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우리나라의 귀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처녀귀신’. 
이들은 주로 한을 풀기 위해 구천을 떠돌다가, 사또를 비롯한 타인의 도움으로 원한을 푼 뒤 승천한다. 왜 이들은 자신의 한을 직접 풀지 못하는 것일까? 왜 이들이 억울함을 직접 토로하기 위해서는 ‘비인간’인 ‘귀신’이 되어야만 하는 것일까? 생각해보면 우리 사회는 사회적 약자가 죽은 뒤에야 문제가 인식되고, 중되는 일들이 너무도 많다. 어찌 보면 처녀귀신의 전사와 유사한 상황이다. 이러한 생각들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처녀귀신 이야기’의 원조 격인 <장화홍련전>과, 죽은 자의 한을 풀어주는 여신 <바리데기> 설화를 결합해 보았다. 홍련과 바리는 ‘가정 학대 피해자’ 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본 작품은 해당 골자를 토대로 재판과 씻김굿 컨셉을 활용한 뮤지컬로 풀어보고자 한다.

줄거리

저승 천도정. 이곳에 한 소녀의 영혼이 끌려온다. 
그녀는 <장화홍련전>의 ‘홍련’으로, 아버지를 살해하고 동생을 해쳤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그녀는 자신이 두 사람을 해친 것은 맞지만, 하늘을 대신해 단죄한 것이니 아무런 죄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사건을 이야기하는 홍련의 말은 조금씩 모순되어 있는데... 
이에 천도정의 주인인 저승신 바리공주는 차사 강림과 함께 홍련의 진짜 죄는 무엇인지 재판을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