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뮤지컬 <뱃보이>의 한국공연은 작고, 귀엽고, 평이한 소극장 뮤지컬 형식을 기대하고 공연장을 찾은 관객들을 “어찌할 바 모르게 만드는” 뮤지컬이었다.

사회에 팽배해 있는 집단 이기주의와 편견이라는 다소 무거운 주제의식과 등장인물의 죽음들을 시종일관 브로드웨이 뮤지컬들의 패러디와 코믹터치로 전달하는 엽기적인 문제해결 방식들은, 관객들로 하여금 이 비극적 장면에서 박장대소하며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모르는 당황스러운 상황을 연출하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비극적 내용을 아우르는 엽기코드에 당황한 관객들은 이내 색다르게 다가오는 이 뮤지컬의 특별한 매력에 빠져들며, 극 중 박쥐소년이 글과 말을 배우며 인간이 되어가는 과정에서는 함께 탄성을 지르며 진정한 축하를 보내고, 공연 말미의 기막힌 반전에는 함께 혀를 내두르며 탄식하는 등 극 속의 인물들과 희로애락을 함께하며 동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작품의 엽기적 형식과 함께 아름다우면서도 귀에 쏙쏙 들어오는 음악은 관객들을 열광시키는 또다른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야생의 습성을 가진 박쥐소년을 인간으로 만들고, 또 인간의 이기주의로 인간세계에서 그를 축출하는 비극적 스토리는 때로는 젊음의 열정이 넘치는 락으로, 촌스러운 컨츄리 송으로 그리고 개그콘서트에서나 볼 수 있는 선동적인 가스펠 음악으로 포장되어 그 음악을 듣는 것 만으로도 작품의 개성 넘치는 장면들을 상상하기에 충분할 만큼 풍성하며 감동적이었다는 평이었다.

줄거리

조그만 마을에 흉흉한 소문이 돈다. 이 마을 어떤 흉가 속에 박쥐소년이 살고 있다는.. 호기심 많은 십대들은 담력 시험 삼아 박쥐소년을 찾아 나서고 그들은 박쥐소년과 결국 마주친다. 놀란 그들은 한바탕 난리를 치고 그 와중 여자아이 한명이 부상을 입지만 나머지 아이들에 의해 생포되어 박쥐소년은 마을로 끌려 내려온다. 모두가 분노하며 박쥐소년을 보지만 수의사 아내인 메레디스만은 박쥐소년에게 다정하게 손을 내민다. 메레디스는 마을 사람들을 설득하고 박쥐소년은 그녀의 집에서 같이 지내게 된다.

메레디스와 그녀의 딸 쉘리는 박쥐소년에게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말을 가르치고 예절을 가르치며 평화로운 시간을 갖지만 아내에게서 따듯한 애정을 받아 보지 못한 남편 파커는 박쥐소년에게 질투를 느끼며 음모를 꾸민다.

일요일, 메레디스와 쉘리와 함께 박쥐소년은 교회를 간다. 그들은 박쥐소년을 보고 놀란 마을사람들을 안심시키고 박쥐소년은 그들 앞에서 자신의 얘기를 한다. 그를 향한 증오의 마음들이 봄 볕에 눈 녹듯 녹아 내릴 때 박쥐소년에게 물린 소녀가 죽어다는 비보가 날아온다. 사람들은 다시 분노하고 박쥐소년과 쉘리는 산속으로 도망가다 릭(박쥐소년에게 물려 죽은 소녀의 오빠)과 마주치자 박쥐소년은 그를 물고 도망간다. 이때 파커 박사는 릭을 치료해주는 척하면서 그의 목에 독 주사를 놓고 죽게 만든다. 이제 박쥐소년이 물면 죽는다는 것은 틀림 없는 사실처럼 여겨지고, 두 아이를 잃은 엄마는 박쥐소년이 살던 흉가에 불을 지르지만 까맣게 타서 발견된 것은 박쥐소년이 아닌 자신에게 하나밖에 남지 않은 막내 딸 이었다.
한편 박쥐소년과 함께 도망간 쉘리는 박쥐소년에게 연민을 느끼는 동시에 이성의 감정을 느끼게 된다. 뒤따라온 메레디스는 그 둘의 사랑을 용납할 수 없다고 거부하자 박쥐소년은 믿었던 사람에게 배신당한 생각에 자포자기하며 마을사람들 앞에 나타난다. 박쥐소년을 겨냥하고 있는 마을사람들을 가로막으며 메레디스는 내 아들을 죽이지 말라고 외친다. 메레디스는 자신의 과거사를 모두 다 털어놓고 이에 자신의 과오가 알려진 파커박사는 칼을 꺼내 들어 자신의 목을 찌른다. 깜짝 놀란 박쥐소년은 그를 껴안고 파커박사는 그를 찌르려고 칼을 드는 순간 메레디스가 달려들어 박쥐소년을 안으며 파커의 칼에 맞는다. 한 덩어리가 되어 죽는 그들.. 이제 남은 사람은 쉘리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