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초유의 대기록
극단 가교는 지난 1993년 문예회관 대극장에서 막을 올린 ‘번지 없는 주막’을 시작으로 1999년까지 모두 12편의 악극을 시리즈로 공연하였다. 악극의 진수를 보여줄 수 있는 유일한 무대로서 그 동안 매 공연마다 구름관객으로 성황을 이루며 전 회 전 좌석 매진, 최다 관객 동원으로 국내 연극계 초유 의 대기록을 수립하였다.
뮤지컬의 원조
울음과 웃음, 감동의 2시간… 많은 사람들이 갈망하고 있는, 공연이 끝나고도 진한 여운이 남는 악극 ‘비 내리는 고모령’은 지난 시절 추억의 앨범을 뒤적이듯 작은 감동이 전해지는 가슴 뭉클한 무대가 될 것이다. 이제 악극은 극단 가교의 공연을 통하여 진정한 한국적 뮤지컬의 원조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최고의 앙상블
코믹 연기의 대가 박인환과 최주봉 등 국내 최고 드림팀이 극단 가교의 일곱 번째 공연
‘비 내리는 고모령’에서 다시 만났다. 김정숙의 연출로 펼쳐질 멋진 앙상블!
이제 극단 가교의 공연은 악극의 연극사적 가치를 재정립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되고 있다.
극단 가교는 지난 1993년 문예회관 대극장에서 막을 올린 ‘번지 없는 주막’을 시작으로 1999년까지 모두 12편의 악극을 시리즈로 공연하였다. 악극의 진수를 보여줄 수 있는 유일한 무대로서 그 동안 매 공연마다 구름관객으로 성황을 이루며 전 회 전 좌석 매진, 최다 관객 동원으로 국내 연극계 초유 의 대기록을 수립하였다.
뮤지컬의 원조
울음과 웃음, 감동의 2시간… 많은 사람들이 갈망하고 있는, 공연이 끝나고도 진한 여운이 남는 악극 ‘비 내리는 고모령’은 지난 시절 추억의 앨범을 뒤적이듯 작은 감동이 전해지는 가슴 뭉클한 무대가 될 것이다. 이제 악극은 극단 가교의 공연을 통하여 진정한 한국적 뮤지컬의 원조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최고의 앙상블
코믹 연기의 대가 박인환과 최주봉 등 국내 최고 드림팀이 극단 가교의 일곱 번째 공연
‘비 내리는 고모령’에서 다시 만났다. 김정숙의 연출로 펼쳐질 멋진 앙상블!
이제 극단 가교의 공연은 악극의 연극사적 가치를 재정립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되고 있다.
줄거리
고모령이라는 고개 너머 산골마을의 주막집에 살고 있는 17살 처녀, 순애.
그녀는 마을의 야학 선생님인 서울 대학생 재호와 사랑을 나누다가 그만 재호의 아이를 임신하게 된다. 재호는 그런 사실도 모른 채 방학이 끝나자 서울로 올라가고, 순애는 재호의 약속만 곱씹으며 매일같이 고모령에 올라 그를 기다린다. 그 사실을 안 순애 어머니는 죽어도 그 집에서 죽어야 한다 며 순애를
서울 재호의 집으로 떠나 보낸다.
하지만 재호는 이미 다른 여자와 결혼을 한 상태이고, 순애를 맞이하는 시부모님의 괄시는 극에 이른다. 순애는 재호의 아이만 낳았을 뿐, 부인 대접도 못 받으며 종살이보다 더 힘겨운 시집살이를 견뎌 나간다.
6.25가 터지자 재호 일가는 부산 피난민촌으로 옮기고, 순애는 혼자 일을 해서 시집식구들을
먹여 살린다. 재호의 본처는 가난을 견디지 못하고 떠나고, 재호는 점차 폐인이 된다.
이때 순애의 아들 정우가 선천성 심장병으로 위독해지고, 순애마저 과로와 영양실조로 탈진해 버리자, 재호는 정우를 부잣집 양자로 보낸다.
