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만에 복귀한 김선영의 이유있는 선택
- 2016.10.12
- 이우진 기자
- 5891views
“감히 말씀 드리자면 제가 배우생활 하면서 맡았던 배역 중 가장 힘든 여배우 역인 것 같아요”
출산을 위해 잠시 무대를 떠났던 배우 김선영이 2년 만에 돌아왔다. 바로 조선의 국모 ‘명성황후’ 역으로 말이다. 김선영의 복귀작으로 화제를 모은 창작가무국 <잃어버린 얼굴>이 지난 11일 오후 3시, 본 공연 개막을 앞두고 프레스콜 행사를 개최했다.
출산을 위해 잠시 무대를 떠났던 배우 김선영이 2년 만에 돌아왔다. 바로 조선의 국모 ‘명성황후’ 역으로 말이다. 김선영의 복귀작으로 화제를 모은 창작가무국 <잃어버린 얼굴>이 지난 11일 오후 3시, 본 공연 개막을 앞두고 프레스콜 행사를 개최했다.
창작가무극 <잃어버린 얼굴 1895>는 ‘명성황후의 사진이 단 한 장도 남아있지 않다’는 역사적 사실에 착안해, 1895년 을미사변을 중심으로 가상의 인물과 미스터리한 에피소드를 더한 일종의 팩션 드라마다. 서울예술단의 대표 레퍼토리로 2013년 초연 당시 호평을 받은 바 있으며, 지난 해 음악과 안무를 강화해 재연을 선보였다.
친정으로 돌아온 김선영 “명성황후의 숨겨진 이면의 모습들 선보일 것”
이번 공연에서는 초연과 재연에서 카리스마 있는 명성황후를 선보였던 차지연에 이어 새로운 명성황후로 서울예술단 출신의 김선영이 캐스팅됐다.(김선영은 2001년 서울예술단에 입단해, 1년 여간의 단원 생활을 거친 바 있다.) 출산 후 첫 작품으로 <잃어버린 얼굴 1895>를 택한 김선영은 “이지나 연출 선생님이 맡은 작품이자 서울예술단의 작품이기 때문에 선택한 것도 있었지만, 2주라는 공연 기간이 마음의 부담을 덜어준 것도 사실이었다. 하지만 연습에 들어가고 보니 체력적, 정서적으로 2주 이상의 에너지가 소모돼서 괴롭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복귀작으로서 이 작품을 택해 몸은 힘들지만, 배우로서 풀어낼 수 있는 것들이 많은 작품”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프레스콜 시연에서 김선영은 흥선대원군과 대립각을 내세우며 강력한 에너지로 무대를 장악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특히, 1막 마지막 장의 솔로곡 ‘잃어버린 얼굴’에서는 녹슬지 않은 폭발적인 가창력으로 명성황후의 절절한 감성을 표현해냈다.
김선영은 명성황후를 연기하는 것에 대해 “우리가 대부분 알고 있는 여장부 같은 명성황후의 강한 이미지와 함께 이면에 숨겨진 모습들을 보여드리고 싶다. 왜 이 여인이 이렇게 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걸 관객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연기하겠다”고 포부를 드러냈다.이번 공연에서는 초연과 재연에서 카리스마 있는 명성황후를 선보였던 차지연에 이어 새로운 명성황후로 서울예술단 출신의 김선영이 캐스팅됐다.(김선영은 2001년 서울예술단에 입단해, 1년 여간의 단원 생활을 거친 바 있다.) 출산 후 첫 작품으로 <잃어버린 얼굴 1895>를 택한 김선영은 “이지나 연출 선생님이 맡은 작품이자 서울예술단의 작품이기 때문에 선택한 것도 있었지만, 2주라는 공연 기간이 마음의 부담을 덜어준 것도 사실이었다. 하지만 연습에 들어가고 보니 체력적, 정서적으로 2주 이상의 에너지가 소모돼서 괴롭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복귀작으로서 이 작품을 택해 몸은 힘들지만, 배우로서 풀어낼 수 있는 것들이 많은 작품”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프레스콜 시연에서 김선영은 흥선대원군과 대립각을 내세우며 강력한 에너지로 무대를 장악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특히, 1막 마지막 장의 솔로곡 ‘잃어버린 얼굴’에서는 녹슬지 않은 폭발적인 가창력으로 명성황후의 절절한 감성을 표현해냈다.
상대역인 고종을 맡은 박영수는 “초연, 재연에서 명성황후를 연기했던 차지연과 마찬가지로 김선영 역시 상대를 압도하는 카리스마가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 만나 보니 어머니 같은 부분이 있었다. 단단함과 따뜻함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배우”라고 답했다.
김태훈, 이창엽 등 뉴 캐스트들의 합류, 극의 신선함 더한다
김선영 이외에도 이번 작품에 새롭게 합류한 배우들이 눈에 띈다. 먼저 <서편제>, <빈센트 반 고흐> 등 굵직한 작품에 출연한 김태훈이 명성황후의 사진에 대한 비밀을 풀어가는 ‘휘’ 역으로 새롭게 합류했다. 김태훈은 “<바람의 나라> 이후 서울예술단과 오랜만에 같이하는 작품이라 반갑고 즐겁게 연기할 수 있었다. 다른 동료들로부터 제 캐릭터에 대한 많은 조언을 받았다.”고 합류 소감을 밝혔다.
