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21세기의 새로운 연극적 구성으로 무장한 스페인 연극 <피리 부는 사나이>(원제:하멜린 Hamelin)는 한 도시에서 발생한 아동성추행 사건으로 우리를 초대한다. 이 작품은 그림 형제의 동화로도 유명한 ‘하멜른의 피리 부는 사나이’에 대한 전설을 소재로 하고 있다. 한국에도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이 전설의 내용은 쥐떼들의 침략으로 절망에 빠진 한 도시, 하멜린에 대한 것으로 피리 부는 한 특이한 사나이가 그 도시의 시장 앞에 나타나 보수를 받는 대신 쥐떼들을 데려가겠다는 약속을 한 후 자신의 음악으로 동물들을 홀려 도시에서 쫓아내는 것에 성공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약속한 상금이 주어지지 않자 그 사나이는 피리를 다시 불어 이번에는 하멜린의 모든 아이들을 데려 가버렸다는 내용이다.
<피리 부는 사나이>는 그 전설에 더해 ‘아동성폭력’이라는 긴급하고 잔혹한 질문의 접면을 크고 깊게 만든다. 이는 지난해 영화 <도가니> 열풍이 주목시킨 사회적 약자에 대한 강탈의 또 다른 고발이지만 단순히 고발이나 선동에 그치지 않고, 한국의 관객들이 아동성폭력이라는 연극적 사건을 둘러싼 언어들을 사유하는 값진 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늘 철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현실을 읽어내는 스페인 작가 후안 마요르가(Juan Mayorga)의 한국 초연작인 연극 <피리 부는 사나이>가 9월 7일부터 9월 23일까지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에서 관객들을 만난다. 이 연극은 극단 코끼리만보가 5년간 제작한 '후안 마요르가 3부작'의 완결 작품이며, 극장의 힘으로 세계를 다시 되돌아보는 철학적 기획의 산물이다.
모두가 잠든 사이, 뭔가 벌어지고 있는 이 시간
원작자 후안 마요르가는 “‘하멜린의 피리 부는 사나이’는 항상 무서운 이야기였습니다. 한 도시가 최악의 벌을 받게 되는 이야기였습니다.”라고 말했다. 그 도시의 모든 어른들의 잘못으로 무고한 아이들이 결코 돌아오지 않는다는 이야기는 우리가 사는 세상과 닮아 있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서 아이들은 첫 번째로 값을 치르고 있다. 어른들의 부도덕, 어른들의 폭력, 어른들의 나쁜 정책, 어른들의 거짓말에 대해 값을 치르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아이들을 보호할 줄 몰랐던 하멜린은 우리 시대 많은 도시들의 모습이기도 하다.
관객들을 공범자로 만드는 재현의 연극
우리는 살아간다. 매일매일 쏟아지는 험악한 뉴스들, 사회면을 장식하는 이해할 수 없는 사건들, 가련한 피해자와 뻔뻔한 가해자들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사람들은 언제나 분노하고 정의를 바라며 진실을 알고 싶어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건들에서 분노는 탈색되고 정의는 실종되며 진실은 모호함 속으로 사라진다 .
하지만 그렇게 희구하던 진실이, 우리가 바라던 모습이 아니어도 괜찮을까? 그래도 진실이라고 할 수 있을까? 평범한 사람들은 누구나 가해자에게 징벌을, 피해자에게 구원을 바라지만, 심판의 시간은 영영 오지 않고 인내의 미덕은 점점 짧아진다.
연극 <피리 부는 사나이>를 통해 황폐한 미로 속의 진실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우리들의 맨 얼굴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당신이라면, 당신이 몬떼로 검사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계속 갈 것인가? 아니면 멈출 것인가?
후안 마요르가 3부작의 완결 작품, 연극성에 대한 질긴 고민의 끝
2009년 김동현 연출의 <다윈의 거북이>로 국내에 처음 소개되어 주목받은 후안 마요르가는 2012년 <영원한 평화>와 <피리 부는 사나이>로 동시대 현실에 대한 연극적 질문을 한국에서 다시 이어간다. ‘후안 마요르가 3부작’으로 불리는 이 3개의 작품은 모든 문명화된 도시와 집단에 상존하는 폭력에 대한 다큐멘터리 드라마로서, 작가의 21세기에 대한 비판과 사유를 매듭짓는 철학적 기획의 산물이다.
