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록

장르
연극 - 연극
일시
2011.01.06 ~ 2011.01.23
장소
대학로 아름다운 극장
관람시간
90분
관람등급
만 15세이상

전문가평

평점 0.0

예매랭킹

0

전문가평

평점 0.0

예매랭킹

0
공유하기

공연 영상포토

더보기2

작품설명

당신은 참으로 무섭고도 흉한 사람일세...!

조선왕조 역사상 가장 드라마틱한 인물인‘사도세자’의 죽음에 관한 역사적 기록 이면에 숨겨진 진실, 뒤주 속에 갇힌 8일간의 기록, 그 비밀의 실체를 밝힌다.

조선왕조 역사상 가장 드라마틱한 인물인‘사도세자’의 죽음에 관한 역사적 기록 이면에 숨겨진 진실, 뒤주 속에 갇힌 8일간의 기록, 그 비밀의 실체를 밝힌다.
‘정조’의 생모이며 사도세자의 빈‘혜경궁 홍씨’의 자전적 회고록인 ‘한중록’은, 문체가 우아하고 등장인물의 성격이 선명하게 그려져, 강렬한 박진감으로 하여 한국 산문문학의 정수라고 평가되는 작품이다. 또한 이 글을 통하여 조선 여성의 이면사를 엿볼 수 있다는 점과 당시의 정치풍토를 관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풍부한 작품으로 ‘인현왕후전’과 함께 궁중문학의 쌍벽을 이루는 작품이다.

극단인혁의 2011년 신작 ‘한중록’은‘사도세자’를 둘러싼 권력다툼과 그의 죽음에서 한중록의 저자인 ‘혜경궁 홍씨’의 역할, 그리고 외척들과 부왕과의 갈등을 현 시대로 끌어들이고 역사적 기록을 극중극 속에 배치하여 기록된 역사와 실체적 진실과 관계를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새로운 역사적 관점과 사극의 새로운 표현 양식을 제시한다.

2011 새해를 시작하는 뜨거운 공연!

연출이기도_연극적 상상력 한 가운데 그가 있다
세련되고 힘있는 무대미학을 구현해온 연출 이기도와 극단인혁의 2011년 신작

2004년 서울연극제에서 파행으로 희곡상을 받으며 주목 받은 작가 백하룡이 고전문학 ‘한중록’을 새로운 시각과 구성으로 풀어내고 풀어내고, 희곡의 언어를 무대의 언어로 표현하는데 있어 탁월한 상상력을 보여 온 연출 이기도의 절제된 무대 미학, 극단인혁의 수준 높은 앙상블로 완성된 작품 한중록은 2011년 새해를 시작하는 뜨거운 공연이 될 것이다.

그런데 그 사람은 왜 내가 죽길 바랄까, 죽이려 할까. 왜 그럴까, 왜 그랬을까, 왜 그래야 했을까......

현재의 어느 날 왕립극장. 사도세자를 다룬 연극이 공연되고 있다. 연극에 몰입하지 못하던 세자는 관극은 방해하던 관객을 살해하게 된다. 극장에서 처분을 기다리라는 국왕의 지시가 있었음도 미칠 듯이 화를 내는 세자, 극장을 벗어나려한다. 그러나, 이미 극장 문은 굳게 닫혔다 …세상의 문이 닫혔다.

일러두기
한중록 [閑中錄]

1795년(정조 19)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가 지은 회고록. 모두 4편으로 되어 있다. 제1편은 작자의 회갑해에 쓰여졌고, 나머지 세 편은 1801년(순조 1)∼1805(순조 5) 사이에 쓰여졌다.

필사본 14종이 있으며, 국문본?한문본?국한문혼용본 등이 있다. 사본에 따라 ‘한듕록’?‘한듕만록’?‘읍혈록’ 등의 이칭이 있다. 4편의 종합본은 〈한듕록〉?〈한듕만록〉의 두 계통뿐이다.

제1편에서 혜경궁은 자신의 출생부터 어릴 때의 추억, 9세 때 세자빈으로 간택된 이야기에서부터 이듬해 입궁하여 이후 50년간의 궁중생활을 회고하고 있다.
중도에 남편 사도세자의 비극에 대해서는 차마 말을 할 수 없다 하여 의식적으로 사건의 핵심을 회피한다. 그 대신 자신의 외로운 모습과 장례 후 시아버지 영조와 처음 만나는 극적인 장면의 이야기로 비약한다.
후반부에는 정적(政敵)들의 모함으로 아버지?삼촌?동생 들이 화를 입게 된 전말이 기록되어 있다. 이 편은 화성행궁에서 열린 자신의 회갑연에서 만난 지친들의 이야기로 끝난다.
나머지 세 편은 순조 1년 5월 29일 동생 홍낙임(洪樂任)이 천주교 신자라는 죄목으로 사사(賜死)당한 뒤에 쓴 글이다.