<마마 돈 크라이>에 이어 박영수와 또 다시 같은 작품에 출연하게 된 신인 이창엽은 고종 역으로 서울예술단과 처음 호흡을 맞췄다. 고종 역을 맡은 이창엽은 “(같은 배역을 맡은 박영수와 다른) 나만의 캐릭터를 어떻게 입힐까 많이 고민했다. 단순히 ‘고종은 우유부단하다’라는 키워드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다 알고 있음에도 애써 모른 척 할 수밖에 없었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 비뚤어져 가는 고종의 모습을 보여주려고 노력했다”고 연기 포인트를 전했다.
김선영 이외에도 이번 작품에 새롭게 합류한 배우들이 눈에 띈다. 먼저 <서편제>, <빈센트 반 고흐> 등 굵직한 작품에 출연한 김태훈이 명성황후의 사진에 대한 비밀을 풀어가는 ‘휘’ 역으로 새롭게 합류했다. 김태훈은 “<바람의 나라> 이후 서울예술단과 오랜만에 같이하는 작품이라 반갑고 즐겁게 연기할 수 있었다. 다른 동료들로부터 제 캐릭터에 대한 많은 조언을 받았다.”고 합류 소감을 밝혔다.
<마마 돈 크라이>에 이어 박영수와 또 다시 같은 작품에 출연하게 된 신인 이창엽은 고종 역으로 서울예술단과 처음 호흡을 맞췄다. 고종 역을 맡은 이창엽은 “(같은 배역을 맡은 박영수와 다른) 나만의 캐릭터를 어떻게 입힐까 많이 고민했다. 단순히 ‘고종은 우유부단하다’라는 키워드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다 알고 있음에도 애써 모른 척 할 수밖에 없었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 비뚤어져 가는 고종의 모습을 보여주려고 노력했다”고 연기 포인트를 전했다.
극중 명성황후를 모시는 궁녀, 선화 역을 맡은 이혜수는 서울예술단 신예로 이번 작품에 새롭게 합류했다. 예술단 입단 후 처음 배역을 맡게 됐다는 이혜수는 “훌륭한 작품에 티가 되지 말아야한다는 생각으로 임했다. 특히 연기를 시작할 때부터 우상으로 삼은 김선영 선배와 함께 호흡할 수 있게 되어 영광”이라고 답했다.
개인의 고뇌 다룬 <잃어버린 얼굴 1895>, <곤 투모로우>와는 달라
한편 이번 <잃어버린 얼굴 1895>는 이지나 연출의 또 다른 연출작 <곤 투모로우>와 시기가 겹쳐 함께 비교되기도 한다. 구한 말 시대를 다룬 같은 연출가의 작품이기에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식이 비슷하지 않을까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이지나 연출은 “<잃어버린 얼굴 1895>는 서울예술단이라는 제작 단체의 색깔에 맞게 무용이 많은 작품이다. 또한 서울예술단이라는 단체의 작품을 사랑해주시는 명확한 관객층이 있기 때문에 그런 요소들을 가미해 명성왕후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풀어내려 했다. <곤 투모로우>가 조금 더 남성적이고 집단의 비극을 다룬 작품이라면, <잃어버린 얼굴 1895>는 무용을 활용해 인간 개인의 고뇌를 다뤘다”고 차이점을 정리했다.
또한 “남자 배우 중심으로 흘러가는 공연계에서, <잃어버린 얼굴 1895>가 삼연까지 올 수 있게 된 것에 대해 관객들이 다양해지고 있는 것 같다”고 느낀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한편 이번 <잃어버린 얼굴 1895>는 이지나 연출의 또 다른 연출작 <곤 투모로우>와 시기가 겹쳐 함께 비교되기도 한다. 구한 말 시대를 다룬 같은 연출가의 작품이기에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식이 비슷하지 않을까라는 우려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이지나 연출은 “<잃어버린 얼굴 1895>는 서울예술단이라는 제작 단체의 색깔에 맞게 무용이 많은 작품이다. 또한 서울예술단이라는 단체의 작품을 사랑해주시는 명확한 관객층이 있기 때문에 그런 요소들을 가미해 명성왕후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풀어내려 했다. <곤 투모로우>가 조금 더 남성적이고 집단의 비극을 다룬 작품이라면, <잃어버린 얼굴 1895>는 무용을 활용해 인간 개인의 고뇌를 다뤘다”고 차이점을 정리했다.
또한 “남자 배우 중심으로 흘러가는 공연계에서, <잃어버린 얼굴 1895>가 삼연까지 올 수 있게 된 것에 대해 관객들이 다양해지고 있는 것 같다”고 느낀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창작가무극 <잃어버린 얼굴 1895>는 오는 23일까지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공연되며, 인터파크를 통해 예매할 수 있다.
글 : 이우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wowo0@interpark.com)
사진 : 기준서 (www.studiochoon.com)
글 : 이우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wowo0@interpark.com)
사진 : 기준서 (www.studiochoon.com)
[ⓒ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