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한국 문학의 거목 박완서, 관록의 연극배우 손 숙
한국을 대표하는 두 여류 예술가의 만남!

연극 <나의 가장 나종 지니인 것>은 ‘한국 문학의 축복’ ‘우리 시대의 탁월한 이야기 꾼’이라 불리는 故 박완서 사후 1주기를 맞이하여 추모의 의미를 담은 공연으로 기획 되었습니다. 한 어머니가 아들의 죽음을 통해 겪는 가치관의 변화와 그 속에 내재된 인간 내면의 모습들을 한편의 드라마로 그려낸 작품입니다. 18년 만에 무대에 올리는 이번 작품은 선생이 생전 인터뷰에서 가장 큰 슬픔이었다고 회고한 아들의 죽음을 바탕으로 한 작가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쓴 소설입니다. 그동안 다양한 연극에서 ‘여성성’과 ‘어머니’를 표현했던 배우 손 숙은 ‘꼭 해보고 싶었던 작품’으로 이 작품을 꼽았으며, 작가 박완서가 그려낸 ‘어머니’를, 동시대를 살아온 ‘우리 어머니들의 이야기’로 깊은 울림을 전달할 것입니다.

“생때같은 자식을 가슴에 묻고, 태산 같은 설움을 억누르며 살았다.”

작품의 주제
자식을 잃은 어머니의 슬픔을 표현한 1인 모노드라마 형식의 작품

작가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쓴 수기가 아닌 ‘소설’
1988년 남편과 아들을 연이어 잃은 박완서 작가의 자전적 경험에 허구를 더하여 쓴 소설

동시대의 자화상
자식을 잃은 어머니의 슬픔을 표현하는 가운데, 당시의 중산층, 여성, 가정사 외에도 7~80년대의 혼란스러웠던 한국의 정치사회상을 자연스럽게 녹여낸 시대적 작품
 
‘나종’이란, 가장 마지막까지 갖고 있는 것
 ‘나종’은 박완서 작가가 김현승 시인의 <눈물>에서 따온 말로 ‘가장 마지막까지 갖고 있는 것’이라는 뜻


공연포커스

1. 박완서 작가의 인생을 뒤 흔들었던 ‘참척의 슬픔’
1988년 병으로 남편을 잃고, 같은 해 8월 아들을 잃으며 참척의 슬픔이 그의 삶을 뒤 흔들었습니다. 깊은 절망을 가슴 속에 안은 채 살아야 했던 작가 박완서가 그로부터 1년 뒤 적은 글들은 어머니로서 가장 큰 슬픔의 고백이자 통곡입니다.

2. 세상에서 가장 큰 슬픔을 이겨내려는 ’내면의 여정’
처음엔 제삿날을 잃어버리더니, 그 다음엔 집 전화번호를, 가스 불 끄는 것을 잃어버린다. 전에는 소중했던 것들이 더 이상 소중하지 않고, 빈집에 들어갈 때는 아들의 이름을 부르며 들어간다. 아들보다 앞서간 남편이 부러워지는 날이면 뜬 눈으로 밤을 지세 운다. 사회 운동에 관심도 없던 어머니는 민가협에 가입도 한고, 집안에 굴러다니던 [소년우주과학]에 나오는 은하계의 별들을 주문처럼 외운다.

3. 진정한 ‘나’의 모습을 찾게 해준 ‘통곡의 눈물’
친구의 이끌음으로 식물인간이 된 아들을 돌보며 사는 동창생을 방문하게 되고 그들의 비참한 삶에서 자신 속에 억눌려있던 서러움이 폭발한다. 입으로 욕을 해대면서 구박하듯 시중을 드는 어머니, 그런 소리를 들으면서도 어머니가 잠시도 곁을 떠나지 못하게 끌어당기는 아들의 모습을 보게 된다. 그 순간 자신의 깊은 곳에 잠재되어 표현하지 못했던 한 섞인 울음이 봇물처럼 터진다.

4. 1994년 이후 18년 만에 다시 무대에 오르는 작품

이것은 "생각해 보면 참 모진 세월을 살아온 우리 시대의 어머니의 이야기다.
작가의 ‘진정성’이 담긴 작품이다.
“이 소설이나 연극은 설교를 하지 않는다. 실제로 참척한 아픔을 지닌 작가가 자신의 경험과 고통의 구리 당대사에 자식을 앗긴 어머니의 그것을 담아낸 작품이다.”
“소중한 것을 잃은 적이 있는 누구에게 공감을 주는 작품”
초연 당시 박수와 눈물 속에 매회 매진과 한 달여간의 앵콜 (강영걸 연출, 강부자 출연)

줄거리

아들을 가슴에 묻은 어머니의 이야기! 수다처럼 시작되는 윗동서 형님과의 전화통화 10년 전 잃은 아들을 가슴에 품고 살아야 했던 응어리를 말하기 시작한다. 전화를 건 것은 언제나 손아래 동서였다. 평소에 도통 말수라고는 없는 근엄한 형님이 전화를 건 이유는 해마다 제삿날을 귀띔해 준 동서를 믿다가 지나쳐 버린 그저께의 증조모 제사 때문이다. 이참에 이대봉사로 제사를 줄여버리는 게 좋지 않느냐, 그런데 이제 내 기억력이 예전 같지 않아 자기 집 전화번호도 까먹고 봉변당한 이야기, 그 일로 걱정이 된 딸들의 입을 통해 화자가 10년 전 아들을 잃은 어머니라는 사실이 밝혀진다. 먹고 살 만큼의 연금을 남겨 준 남편 덕에 생계 걱정이 없고, 제 앞가림하는 두 딸을 둔 어머니인 그녀는 죽은 아들로 인해 친척, 친구들의 결혼식에서 주변을 불편하게 하는 존재이며 아들에 대한 처절한 그리움으로 자신의 생활과 내면 변화를 겪으며 살아왔다. 어느 날, 친구의 이끌음으로 식물인간인 아들을 간병하는 동창생의 모습을 보게 되면서 아들의 부재가 견딜 수 없는 질투로 드러났음을 밝히며 아들을 잃은 후 살아야 했던 고통과 슬픔을 말하며 통곡한다.

캐릭터

어머니 | 10년 전 젊은 아들의 죽음을 통해 가치관과 내면의 변화를 겪으며 주변을 불편하게 하는 존재이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도 아들을 그리워하며, 두 딸과 함께 살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