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행복한 사람은 듣지 마세요, 달빛요정역전만루홈런 3집
저주받은 뮤지션 달빛요정의 새 앨범 ‘Goodbye Aluminium’. 2004년, ‘절룩거리네’, ‘스끼다시 내 인생’이 담긴 1집 앨범으로 혜성과 같이 데뷔하였으나 최대의 히트곡이 방송금지를 당하며 시작된 저주, 이후 대중과의 소통을 모색하면서도 진실된 노랫말과 멜로디에 개성 있는 창법이 얹혀진, 본인 스스로 명명했던 달빛요정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며 정규2집과 싱글, EP 등을 발표하였으나 요정이 아닌 호빗에 가까운 외모로 인해 독특한 노래에 관심을 가졌던 팬들은 등을 돌렸고 진심을 담았던 그의 노랫말은 평이한 연주로 인해 그 빛이 바랬다. 결국 그에게 남은 것은 1년 넘게 밀린 월세와 낡은 기타들이 나뒹구는 자취방, 신용불량의 딱지뿐. 가난하게 살아도 음악을 하면서 살겠다는 그 소박한 꿈은 절망으로 바뀌게 된다.
그리하여 2007년 새해, 달빛요정은 큰 결심을 하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연봉 1200. 즉 월수입 100만원이 되지 않으면 음악을 그만 해야겠다는 것이었다. 그렇게 마지막으로 준비된 앨범이 바로 ‘Goodbye Aluminium’ 이다. 이 낯선 조합의 제목은 고교야구에서 알루미늄 배트의 사용이 사라짐을 아쉬워하며 만들어진 것으로, 달빛요정에게 알루미늄 배트란 순결한 아마추어리즘을 의미하는, 처음 산 기타와 같은 순수의 상징이었을 것이다. 세상이 달빛요정에게서든, 그 누구에서든 아마추어임을(혹은 아마추어처럼 보임을) 원하지 않는다는 서글픔을 긴 기타솔로 후주와 함께 조용히 읍 조린 달빛요정은 세상을 향해, 당당히 붙어보자며 외쳐본다(나의 노래). 그러나 그에게 돌아온 건 생활을 위해 치킨 집에서 배달을 해야 하는 고단한 삶이었다(치킨런). 정말 열심히 음악만 했는데 내가 왜 초라한 삶을 살아야 하는지 고민하며(도토리) 허기짐에 울부짖기도 한다(고기반찬). 실패한 뮤지션으로서 자신의 현실을 파악한 달빛요정은 그 원인을 찾아본다. 결국 삶이란 벗어날 수 없는 굴레라는 걸, 꿈은 꿈대로 갖고 있는 편이 좋았다는 걸 깨달으며(스무 살의 나에게), 스무 살 그 때, 동사무소 방위시절에 느꼈던 패배감과 세상에 대한 분노, 안타까움을 노래한다(길동전쟁2, 내가 뉴스를 보는 이유) 허나 아무리 저주받은 인생이라도 사랑이 없으랴. ‘나를 연애하게 하라’ 며 사랑을 꿈꿔보지만 행복했던 사랑의 순간은(달려간다) 결국 너무 짧게 산산조각 나고 만다(모든 걸 다 가질 순 없어). 아아, 이토록 저주받은 인생이라도 사랑만 있다면 행복했을 것을. 그 흔한 사랑에게조차 외면당한 달빛요정은 이제 조용히 허황된 요정행세를 접고 자발적 패배주의자가 아닌, 진정한 인간의 낙오자 대열에 합류한다(요정은 간다). 그러나 그렇게 골방 속에 갇혀 있으면서도 자신을 향해 다 잘 될 거라는 주제넘은 위로를 하며(칩거) 앨범은 막을 내린다. 보너스트랙으로 실린 ‘사나이’는 먹고 살기 바쁨에도 불구하고 저주받은 뮤지션의 우울한 음반을 끝까지 다 듣는 수고를 한 대한민국의 수컷들에게 바치는 노래이다.
이 앨범은 능력 없이 열망만 가득했던 실력 없는 뮤지션이 서른 중반이 되어서야 현실을 인식하고 자신이 패배자이며 낙오자임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그린 앨범이다. 다행히 달빛요정은 연봉 1000만원에 만족하며 은퇴결심을 일단 거두었지만 음악을 향한 정말 순수했던 열정은 이 앨범이 마지막이 될 지도 모르겠다. 온갖 낯설고 불친절한 지시어와 대중과의 소통을 고려하지 않은 사운드로 무장한 이 앨범은 바쁘게 살다가 음악을 통해 휴식을 취하려는 많은 사람들에게 불쾌하게 다가올 수도 있을 것이다. 위악적이거나 작위적이라는 비난도 있을 수 있다. 누가 달빛요정을 이렇게 만들었나, 전업 뮤지션으로서 연봉1200이 그렇게 허황된 꿈이었단 말인가. 찬란히 빛나는 문명의 21세기, 국민소득 2만 불의 대한민국에서 주변인으로 도태된 달빛요정이 노래하는 상대적 박탈감. 행복한 사람은 듣지 마세요, 굿바이 알루미늄.