특히 <피리 부는 사나이>는 피리 소리에 매료되는 아이들처럼 물질과 욕망의 그물에 희생되는 '아동성폭력' 문제에 대한 알레고리적인 질문을 담고 있다. 이 질문은 21세기의 도시 안에서 빚어지는 잔혹한 진실, 21세기의 모든 도시를 덮어버린 불온한 현실을 아동성폭력 사건을 지렛대 삼아 표현한다. ‘언어’만으로 조직한 이 현실 세계를 극장 안에서 연극적으로 현재화하는 기획이기도 하다. 또한 드러나지 않는 진실에 대한 질문을 연극만이 가능하고 연극만이 허용하는 이야기 구조로 완성하고자 하는 작품이다.
극단 코끼리만보는 이 작품이 갖고 있는 아동성폭력에 대한 보편성을 극대화하고 문화적 차이에서 빚어지는 거리감을 해소하기 위해 대본 전체를 한국의 상황과 언어로 다듬는 윤색작업을 했다. 무엇보다 이 작품에서 다루는 아동성폭력이라는 긴급하고 잔혹한 질문의 접면을 크고 깊게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었다.
<피리 부는 사나이>는 지난해 영화 <도가니> 열풍이 주목시킨 사회적 약자에 대한 강탈의 또 다른 고발이 될 것이며, 사회적 의미를 생성할 메시지를 전달할 것이다. 그러나 이 메시지는 <도가니>와 같은 고발이나 선동이 아닌, 후안 마요르가와 극단 코끼리만보의 ‘연극성’으로 나타날 것이다. 연극은 무엇이든 재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연극의 기원이자 가장 큰 힘인 관객들을 공범자로 만들어, 한국의 관객들이 아동성폭력이라는 연극적 사건을 둘러싼 잔혹한 언어들을 조용히 사유하는 값진 체험을 제공할 것이다.
<피리 부는 사나이>는 그 전설에 더해 ‘아동성폭력’이라는 긴급하고 잔혹한 질문의 접면을 크고 깊게 만든다. 이는 지난해 영화 <도가니> 열풍이 주목시킨 사회적 약자에 대한 강탈의 또 다른 고발이지만 단순히 고발이나 선동에 그치지 않고, 한국의 관객들이 아동성폭력이라는 연극적 사건을 둘러싼 언어들을 사유하는 값진 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늘 철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현실을 읽어내는 스페인 작가 후안 마요르가(Juan Mayorga)의 한국 초연작인 연극 <피리 부는 사나이>가 9월 7일부터 9월 23일까지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에서 관객들을 만난다. 이 연극은 극단 코끼리만보가 5년간 제작한 '후안 마요르가 3부작'의 완결 작품이며, 극장의 힘으로 세계를 다시 되돌아보는 철학적 기획의 산물이다.
모두가 잠든 사이, 뭔가 벌어지고 있는 이 시간
원작자 후안 마요르가는 “‘하멜린의 피리 부는 사나이’는 항상 무서운 이야기였습니다. 한 도시가 최악의 벌을 받게 되는 이야기였습니다.”라고 말했다. 그 도시의 모든 어른들의 잘못으로 무고한 아이들이 결코 돌아오지 않는다는 이야기는 우리가 사는 세상과 닮아 있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서 아이들은 첫 번째로 값을 치르고 있다. 어른들의 부도덕, 어른들의 폭력, 어른들의 나쁜 정책, 어른들의 거짓말에 대해 값을 치르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아이들을 보호할 줄 몰랐던 하멜린은 우리 시대 많은 도시들의 모습이기도 하다.
