작가다. 로맹 가리가 십대였을 때 그의 가족은 점차 심해지던 인종차별을 피해 프랑스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법학을 공부한 로맹 가리는 이후 공군에 입대했다. 조종사로 종군했던 그는 무공을 인정받아 레지옹 드뇌르 훈장을 받기도 했다. 그가 작가로 데뷔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던 해인 1945년이었다.

데뷔작 ‘유럽의 교육’으로 프랑스 비평가상을 받으며 문단의 신성으로 떠오른 로맹 가리는 당대의 현실을 신랄하게 풍자하는 작품을 연이어 발표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1956년에는 ‘하늘의 뿌리’로 세계 3대 문학상 중 하나로 꼽히는 공쿠르상을 수상했고, 1962년에는 ‘새들은 페루에서 죽다’로 미국 최우수 단편소설상도 수상했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평론가들의 극심한 비판 때문에 매우 괴로워했다고 한다. 평론가들은 점차 그가 더 이상 의미 있는 작품을 쓰지 못한다고 비난했다. 또한 로맹 가리는 직접 연출한 영화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는다’(1972)의 흥행 실패와 이 영화에서 주연을 맡은 아내 진 세버그의 자살 시도 등으로 큰 고통에 시달려야 했다.
 
연극 ‘자기 앞의 생’

어느덧 평단의 외면을 받게 된 로맹 가리는 60세가 되던 1975년 ‘에밀 아자르’라는 가명으로 ‘자기 앞의 생’을 발표했다. 이 책은 출간 즉시 평단의 찬사를 받으며 그 해 공쿠르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공쿠르 상은 원칙상 한 작가의 중복 수상을 금지하고 있었는데, 로맹 가리는 사람들이 모르는 사이에 공쿠르상 중복 수상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남긴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당시 일부 평론가들은 그를 에밀 아자르와 비교하며 로맹 가리를 고루한 기성 작가로 치부했다고 한다.

그리고 5년 후, 로맹 가리는 자신이 바로 ‘자기 앞의 생’을 쓴 에밀 아자르임을 유서에 밝힌 후 권총을 입에 물고 자살했다. 그와 에밀 아자르가 동일인이었다는 사실은 프랑스 문학계에 큰 충격을 안겼다. 그는 그간의 상황을 암시하듯  “나는 사람들이 나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에서 결코 나를 알아보지 못한다”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세간의 편견을 뛰어넘는 한 작가의 천재성이 사후에 비로소 입증된 것이다.

“사막이 아름다운 것은 어딘가에 샘을 숨기고 있기 때문이다”
하늘을 날고 싶었던 작가,
‘어린 왕자’ 생텍쥐베리

낭독뮤지컬이라는 참신한 형식으로 펼쳐지고 있는 ‘어린왕자’(~4.7 예스24스테이지 1관)는 누구나 한번쯤 읽어봤을 생텍쥐베리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만들어졌다. 이 공연은 소박한 무대와 동화 같은 영상, 바이올린·피아노·첼로 등의 라이브 연주가 뒷받침하는 아름다운 음악으로 원작에 담긴 순수한 감성을 전달한다. 특히 생텍쥐베리 역의 배우가 무대에 등장해 원작 속 일부 문장을 그대로 낭독하기도 한다.
 
생텍쥐베리(ⓒNY Times online, 1933)

극중 그려지는 것처럼, 생텍쥐베리는 작가인 동시에 비행기 조종사였다. 1900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그는 1921년 공군에 소집되어 항공정비병으로 근무하다 정식으로 조종사 자격증을 취득해 비행을 시작했다. 2년 후 항공기 추락사고로 부상을 입고 전역했으나, 단편 ‘비행사’를 통해 소설가로 데뷔한 1926년 항공사에 취직해 다시 조종사로 일하기 시작했다.

이후 그는 항공 우편기 조종사로, 공군의 정찰기 조종사로 근무하며 여러 차례 큰 사고를 겪었다. 1935년에는 사막에 불시착해 5일 만에 구조됐고, 3년 후에도 역시 불시착 사고로 큰 부상을 입었다. 그러나 그는 늘 비행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았고, 사막과 전쟁터 위를 날며 생사를 넘나들었던 경험을 토대로 많은 명작을 남겼다. 1931년 출간된 ‘야간비행’은 그해 페미나상을, 1939년 출간된 ‘인간의 대지’는 아카데미프랑세즈에서 소설 부문 대상을 수상했고, 프랑스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베스트셀러가 되어 큰 사랑을 받았다.
 

낭독뮤지컬 ‘어린왕자’
 

예술가로서의 자유분방한 기질 때문이었을까, 생택쥐베리는 다소 간이 큰(?) 조종사이기도 했다. 그는 종종 비행기를 조종하며 책을 읽었고, 심지어 글도 썼다고 한다. 정치적 논쟁에 휘말려 우울증에 빠진 후로는 폭음으로 건강이 악화된 상태에서 비행에 나섰다가 적군에게 격추될 위기에 빠지기도 했다.
 

그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어린왕자’는 1943년 출간됐다. 그리고 이듬해 여름, 생텍쥐베리는 생의 마지막 비행에 나섰다. 지중해로 이어지는 론 강 골짜기를 정찰한 뒤 군기지로 돌아오는 비행이었다. 그러나 그는 예정된 시각에 귀환하지 않고 그대로 실종되고 말았다. 그 후 7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의 죽음은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2001년 그가 탔던 비행기의 잔해가 마르세유 인근 해안에서 발견됐고, 2008년에는 당시 독일군 조종사였던 한 노인이 자신이 생텍쥐베리가 탄 비행기를 격추시켰다고 주장했으나, 진위 여부는 밝혀지지 않았다. 그렇게 생텍쥐베리는 늘 하늘을 꿈꾸는 비행사로서 독자들의 기억에 남게 됐다.
 

글: 박인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iapark@interpark.com)
사진 출처: 국립극단, HJ컬쳐 제공

[ⓒ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공연

#다른 콘텐츠 보기

가장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