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비명자들 3부작’의 첫 번째 이야기, <비명자들 2> 궁금증을 풀어내다.
석가모니도 쇼펜하우어도 삶을 고통으로 바라보며 그로부터의 해방과 극복을 추구했다. 불교에서는 고집멸도를 통한 고통의 소멸을 제시했고, 쇼펜하우어는 의지로 구현되는 세계를 통해 고통을 극복하고자 했다. 그러나 바쁘게 돌아가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은 고통에 대한 사유 없이 살아가기 마련이며, 무엇보다 타인의 고통에 무감각해지기 쉽다.
<고래> <빨간시>를 시작으로, 극단 고래의 작품들은 사회의 폭력과 소외된 자들의 고통에 대한 날카로운 시선을 견지해 왔다. ‘비명자들 3부작’은 고통의 생성과 소멸에 대한 통찰력을 집대성한 작품이다. 이 3부작 가운데 <비명자들 2>는 2017년과 2018년에 먼저 무대에 오르며 관객을 맞았다. 작가이자 연출인 이해성은 <비명자들 2>라는 작품을 통해서, 실체가 드러나지 않는 고통을 “비명”으로 형상화시키면서 고통에 대한 한 편의 서정시를 무대 위에 일궈냈다.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퍼져 나가는 ‘비명자들’은 사회에서 제거되어야 하는 좀비인 동시에 고통 속에 빠져 있는 생명체로서 이들에 대한 제거가 과연 정당한 것인가, 이들의 고통을 어떻게 치유해 갈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져주었다.?

<비명자들 2>가 ‘비명자들’의 이야기에 집중했다면, <비명자들 1>은 비명자의 탄생 배경, 유일하게 이들을 처단할 수 있는 요한이라는 인물의 전사와 고통 문제 연구소의 설립 배경을 속도감 있게 펼쳐낸다. <비명자들 2>를 보며 관객들이 느꼈을 궁금증이 <비명자들 1>에서 제시되는 한편, 극적인 사건 전개와 영화적 서사기법을 통한 박진감 있는 이야기가 관객들을 기다린다.?

‘2018년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 선정 작으로 인정받은 <비명자들 1>의 작품성

<비명자들 1>은 ‘2018년 공연예술창작산실 올해의 신작’ 선정 작으로 뽑히면서 그 작품성과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비명자들 3부작’은 고통을 탐구하는 작업이다. 개인이 느끼는 고통의 깊이는 그 누구와도 공유되기 어려운 만큼, ‘비명자’라는 장치를 통해 역으로 그 고통의 실체를 형상화한 시도이다. <비명자들> 3부작은 그러한 만큼 고통에 대한 깊고도 철학적인 사유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러나 무대 위에서 철학적 사유만을 논할 수는 없다. 이번 <비명자들 1>은 극적 재미와 철학적 사유들이 유기적으로 맞물린 작품으로서, 창작산실의 심사위원들과 관객평가단으로부터 이미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논할 수 있다.?

<비명자들 1>를 통해 연출가 이해성의 무대 미학을 마음껏 풀어내다!?
<비명자들 2>에서 미처 보여주지 못했던 무대 미학이 이번 <비명자들 1>에서는 마음껏 펼쳐질 예정이다. 전작에서부터 함께 호흡을 맞춰온 스텝들은 작품에 대한 더 깊어진 이해와 애정을 갖고 정성스레 <비명자들 1>의 무대를 준비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미군 캠프에서부터 서울의 다양한 장소들에 이르기까지, 이번 공연은 탄탄하게 짜인 극적 구조와 인물들을 토대로 스펙터클한 무대 미학을 풀어낼 것이다.?

이번 작품에서도 이해성 연출과 호흡을 맞추는 박이표의 안무는 한껏 풍성해진 무대를 코러스의 에너지로 가득 채울 것이고 박석주 음악감독을 중심으로 수준 높은 음악을 들려줬던 연주팀의 라이브 음악도 한층 깊은 선율을 들려줄 것이다. 그렇지만 화려해진 무대의 중심에는 늘 고통에 대한 성찰과 첨예한 논쟁이 뚝심 있게 그 자리를 지킬 것이다.?

줄거리

아프가니스탄의 미군 캠프.
서로 다른 이유로 한국을 떠나 매브니로 자원한 요한과 현우.
작전 수행 중 무고한 희생자들의 살인 현장을 우연히 목격하게 된 요한.
그날부로 아무런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무통증’에 시달리게 된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비명자’들이 발생하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첫 번째 ‘비명자’가 출현한다.
‘비명자’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고통 문제 연구소’는 ‘비명자’를 상대하기로 결정한다.
첫 번째 ‘비명자’를 마주한 상황에서 한국으로 돌아온 요한이 나타나는데..

*매브니(MAVNI) : 미국 영주권이 없는 외국인에게도 미군 입대를 허용하는 모병 프로그램.
(2002년~2018년 동안 한국국민 중 11만 8천여명이 매브니 군 복무 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