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2막으로 이루어 짐. 가창(歌唱)과 대사를 포함한 이른바 징슈필에 속한다. 슈카네더의 대본에 의하여 1791년 3월부터 작곡, 9월 30일 완성하고 빈에서 초연하였다. 큰 구렁이에게 쫓긴 왕자 타미노는 밤의 여왕의 시녀 세 사람에게 구출되어 여왕의 딸 파미나의 아름다운 화상(畵像)을 보고 나쁜 수도자 자라스트로에게서 그녀를 구해 내려고 결심한다. 새장수 파파게노를 데리고 자라스트로에게로 가는데, 실은 자라스트로가 덕이 높은 인물이고 여왕이 악의 화신인 것을 알게 된다. 자라스트로가 내놓은 시련을 이겨낸 타미노는 파미나와 맺어진다. 파파게노도 파파게나라는 상대를 얻는다. 한편 밤의 여왕과 그 부하들은 복수를 하려고 찾아오지만, 천둥과 함께 지옥으로 떨어지고 막이 내린다.
이 오페라는 서곡을 비롯하여 뛰어난 아리아 등이 많으며, 모차르트는 이 작품에서 독일 전통 오페라로서의 징슈필을 하나의 장르로 완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오페라 세리아와 오페라 부파의 요소도 도입, 종합적인 작품을 완성하고, 이 작품 초연 2개월 후에 죽었다. 한국에서는 1973년 6월 연세대학 오페라단(정희석 지휘)에 의해 초연되었다.
모짜르트의 창작활동은 매우 다양하여 당시의 음악의 장르에서 거의 모두를 다루고 있다. 그는 생애의 모든 시기에 걸쳐 극음악 창작에 종사했는데 대부분 오페라로서 그 가운데는 이태리어를 원본으로 한 오페라 세리아(정가극), 오페라 부파(희가극), 독일어로 된 징슈필(창극의 일종)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마술피리>은 모짜르트 최후의 오페라로서 그는 이 곡이 초연 된지 2개월 뒤에 사망하였다. 이 작품은 1791년 9월말에 완성하여 작곡자 자신의 지휘로 뷔덴극장에서 초연된 뒤 해를 거듭할 수록 인기를 더하고 있다. 대본은 모짜르트의 옛 친구이자 그 당시 빈에서 활약했던 작사가 겸 흥행주, '시카네더'가 작성한 것으로 환상적 내용을 갖고 있다. 독일 고래(古來)의 민속적 오페라인 징슈필의 가사와 대사로써 작곡되었는데 단순한 징슈필의 세계를 넘어서 독일 오페라의 고전을 창조하고 낭만파 오페라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친 걸작이다.
특히 당시의 모든 스타일이 종합되어 표현 내용으로서 프리메이슨의 사상도 엿볼 수 있다. 즉 독일민요풍의 노래와 이태리 오페라풍의 아리아, 그 밖의 성악과 기악의 여러 가지 형태를 흡수하여 변화무쌍하고 예술성 높은 작품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파파게노와 파파게나는 빈풍의 민요로 되어 있긴 하지만 이태리 부파의 음조를 띄고 있으며, 또 타미노와 파미나 두 사람은 이태리풍의 영창조와 독일풍의 가곡조가 각각 나타내주고 자라스트로는 엄격한 글룩의 스타일을, 밤의 여왕은 이태리의 오페라 세리아적 양식을 따르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바로크적, 바하적 코랄의 엄격한 양식도 눈에 띄는데, 이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은 상호 긴밀한 관계를가지고 곡 전체에 통일을 주고 있다.
이 작품에는 두 개의 다른 차원의 세계가 펼쳐지는데, 파파게노의 세속적인 익살과 타미노, 파미나의 보다 숭고한 사랑이 양립한다. 여기에서 작곡자 모짜르트는 이 극히 모순된 주제를 교묘히 뒤엮어 일체화하여 결국 파파게나와의 지극히 단순한 행복을 추구하는 파파게노의 서툰 행위가 타미노, 파미나 간의 보다 영묘한 사랑의 추구에 비해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것으로 이 작품이야말로 모짜르트의 천재성을 유감없이 드러내준 통쾌한 작품이다.
이 오페라는 서곡을 비롯하여 뛰어난 아리아 등이 많으며, 모차르트는 이 작품에서 독일 전통 오페라로서의 징슈필을 하나의 장르로 완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오페라 세리아와 오페라 부파의 요소도 도입, 종합적인 작품을 완성하고, 이 작품 초연 2개월 후에 죽었다. 한국에서는 1973년 6월 연세대학 오페라단(정희석 지휘)에 의해 초연되었다.