저주받은 뮤지션 달빛요정의 새 앨범 ‘Goodbye Aluminium’. 2004년, ‘절룩거리네’, ‘스끼다시 내 인생’이 담긴 1집 앨범으로 혜성과 같이 데뷔하였으나 최대의 히트곡이 방송금지를 당하며 시작된 저주, 이후 대중과의 소통을 모색하면서도 진실된 노랫말과 멜로디에 개성 있는 창법이 얹혀진, 본인 스스로 명명했던 달빛요정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며 정규2집과 싱글, EP 등을 발표하였으나 요정이 아닌 호빗에 가까운 외모로 인해 독특한 노래에 관심을 가졌던 팬들은 등을 돌렸고 진심을 담았던 그의 노랫말은 평이한 연주로 인해 그 빛이 바랬다. 결국 그에게 남은 것은 1년 넘게 밀린 월세와 낡은 기타들이 나뒹구는 자취방, 신용불량의 딱지뿐. 가난하게 살아도 음악을 하면서 살겠다는 그 소박한 꿈은 절망으로 바뀌게 된다.
그리하여 2007년 새해, 달빛요정은 큰 결심을 하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연봉 1200. 즉 월수입 100만원이 되지 않으면 음악을 그만 해야겠다는 것이었다. 그렇게 마지막으로 준비된 앨범이 바로 ‘Goodbye Aluminium’ 이다. 이 낯선 조합의 제목은 고교야구에서 알루미늄 배트의 사용이 사라짐을 아쉬워하며 만들어진 것으로, 달빛요정에게 알루미늄 배트란 순결한 아마추어리즘을 의미하는, 처음 산 기타와 같은 순수의 상징이었을 것이다. 세상이 달빛요정에게서든, 그 누구에서든 아마추어임을(혹은 아마추어처럼 보임을) 원하지 않는다는 서글픔을 긴 기타솔로 후주와 함께 조용히 읍 조린 달빛요정은 세상을 향해, 당당히 붙어보자며 외쳐본다(나의 노래). 그러나 그에게 돌아온 건 생활을 위해 치킨 집에서 배달을 해야 하는 고단한 삶이었다(치킨런). 정말 열심히 음악만 했는데 내가 왜 초라한 삶을 살아야 하는지 고민하며(도토리) 허기짐에 울부짖기도 한다(고기반찬). 실패한 뮤지션으로서 자신의 현실을 파악한 달빛요정은 그 원인을 찾아본다. 결국 삶이란 벗어날 수 없는 굴레라는 걸, 꿈은 꿈대로 갖고 있는 편이 좋았다는 걸 깨달으며(스무 살의 나에게), 스무 살 그 때, 동사무소 방위시절에 느꼈던 패배감과 세상에 대한 분노, 안타까움을 노래한다(길동전쟁2, 내가 뉴스를 보는 이유) 허나 아무리 저주받은 인생이라도 사랑이 없으랴. ‘나를 연애하게 하라’ 며 사랑을 꿈꿔보지만 행복했던 사랑의 순간은(달려간다) 결국 너무 짧게 산산조각 나고 만다(모든 걸 다 가질 순 없어). 아아, 이토록 저주받은 인생이라도 사랑만 있다면 행복했을 것을. 그 흔한 사랑에게조차 외면당한 달빛요정은 이제 조용히 허황된 요정행세를 접고 자발적 패배주의자가 아닌, 진정한 인간의 낙오자 대열에 합류한다(요정은 간다). 그러나 그렇게 골방 속에 갇혀 있으면서도 자신을 향해 다 잘 될 거라는 주제넘은 위로를 하며(칩거) 앨범은 막을 내린다. 보너스트랙으로 실린 ‘사나이’는 먹고 살기 바쁨에도 불구하고 저주받은 뮤지션의 우울한 음반을 끝까지 다 듣는 수고를 한 대한민국의 수컷들에게 바치는 노래이다.
이 앨범은 능력 없이 열망만 가득했던 실력 없는 뮤지션이 서른 중반이 되어서야 현실을 인식하고 자신이 패배자이며 낙오자임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그린 앨범이다. 다행히 달빛요정은 연봉 1000만원에 만족하며 은퇴결심을 일단 거두었지만 음악을 향한 정말 순수했던 열정은 이 앨범이 마지막이 될 지도 모르겠다. 온갖 낯설고 불친절한 지시어와 대중과의 소통을 고려하지 않은 사운드로 무장한 이 앨범은 바쁘게 살다가 음악을 통해 휴식을 취하려는 많은 사람들에게 불쾌하게 다가올 수도 있을 것이다. 위악적이거나 작위적이라는 비난도 있을 수 있다. 누가 달빛요정을 이렇게 만들었나, 전업 뮤지션으로서 연봉1200이 그렇게 허황된 꿈이었단 말인가. 찬란히 빛나는 문명의 21세기, 국민소득 2만 불의 대한민국에서 주변인으로 도태된 달빛요정이 노래하는 상대적 박탈감. 행복한 사람은 듣지 마세요, 굿바이 알루미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