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비타의 이름으로, 정선아 & 리사
작성일2011.12.02
조회수15,361
동전의 양면과 같은 여자, 부자들의 창녀이자 가난한자들의 성녀로 대표되는 아르헨티나의 국모 에바 페론(에비타). 시골 빈민층의 사생아로 태어나 삼류 배우에서 국민들의 사랑을 받는 퍼스트레이디가 되기 까지 삼십삼 년의 생을 살다간 꼬마 에바, 에비타의 삶은 말 그대로 불꽃처럼 짧고도 화려했다. 여자라면 누구나 꿈꿔봤을 퍼스트레이디의 꿈이 실현된 뮤지컬 <에비타>에는 폭발적 가창력으로 주목 받고 있는 정선아, 리사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돈 크라이 포미 아르헨티나’, 격정적 드라마, 강렬한 탱고로 대표되는 뮤지컬 <에비타>에 펼쳐질 두 디바의 무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에바 페론’의 매력과 똑 닮은 정선아, 리사의 무대가 찾아온다.
시작, <에비타>
에비타의 아름다움에 빠진 페론, 인생의 등급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켜줄 남자를 원했던 에비타. 에비타의 매력이 돋보이는 ‘자선 음악회’ 장면에서 도발적으로 느껴지는 정선아와 리사의 눈빛이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에비타, 여배우라면 누구나 꿈꿔봤을 역할이다.
정선아 (이하 선아): 앤드류 로이드 웨버 음악만으로도 정말 유명한 작품이지 않나. ‘돈 크라이 포미 아르헨티나~’만 아는 분들이 많은데 모든 장면을 명장면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보여드리고 싶은 게 많은 작품이다. 특히 이번 공연은 에비타의 가슴에서 뿜어내는 열정이 화려하게 잘 표현됐다. 여배우가 원톱으로 나선다는 점에서 ‘버겁지 않을까’라는 고민도 했었는데, (이)지나 연출님이 체게바라, 페론이 모두 돋보일 수 있게 무게를 고루 나눠두셨다. 작품도 좋았지만 연출님에 대한 믿음으로 <에비타>에 합류하게 됐다.
리사: 에비타와 관련된 책, 자료를 보면서 뮤지컬 <에비타> 작품에 대해 새삼, 다시 놀랐다. 음악이 듣기에만 좋은 게 아니고 ‘아, 왜 이런 노래가 나왔는지 알겠다’라고 수긍이 된다. 몰입을 하려고 노력하거나, 억지로 만들어내려고 고민할 필요가 없을 정도다.
선아: 맞다, 에비타의 일생을 보더라도 이 작품의 노래들은 정말 천재적으로 좋은 것 같다.
리사: 연출님께 <에비타>에 대한 좋은 점을 듣고 작품 자체에 매력을 느끼기도 했지만, 선아와 같은 작품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계속 해왔었다. 선아와 함께 한다는 점도 끌렸다. 연습실에 오면 다른 남자 배우들을 찾는 게 아니라 “선아 어디 갔어요?”, “선아 언제 와요?” 하면서 선아부터 찾는다 (웃음).
선아: 리사 언니는 정말 한결같다. 보통 남자배우와의 호흡에 대해서 이야기하는데 리사 언니와 나는 연습실에 와서 빨리 친해졌고, 서로의 매력을 간파했다. (웃음) 더블 캐스팅된 여배우가 이렇게 지내기는 쉽지 않은 것 같은데.
공통점도 많을 것 같은데.
선아: 고기를 좋아하고, 옷도 비슷한 스타일을 좋아하고, 이야기가 잘 통한다.
리사: 더블 캐스팅된 여배우끼리 바이브(vibe)가 안 맞을 경우에는 대립적이 되기 마련인데, 선아와는 잘 맞는다. 동생이지만 속도 깊고, 생각도 많은 친구라서 동생보다는 친구 같은 느낌이 강하다. 선아와 내가 어린 시절을 외국에서 보냈다는 것, 기독교인이라는 점 등 함께 나눌 수 있는 부분들이 많다.
<에비타>, 나를 더 뜨겁게
연말, 공연시장을 달구고 있는 ‘남자 배우 티켓파워’속에 주 관객층인 20대를 비롯해서 중, 장년층을 공략중인 명작 <에비타>의 역공은 시작됐다. 뮤지컬 거장으로 꼽히는 팀 라이스와 앤드루 로이드 웨버의 손길, 토니상 7개 부문 수상 등 드라마, 음악, 춤 삼박자를 갖춘 연말 명작 <에비타>의 중심에는 정선아, 리사가 서 있다.
에비타와의 공통점이 있다면.