모짜르트의 창작활동은 매우 다양하여 당시의 음악의 장르에서 거의 모두를 다루고 있다. 그는 생애의 모든 시기에 걸쳐 극음악 창작에 종사했는데 대부분 오페라로서 그 가운데는 이태리어를 원본으로 한 오페라 세리아(정가극), 오페라 부파(희가극), 독일어로 된 징슈필(창극의 일종)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마술피리>은 모짜르트 최후의 오페라로서 그는 이 곡이 초연 된지 2개월 뒤에 사망하였다. 이 작품은 1791년 9월말에 완성하여 작곡자 자신의 지휘로 뷔덴극장에서 초연된 뒤 해를 거듭할 수록 인기를 더하고 있다. 대본은 모짜르트의 옛 친구이자 그 당시 빈에서 활약했던 작사가 겸 흥행주, '시카네더'가 작성한 것으로 환상적 내용을 갖고 있다. 독일 고래(古來)의 민속적 오페라인 징슈필의 가사와 대사로써 작곡되었는데 단순한 징슈필의 세계를 넘어서 독일 오페라의 고전을 창조하고 낭만파 오페라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친 걸작이다.
특히 당시의 모든 스타일이 종합되어 표현 내용으로서 프리메이슨의 사상도 엿볼 수 있다. 즉 독일민요풍의 노래와 이태리 오페라풍의 아리아, 그 밖의 성악과 기악의 여러 가지 형태를 흡수하여 변화무쌍하고 예술성 높은 작품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이 작품에서 파파게노와 파파게나는 빈풍의 민요로 되어 있긴 하지만 이태리 부파의 음조를 띄고 있으며, 또 타미노와 파미나 두 사람은 이태리풍의 영창조와 독일풍의 가곡조가 각각 나타내주고 자라스트로는 엄격한 글룩의 스타일을, 밤의 여왕은 이태리의 오페라 세리아적 양식을 따르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바로크적, 바하적 코랄의 엄격한 양식도 눈에 띄는데, 이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은 상호 긴밀한 관계를가지고 곡 전체에 통일을 주고 있다.
이 작품에는 두 개의 다른 차원의 세계가 펼쳐지는데, 파파게노의 세속적인 익살과 타미노, 파미나의 보다 숭고한 사랑이 양립한다. 여기에서 작곡자 모짜르트는 이 극히 모순된 주제를 교묘히 뒤엮어 일체화하여 결국 파파게나와의 지극히 단순한 행복을 추구하는 파파게노의 서툰 행위가 타미노, 파미나 간의 보다 영묘한 사랑의 추구에 비해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것으로 이 작품이야말로 모짜르트의 천재성을 유감없이 드러내준 통쾌한 작품이다.
줄거리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인 밤의 여왕의 왕국이다. 막이 오름과 동시에 타미노가 커다란 뱀에 쫓겨 뛰어오다가 도와달라는 외침과 함께 바닥에 쓰러진다. 이 때 궁전의 문이 열리고 배일을 쓴 세 명의 시녀가 나타나 마술을 부려 뱀을 죽이고는, 기절해 있는 타미노를 보고 그의 수려한 용모에 감탄한다. 서로 그의 용모를 찬미하며 바라보는데, 멀리서 파파게노의 피리소리가 들려온다. 그녀들은 이 사건을 여왕에게 보고하기 위하여 모두 그 자리를 떠난다. 밤의 여왕의 세 시녀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진 타미노 왕자는 새 장수 파파게노와 함께 도승 자라스트로에게 붙잡혀 있는 밤의 여왕 딸 파미나를 구하기 위해 마술 피리와 은 종을 가지고 자라스트로의 사원으로 간다.
사원에서 승려들을 만나 자라스트로가 잔악한 폭군이 아닌 고귀한 성직자로 악과 어둠의 세계를 지배하는 밤의 여왕으로부터 청순한 딸을 보호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타미노와 파미나 두 젊은이의 사랑은 많은 고통과 시련을 참아 내야 사랑이 맺어지는 우면 인지라 두 사람은 힘든 시련을 극복 하고 마침내 사랑의 승리를 얻는다. 한편 새잡이 파파게노도 그에겐 천생연분인 파파게나를 아내로 얻게 된다. 그 뒤 밤의 여왕이 복수를 꾀하지만 이는 물론 실패로 돌아가고, 파미나를 탐냈던 검둥이 악당 모노스타토스와 더불어 지옥에 떨어짐으로써 행복한 결말을 맺게 된다.
사원에서 승려들을 만나 자라스트로가 잔악한 폭군이 아닌 고귀한 성직자로 악과 어둠의 세계를 지배하는 밤의 여왕으로부터 청순한 딸을 보호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타미노와 파미나 두 젊은이의 사랑은 많은 고통과 시련을 참아 내야 사랑이 맺어지는 우면 인지라 두 사람은 힘든 시련을 극복 하고 마침내 사랑의 승리를 얻는다. 한편 새잡이 파파게노도 그에겐 천생연분인 파파게나를 아내로 얻게 된다. 그 뒤 밤의 여왕이 복수를 꾀하지만 이는 물론 실패로 돌아가고, 파미나를 탐냈던 검둥이 악당 모노스타토스와 더불어 지옥에 떨어짐으로써 행복한 결말을 맺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