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2008년의 서울시극단에서는 <세종문화회관 개관 30주년>과 <한국 신연극 100주년>을 기념하며 한국전쟁의 역사를 배경으로 과거와 현재를 지배하는 ‘인간본질’에 관하여 한번 더 생각하며 관객과 나눌 수 있는 연극을 준비하였다. 김은국의 장편소설인 ‘순교자’는 1964년 발표된 소설로써 노벨문학상 작가로 거론된 것은 물론 미국과 독일등지에서 베스트셀러로 읽혀지면서 한국어로 번역되어 발표되었던 영문 장편소설이다.
“타인에게 희망을 주기 위해서 자신의 진실을 왜곡한다면 그것은 과연 옳은 것인가?”
작가의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관객의 지적호기심을 촉발시키고자 한다.

줄거리

대학 강사를 지낸 이 대위는 육군특무대로 평양에 파견되어, 육군본부 파견대 정보국장 장 대령의 휘하에서 근무한다. 그러다가 6ㆍ25 당시 12명의 목사가 평양에서 순교한 사실을 조사하게 된다. 차차 조사 과정에서 순교자들의 신앙과 순교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캐어 들어간다. 이와는 달리 장 대령은 공산당에게 희생당한 12명의 순교자를 애국적인 관점에서 추모식을 크게 거행하여 평양의 신도들과 시민들에게 자유민주주의의 우월성과 정신적 승리를 알려주려고 하는 국가주의적 견지를 보인다.그런데, 애초에 14명의 목사가 체포되어 12명은 순교하였으나 신 목사와 한 목사는 생존하였다는 사실을 알고 이 대위는 이 두 생존자를 찾아 순교자들의 최후의 모습과 그 신앙의 진실성을 확인하는데 마음을 기울인다. 여기서 이 대위는 진실을 추구하는 진지한 자세와 냉철한 지성의 소유자로 형상화되고 있다.
이 대위의 친구인 해병대 장교 박 대위는 그 아버지가 지나치게 신앙에 충실한 독선적 광신자였으므로 인간미가 결여된 병적인 인물로 보고 사실상 두 부자는 의절한 상태로 서로 떨어져 지낸 사실이 알려진다. 박 대위는 12명의 순교자 속에 그의 아버지가 들어있음을 듣고도 오히려 존경심보다는 광신적인 신자들이 으레 그럴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나중에 신 목사의 편지에 박 목사가 아들을 지극히 사랑한 사실과 자신이 추구하는 신앙의 궁극적 의미와 아들이 전공하는 역사학이 특수 사건에서 보편적 진실을 탐구할 때 봉착될 인류의 종말문제와 이념적 거리가 그리 멀지 않음을 말한 사실이 밝혀진다. 그리고 최후로 공산당원에 의하여 처형되면서 “기도할 수 없어”라고 말한 데서 그 아버지의 인간적인 고뇌가 담김을 깨닫고 박 대위는 순교한 아버지와 정신적 화해를 이룬다. 한편, 박 목사의 신앙심에 감동하고 따르던 젊은 한 목사는 마지막 처형장에서 박 목사가 기도를 거부한 사실에 충격을 받고 정신이상자가 되어 사형은 면하였으나 폐인이 된다. 신 목사의 생존에 관하여는 배신자라는 많은 의혹 속에 신도들의 집단항의를 받지만 12명의 처형을 목격한 공산군 정 소좌가 체포되고, 그의 실토에서 목사들이 비굴하게 죽었으나 오직 신 목사만이 당당하게 공산당원에게 저항하여 오히려 죽음을 면하였다는 진상이 밝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