선아: 그녀는 한 마디로 영리한 여자다.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서 이를 악 물줄 아는 열정은 비슷한 것 같다. 에비타와 점점 닮아가는 걸 느낀다. 페론파를 주장하며 선동하는 장면에서 가슴이 뭉클해지는 걸 느낀다. 부끄러운 이야기이지만 정치에는 관심이 없었다. 가난한 사람, 서민들을 위해 권력층과 맞서 싸우는 에비타를 연기하면서 묘한 기분을 느꼈다. 요즘, 우리나라의 정치,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시각이 생긴 것도 사실이다.
리사: 남자를 이용하고, 온갖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 퍼스트 레이디 자리까지 올라간 그녀가 가진 진정성에 대해서 생각하게 됐다. 살면서‘진실하게 살자’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면서 진정성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는 편인데 국민을 생각하는 에비타의 마음은 진심이었던 것 같다. 문득, 그 진심에 소름이 끼칠 정도다.
‘정선아는 세계 최고의 에비타, 리사는 세계 유일의 에비타를 보여줄 것’ 이라는 이야기가 있더라.
선아: 다른 모습의 에비타라는 걸 그렇게 표현한 것 같다. 나는 천방지축, 뛰어다니는 이미지가 강하지 않나. 리사 언니의 갸날프고, 보호해주고 싶은 모습이 영부인이 된 2막에서 빛을 발한다. ‘아, 저런 모습도 있구나’라는 생각으로 언니를 보면서 누르는 힘을 배운다. 그렇게 배운 것들 것 정선아 식으로 다시 표현되는 것 같다.
더블 캐스팅 공연은 오랜만이다.
선아: 더블 캐스팅, 나도 좋아한다. <아이다><아가씨와 건달들> 등 원 캐스트 공연이 대다수였는데 오랜만에 더블 캐스팅을 하게 되니 장점도 많고, 좋은 점을 많이 느낀다.
리사: 선아와는 반대로 대부분 더블 캐스팅 공연을 해왔었다. <광화문 연가>에서 처음으로 원 캐스트 공연을 했었는데 고민이 정말 많았다. “아파서 쓰러지면 어떻게 해요?”라고 계속 물어봤을 정도로. 공연 기간도 짧았고, 정신을 바짝 차리고 있어서 그런지 끝나고 나서 아프더라. (웃음)
에비타 비중이 70 퍼센트가 넘는다고 들었다. 거의 모든 장면에서 노래를 불러야 한다고 하던데.
선아: 70 퍼센트? 90 퍼센트 이상 되는 것 같은데! 무대에 계속 있어야 한다는 점은 힘들지만 그 만큼 호흡을 끊지 않고 연기할 수 있다. 숨고를 틈도 없으니까. 집중력은 정말 최고조일 수 밖에 없다.
2006 <에비타>때와는 뮤지컬 관객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
리사: 남자가 원톱으로 나서는 뮤지컬이 많아진 게 사실이다. <아이다>를 포함해서, 여성이 멋지게 나오는 뮤지컬에서 여성 관객이 재미있게 볼 수 있는 포인트들이 많지 않은가. 예쁜 척, 연약한 척하는 캐릭터가 등장하는 작품보다는 여성관객이 뜨겁게 볼 수 있는 작품이 바로 <에비타>라고 생각한다.
<광화문 연가>, 리사의 폭발적인 가창력이 화제를 모았었는데.
선아: ‘그녀의 웃음 소리 뿐’넘버를 듣고 정말 기절할 뻔했다. 임팩트가 커서 빨간드레스 입은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다. 소문으로만 듣다가 리사 언니의 공연을 처음 봤던 거다. 대기실에 가서 지나 선생님에게 “와 정말 잘하네요” 했더니 “잘하지, 우리 리사”라고 말씀하시더라. 선생님은 우리를 큰딸, 작은딸이라고 불러 주신다. 솔직히 <광화문 연가>에서는 리사언니 밖에 안보이더라. (웃음)
리사: <드림걸즈> 에서는 선아 밖에 안보였다, 정말로 (웃음). <드림걸즈>가 미국인을 컨셉으로 하는 작품인데 선아 혼자 미국인의 느낌을 풍기더라. 고개를 흔들거나, 손 흔드는 각도가 정말 달랐다. ‘한국에 저런 배우가 있었나’라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난다.
서로를 알지 못했을 때에는 경계심도 있었을 것 같은데.
리사: 피곤하지 않나. 언젠가 더블 캐스팅된 배우가 나에게 경계심을 갖고 있다는 걸 느낀 적이 있었는데, 나중에는 마음을 열더라. 다른 사람에게 경계심, 질투를 느끼는 성격이 아니다. 누굴 만나도 그렇다.
선아: 그건 언니도, 나도 마찬가지다. 그런 마인드가 통해서 비슷한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리사 배우는 공교롭게도 뮤지컬 출연작 모두 이지나 연출의 작품이었다.