제2편에서 혜경궁은 슬픔을 억누르고 시누이 화완옹주의 이야기를 서두로 정조가 초년에 어머니와 외가를 미워한 까닭은 이 옹주의 이간책 때문이라고 기록한다.
또 친정 멸문의 치명타가 된 홍인한사건(洪麟漢事件)의 배후에는 홍국영(洪國榮)의 개인적인 원한풀이가 보태졌다고 하면서 홍국영의 전횡과 세도를 폭로한다. 끝으로 동생의 억울한 죽음을 슬퍼하면서 그가 억울한 누명에서 벗어나는 날을 꼭 생전에 볼 수 있도록 하늘에 축원하며 끝맺는다.

제3편은 제2편의 이듬해에 쓰여진 것으로 주제 역시 동일하다. 혜경궁은 하늘에 빌던 소극성에서 벗어나 13세의 어린 손자 순조에게 자신의 소원을 풀어달라고 애원한다.
정조가 어머니에게 얼마나 효성이 지극하였는지, 또 말년에는 외가에 대하여 많이 뉘우치고 갑자년에는 왕년에 외가에 내렸던 처분을 풀어주마고 언약하였다는 이야기를 기술하며 그 증거로 생전에 정조와 주고받은 대화를 인용하고 있다.
마지막 제4편에서는 사도세자가 당한 참변의 진상을 폭로한다. ‘을축 4월 일’이라는 간기가 있는데, 을축년은 순조 5년 정순왕후(貞純王后)가 돌아간 해이다. “임술년에 초잡아 두었으나 미처 뵈지 못하였더니 조상의 어떤 일을 자손이 모르는 것이 망극한 일”이라는 서문이 있다. 혜경궁은 사도세자의 비극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선왕조의 나인이라 위세가 등등하였던 동궁나인(東宮內人)들과 세자 생모인 영빈(暎嬪)과의 불화로 영조의 발길이 동궁에서 멀어졌다. 때마침 영조가 병적으로 사랑하였던 화평옹주의 죽음으로 인하여 영조는 비탄으로 실의에 빠져 세자에게 더욱 무관심해졌다.

세자는 그 사이 공부에 태만하고 무예놀이를 즐겼다. 영조는 세자에게 대리(代理)를 시켰으나 성격차로 인하여 점점 더 세자를 미워하게 되었다. 세자는 부왕이 무서워 공포증과 강박증에 걸려, 마침내는 살인을 저지르고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
1762년(영조 38) 5월 나경언(羅景彦)의 고변과 영빈의 종용으로 왕은 세자를 뒤주에 가두고, 9일 만에 목숨이 끊어지게 하였다. 혜경궁은 영조가 세자를 처분한 것은 부득이한 일이었고, 뒤주의 착상은 영조 자신이 한 것이지 홍봉한(洪鳳漢)의 머리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임오화변 이후 종래의 노소당파가 그 찬반을 놓고 시파(時派)와 벽파(僻派)로 갈라져서 세자에 동정하는 시파들이 홍봉한을 공격하며 뒤주의 착상을 그가 제공하였다고 모함하였기 때문이다. 작자는 양쪽 의론이 다 당치 않다고 반박하면서 “이 말하는 놈은 영조께 충절인가 세자께 충절인가.”라며 분노한다.

제1편은 혜경궁의 회갑해(정조 19)에 친정 조카에게 내린 순수한 회고록이다. 나머지 세 편은 순조에게 보일 목적으로 친정의 억울한 죄명을 자세히 파헤친 일종의 해명서이다.

그 골자가 되는 세 사건은 영조 46년(1770)에서 정조 2년(1778) 사이에 왕비(貞純王后)의 친정 경주 김씨와 전 세자빈의 친정 풍산 홍씨의 정권다툼으로 작자의 아버지와 아들이 화를 당한 일을 말한다.
즉, 한유(韓鍮)의 상소로 아버지 홍봉한이 실각하고, 삼촌 홍인한과 동생 홍낙임이 사사되는 원인이 된 정조초, 이른바 정유역변의 연루되어 있다는 혐의를 해명한 것이다. 그 중 가장 핵심적인 것은 사도세자 사건과 관련된 홍봉한 배후설이다.

〈한중록〉은 역사적 인물의 글이라는 점에서, 더욱이 그가 비빈(妃嬪)이라는 사실에서, 정계야화로서 역사의 보조자료가 된다. 임오화변의 이유 및 홍봉한일가에 대한 사관을 재검토하는 데 도움을 주는 실기문학이다. 또한, 이 작품은 여류문학, 특히 궁중문학이라는 점에서 궁중용어, 궁중풍속 등의 보고(寶庫)라 할 수 있다.

〈한중록〉은 소설로 볼 수 있을 만큼 문장이 사실적이고 박진감이 있으며, 치렁치렁한 문체는 옛 귀인(貴人)들의 전아한 품위를 풍기고 경어체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작자를 비롯하여 등장인물 가운데에서 전통사회의 규범적 여인상의 전형을 볼 수 있다는 점 등으로 이 작품은 우리 고전문학의 백미라 일컬어진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