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최정원, 록시를 지나 벨마 앞에 선 여인

공연을 열흘 남짓 앞두고 있는 배우들에게 공통적으로 포착되는 현상이 있다. 겉으로는 밝지만 사실 ‘웃는 게 웃는 게 아닌’ 상태. 첫 공연이 성공적으로 올라갈까에 대한 초조함과 내가 과연 잘 하고 있는가에 대한 의구심이 배우를 가만히 두지 않아서다. 노련한 배우로 정평이 나 있는 최정원도 뮤지컬 [시카고]의 개막을 앞두고 “이 맘 때 즈음에는 잠도 잘 안 온다”며 긴장감을 드러낸다.


“사실 어떤 공연이든 일주일 전에는 기분이 썩 좋지 않아요. 이게 맞게 가는 건지, 틀린 건지 첫 무대가 올라가야 체감할 수 있으니까요. 첫 공연에서 관객의 환호가 들리고서야 안심하고 기쁘고 하는 거죠. 그래서 저는 개막 하루 전에 머릿속으로 무대를 처음부터 끝까지 그려보곤 해요. 객석에서 연기하는 최정원을 바라보는 거에요. 2시간 이상 그려보는데 꽤 효과가 있어요. ‘어? 저 부분은 엉덩이가 너무 뒤로 갔네’ 하면서 말이에요(웃음).”

미스터리 짙은 여인, ‘벨마’
[시카고]는 1975년 전설적인 안무가 밥 파시가 처음 브로드웨이에 올리고 1996년 연출가 월터 바비가 리메이크해 이듬해 6개 부문에서 토니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2002년 영화로도 만들어지며 대중에게도 잘 알려진 뮤지컬이다. 최정원은 지난 2000년 이 작품에서 록시를 연기해 뮤지컬 대상 여우주연상을 거머쥐었다. 그리고 7년이 흐른 지금, 록시와 함께 극을 이끌어 가는 여인 벨마 켈리를 연기하는 흔치 않은 경험을 하고 있다. 같은 작품에서 두 여주인공을 모두 경험하는 것은 그에게도 처음 있는 일. 록시와 벨마는 둘 다 남편과 정부를 죽였다는 공통점 이외에는 모든 면에서 반대인 캐릭터다.

“벨마는 록시와는 달리 굉장히 이성적이고 똑똑하면서도 속을 잘 안 내보이는 여자에요. 그래서 연기할 때 절제가 많이 필요해요. 저는 멋있는 척하기보다는 솔직하고 진실되게 접근하려 해요. ‘벨마는 아마 이럴거야’라며 대사에 힘을 주고, 과장하는 연기는 자제하는 것처럼. 특히 최정원이 할 수 있는 벨마를 찾기 위해 동분서주했거든요. 벨마에 동화하지만 벨마라는 캐릭터에 함몰 돼서도 안 되기 때문에 균형을 맞추는 게 항상 관건이었어요.”

작품 이야기가 이어지자 밥파시의 춤이 자연스럽게 화두에 올랐다. 이 대목에서 그는 “정말 완벽하다”며 감탄을 잊지 않는다. 사실 [시카고]를 말하면서 밥 파시의 독특하고 세련된 춤을 빼놓을 수 없다. 게다가 이번 작품은 지난 2000년과 달리 오리지널 안무가가 내한해 배우들을 트레이닝 하고 있으니 기대감은 커질 수 밖에. 최정원은 직접 한 구절의 노래를 부르며 작은 안무 하나를 선보였다. 앉은 상태에서 한 간단한 안무지만 보는 이 입장에서는 눈과 귀가 호사다.

“<차를 타고 멋진 곳으로 가~> 이 부분 할 때 손 동작을 보세요. 차 키를 돌리는 아주 간단한 안무인데 이것만 2시간 이상 익혔어요. 대극장에서 관객들에게 이런 작은 손 동작은 안 보이잖아요. 동작을 크게 해야지….하지만 절대로 그렇게 하지 않아요. 밥 파시의 안무는 모든 동작 하나하나에 의미가 있어서 춤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언어에 가까운 거 같아요.”



긍정의 힘을 알다
인터뷰 진행 중, 문득 최정원에게는 특별한 체력관리 비법이 있을 거라는 확신이 들었다. 그을 만난 건 [시카고] 연습이 막 끝난 저녁 무렵. 격렬한 연습을 거친 직후이기 때문에 약간의 피곤함과 나른한 내색이 있을 만 한데 오히려 ‘쌩쌩’하니 말이다. 게다가 빛나는 까무잡잡한 피부와 날씬한 몸매가 한 아이의 엄마임을 떠올리지 못하게 한다. 비법 좀 공개 해달라 했다.