다시 서울로 돌아온 순애는 기생집에서 삯바늘질로 연명해 나가지만, 같은 서울 하늘 아래 살고 있는
아들 정우를 잊지 못해 신분을 숨긴 채 양부모집에 식모로 들어간다. 순애는 아들 정우로부터 아줌마 라는 소리를 듣는 식모생활이지만, 늘 가까이서 아들을 볼 수 있다는 행복 하나만으로 살아간다.
그러나 아들 정우를 이용해 양부모로부터 돈을 뜯어내려는 재호가 정우의 집으로 들이 닥치고,
순애는 재우를 말리다가 실수로 그를 죽이고 감옥에 갇힌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 교도소에서 출옥한 순애. 고향의 친동생 같은 반벙어리 진술이 이제 늙고 병든
그녀를 고모령으로 데려다 준다. 뒤늦게 자신의 친모가 누구인지를 알게 된 정우는 순애를 찾으러 오지만, 순애는 아들 정우와 진술이 지켜보는 가운데 고모령에서 죽음을 맞이한다.
평생 가난과 서러움의 얼룩진 삶을 살았으나 결코 참된 어머니의 길을 잃지 않았던 순애라는 한 여인은 그렇게 숨을 거두고, 고모령에는 눈발이 흩날린다.
그녀는 마을의 야학 선생님인 서울 대학생 재호와 사랑을 나누다가 그만 재호의 아이를 임신하게 된다. 재호는 그런 사실도 모른 채 방학이 끝나자 서울로 올라가고, 순애는 재호의 약속만 곱씹으며 매일같이 고모령에 올라 그를 기다린다. 그 사실을 안 순애 어머니는 죽어도 그 집에서 죽어야 한다 며 순애를
서울 재호의 집으로 떠나 보낸다.
하지만 재호는 이미 다른 여자와 결혼을 한 상태이고, 순애를 맞이하는 시부모님의 괄시는 극에 이른다. 순애는 재호의 아이만 낳았을 뿐, 부인 대접도 못 받으며 종살이보다 더 힘겨운 시집살이를 견뎌 나간다.
6.25가 터지자 재호 일가는 부산 피난민촌으로 옮기고, 순애는 혼자 일을 해서 시집식구들을
먹여 살린다. 재호의 본처는 가난을 견디지 못하고 떠나고, 재호는 점차 폐인이 된다.
이때 순애의 아들 정우가 선천성 심장병으로 위독해지고, 순애마저 과로와 영양실조로 탈진해 버리자, 재호는 정우를 부잣집 양자로 보낸다.
다시 서울로 돌아온 순애는 기생집에서 삯바늘질로 연명해 나가지만, 같은 서울 하늘 아래 살고 있는
아들 정우를 잊지 못해 신분을 숨긴 채 양부모집에 식모로 들어간다. 순애는 아들 정우로부터 아줌마 라는 소리를 듣는 식모생활이지만, 늘 가까이서 아들을 볼 수 있다는 행복 하나만으로 살아간다.
그러나 아들 정우를 이용해 양부모로부터 돈을 뜯어내려는 재호가 정우의 집으로 들이 닥치고,
순애는 재우를 말리다가 실수로 그를 죽이고 감옥에 갇힌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 교도소에서 출옥한 순애. 고향의 친동생 같은 반벙어리 진술이 이제 늙고 병든
그녀를 고모령으로 데려다 준다. 뒤늦게 자신의 친모가 누구인지를 알게 된 정우는 순애를 찾으러 오지만, 순애는 아들 정우와 진술이 지켜보는 가운데 고모령에서 죽음을 맞이한다.
평생 가난과 서러움의 얼룩진 삶을 살았으나 결코 참된 어머니의 길을 잃지 않았던 순애라는 한 여인은 그렇게 숨을 거두고, 고모령에는 눈발이 흩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