관객들을 공범자로 만드는 재현의 연극
우리는 살아간다. 매일매일 쏟아지는 험악한 뉴스들, 사회면을 장식하는 이해할 수 없는 사건들, 가련한 피해자와 뻔뻔한 가해자들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사람들은 언제나 분노하고 정의를 바라며 진실을 알고 싶어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건들에서 분노는 탈색되고 정의는 실종되며 진실은 모호함 속으로 사라진다 .
하지만 그렇게 희구하던 진실이, 우리가 바라던 모습이 아니어도 괜찮을까? 그래도 진실이라고 할 수 있을까? 평범한 사람들은 누구나 가해자에게 징벌을, 피해자에게 구원을 바라지만, 심판의 시간은 영영 오지 않고 인내의 미덕은 점점 짧아진다.
연극 <피리 부는 사나이>를 통해 황폐한 미로 속의 진실을 정면으로 마주하는, 우리들의 맨 얼굴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당신이라면, 당신이 몬떼로 검사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계속 갈 것인가? 아니면 멈출 것인가?
후안 마요르가 3부작의 완결 작품, 연극성에 대한 질긴 고민의 끝
2009년 김동현 연출의 <다윈의 거북이>로 국내에 처음 소개되어 주목받은 후안 마요르가는 2012년 <영원한 평화>와 <피리 부는 사나이>로 동시대 현실에 대한 연극적 질문을 한국에서 다시 이어간다. ‘후안 마요르가 3부작’으로 불리는 이 3개의 작품은 모든 문명화된 도시와 집단에 상존하는 폭력에 대한 다큐멘터리 드라마로서, 작가의 21세기에 대한 비판과 사유를 매듭짓는 철학적 기획의 산물이다.
특히 <피리 부는 사나이>는 피리 소리에 매료되는 아이들처럼 물질과 욕망의 그물에 희생되는 '아동성폭력' 문제에 대한 알레고리적인 질문을 담고 있다. 이 질문은 21세기의 도시 안에서 빚어지는 잔혹한 진실, 21세기의 모든 도시를 덮어버린 불온한 현실을 아동성폭력 사건을 지렛대 삼아 표현한다. ‘언어’만으로 조직한 이 현실 세계를 극장 안에서 연극적으로 현재화하는 기획이기도 하다. 또한 드러나지 않는 진실에 대한 질문을 연극만이 가능하고 연극만이 허용하는 이야기 구조로 완성하고자 하는 작품이다.
극단 코끼리만보는 이 작품이 갖고 있는 아동성폭력에 대한 보편성을 극대화하고 문화적 차이에서 빚어지는 거리감을 해소하기 위해 대본 전체를 한국의 상황과 언어로 다듬는 윤색작업을 했다. 무엇보다 이 작품에서 다루는 아동성폭력이라는 긴급하고 잔혹한 질문의 접면을 크고 깊게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었다.
<피리 부는 사나이>는 지난해 영화 <도가니> 열풍이 주목시킨 사회적 약자에 대한 강탈의 또 다른 고발이 될 것이며, 사회적 의미를 생성할 메시지를 전달할 것이다. 그러나 이 메시지는 <도가니>와 같은 고발이나 선동이 아닌, 후안 마요르가와 극단 코끼리만보의 ‘연극성’으로 나타날 것이다. 연극은 무엇이든 재현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연극의 기원이자 가장 큰 힘인 관객들을 공범자로 만들어, 한국의 관객들이 아동성폭력이라는 연극적 사건을 둘러싼 잔혹한 언어들을 조용히 사유하는 값진 체험을 제공할 것이다.
줄거리
스페인의 어느 도시. 직업적 사명감이 투철한 열혈 검사 몬떼로는 아동 성추행 사건의 제보를 접하고 수사에 나선다. 피의자는 빈민층의 청소년을 구제하는데 앞장서왔던, 존경받는 사회운동가 리바스. 그는 빈민가의 소년 호세마리를 성추행한 혐의를 받고 있지만, 완강히 혐의를 부인한다. 몬떼로 검사는 리바스의 PC에서 나온 사진과 소아성애자 취향의 카페 활동을 근거로 리바스를 강하게 압박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