“하하 특별한 건 하나도 없어요. 다만 몸을 움직여서 표현하는 걸 좋아해요. 스킨십을 좋아하고, 열정적으로 빠져드는 걸 좋아하고요. 따로 헬스클럽에서 운동을 하는 건 아니지만 꾸준히 관리를 하고 있어요. 그러다 보니 아직까지 배에 왕(王)자가 있고 후배들도 ‘오~언니’ 해줘요(웃음). 무엇보다 무대에서 호흡과 에너지가 달리면 안 되니까 항상 노력해야 해요. 그나마 몸 쓰고 움직이는 걸 좋아해서 다행이라면 다행 이려나? ”

최정원은 좋아하는 게 많다. 앞서 말한대로 움직이는 것, 스킨십, 아끼는 사람과의 대화를 좋아한다. 그리고 함께 공연하는 배우들을 좋아한다. 특히 이번에는 함께 공연하는 ‘록시들’에게 반했다. 옥주현은 생각보다 열정이 가득하고 순수해서 깜짝 놀랐고, 배해선은 워낙 대작들을 많이 한 후배라 말이 필요 없을 정도다.
“그들은 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보다 훨씬 많은 걸 끌어내 주는 동료들이에요. 공연에서는 경쟁이 있을 수 없어요. 밖에선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무대에서는 거울처럼 챙겨주고 사랑해야 하니까. 그러니 좋은 배우들을 만나면 얼마나 좋겠어요.”

그와의 대화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사는 사람이 가질 수 있는 긍정적인 마음이 전달된다. 최정원 스스로도 '난 긍정적인 사람'임에 스스럼이 없다. “솔직히 난 정말 행운아에요. 사랑하는 일을 직업으로 가졌으니까. 그래서 모든 게 다 감사해요. 이런 핸드폰이 있는 것도 감사하고, 좋아하는 사우나를 하거나 떡볶이를 먹을 때도 행복하고 감사해요. 설사 길을 가다가 넘어져도, 아..좋은 일이 생기려고 이랬나 보다 생각하곤 해요.”

"첫공연 희열이란..."
최정원은 천상 뮤지컬 배우다. 초등학교 시절 연기하는 걸 좋아해서 연기 학원을 다녔고, 5학년 때 처음으로 작은 무대에도 섰다. 뮤지컬 영화 [singing in the rain]을 보고 뮤지컬 배우를 꿈꾸며, 고등학교 시절엔 배우 오디션을 보곤 했다. 1989년 뮤지컬 [아가씨와 건달들] 이후 그는 항상 한국 뮤지컬의 대표 얼굴이었다. 10년 전, 뮤지컬이 낯설었던 그때부터 지금 현재까지 말이다.

그가 배우로서 힘들었던 때는 딸 수아를 낳은 직후다. 엄마에게서 떨어지지 않으려는 아이를 두고 무대에 선다는 데 죄책감이 들었다. 공연을 하면서도 불안하고 ‘나는 왜 좋은 엄마가 되지 못하는 걸까’ 고민했다.
“하지만...지금은 그런 생각을 넘어섰어요. 내가 행복해야 아이가 행복하고 남편이 행복하니까요. 그래서 무대에서는 아이 생각을 지우고, 집에서는 무대 생각을 지워요. 요즘 수아는 무대에 선 엄마 모습을 좋아해요. 수아가 제일 좋아했던 무대요? 음…[토요일밤의 열기]요. 화려한 춤이 나오는 걸 특히 좋아하더군요(웃음).”

이제 점점 다가오는 [시카고]의 개막에 최정원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었다. 사실 그는 첫 공연을 가장 좋아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마지막 공연을 선호한다지만 그는 두 달 혹은 석 달 동안 매달려 연습한 모든 게 풀어지는 첫 공연에 희열을 느낀다. 그래서 최정원의 노트에는 ‘언제나 처음처럼, 처음을 언제나 처럼’이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최정원이 처음 뮤지컬 무대에 데뷔했을 때 적어놓은 말이다. 모든 무대를 그의 ‘첫 공연’과 같은 자세로 임하겠다는 각오다.

이 날 최정원은 옥주현과 함께 라디오 프로그램 출연이라는 또 다른 스케줄이 잡혀있었다. 아침부터 밤까지 연습과 인터뷰로 빡빡한 일정이지만 열정은 그를 지치게 놔두질 않는 거 같다. 씩씩한 그녀가 일어나기 전 마지막 한 마디를 남겼다.

“뮤지컬 배우를 꿈꾸는 학생들도 많은데 한 가지만 묻고 싶어요. 정말 이 일을 사랑하는가 하고. 그리고 끝까지 사랑할 수 있다면, 언제든 도전했음 좋겠어요. 그리고… 시카고 매력적인 작품이니까 기대해 주시고요(웃음).”


글 : 송지혜(인터파크ENT 공연기획팀 song@interpark.com)
사진 : 다큐멘터리 허브(club.cyworld.com/docuherb)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