리사: 선생님 소속배우인 줄 아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다(웃음). 다른 작품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할 때 선생님이 좋은 작품을 이야기해주신다. 제 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연출 분들과도 작품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은 선생님과 함께하는 게 편하고 좋다. 워낙 저를 잘 아는 분이다.
선아: 요즘 최고의 주가를 올리고 있지 않나. 어떤 연출보다 진보적이고, 판에 박힌 생각을 하지 않는다. 사회의 변화를 무대에서 보여주고 있다는 점, <에비타>에서 여성 연출가와 함께 한다는 점도 큰 의미가 있는 것 같다.
공연 전쟁이라는 연말이다. <에비타>만의 강점이 있다면.
선아: 지금, 이 시점에 <에비타>를 볼 수 있다는 게 강점인 것 같다. 희로애락은 물론이고, 사회 어떤 계층이 봐도 공감할 수 있는, 배울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연말 기분을 낼 수 있는 가장 좋은 뮤지컬이다. 뚝심, 꽉 찬 알맹이를 갖고 있다.
리사: 절대 티켓 값이 아깝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노래를 듣는 것 만으로도 감동인 작품이다. 많은 작품을 한 건 아니지만, 그 동안 많은 작품을 보고 느껴왔다. <에비타>는 뭔가 다른 점을 갖고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글: 강윤희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kangjuck@interpark.com)
사진: 기준서(스튜디오춘 www.studiochoon.com)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시작, <에비타>
에비타의 아름다움에 빠진 페론, 인생의 등급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켜줄 남자를 원했던 에비타. 에비타의 매력이 돋보이는 ‘자선 음악회’ 장면에서 도발적으로 느껴지는 정선아와 리사의 눈빛이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정선아 (이하 선아): 앤드류 로이드 웨버 음악만으로도 정말 유명한 작품이지 않나. ‘돈 크라이 포미 아르헨티나~’만 아는 분들이 많은데 모든 장면을 명장면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보여드리고 싶은 게 많은 작품이다. 특히 이번 공연은 에비타의 가슴에서 뿜어내는 열정이 화려하게 잘 표현됐다. 여배우가 원톱으로 나선다는 점에서 ‘버겁지 않을까’라는 고민도 했었는데, (이)지나 연출님이 체게바라, 페론이 모두 돋보일 수 있게 무게를 고루 나눠두셨다. 작품도 좋았지만 연출님에 대한 믿음으로 <에비타>에 합류하게 됐다.
리사: 에비타와 관련된 책, 자료를 보면서 뮤지컬 <에비타> 작품에 대해 새삼, 다시 놀랐다. 음악이 듣기에만 좋은 게 아니고 ‘아, 왜 이런 노래가 나왔는지 알겠다’라고 수긍이 된다. 몰입을 하려고 노력하거나, 억지로 만들어내려고 고민할 필요가 없을 정도다.
선아: 맞다, 에비타의 일생을 보더라도 이 작품의 노래들은 정말 천재적으로 좋은 것 같다.
리사: 연출님께 <에비타>에 대한 좋은 점을 듣고 작품 자체에 매력을 느끼기도 했지만, 선아와 같은 작품을 하고 싶다는 생각을 계속 해왔었다. 선아와 함께 한다는 점도 끌렸다. 연습실에 오면 다른 남자 배우들을 찾는 게 아니라 “선아 어디 갔어요?”, “선아 언제 와요?” 하면서 선아부터 찾는다 (웃음).
선아: 리사 언니는 정말 한결같다. 보통 남자배우와의 호흡에 대해서 이야기하는데 리사 언니와 나는 연습실에 와서 빨리 친해졌고, 서로의 매력을 간파했다. (웃음) 더블 캐스팅된 여배우가 이렇게 지내기는 쉽지 않은 것 같은데.
선아: 고기를 좋아하고, 옷도 비슷한 스타일을 좋아하고, 이야기가 잘 통한다.
리사: 더블 캐스팅된 여배우끼리 바이브(vibe)가 안 맞을 경우에는 대립적이 되기 마련인데, 선아와는 잘 맞는다. 동생이지만 속도 깊고, 생각도 많은 친구라서 동생보다는 친구 같은 느낌이 강하다. 선아와 내가 어린 시절을 외국에서 보냈다는 것, 기독교인이라는 점 등 함께 나눌 수 있는 부분들이 많다.
<에비타>, 나를 더 뜨겁게
연말, 공연시장을 달구고 있는 ‘남자 배우 티켓파워’속에 주 관객층인 20대를 비롯해서 중, 장년층을 공략중인 명작 <에비타>의 역공은 시작됐다. 뮤지컬 거장으로 꼽히는 팀 라이스와 앤드루 로이드 웨버의 손길, 토니상 7개 부문 수상 등 드라마, 음악, 춤 삼박자를 갖춘 연말 명작 <에비타>의 중심에는 정선아, 리사가 서 있다.
선아: 그녀는 한 마디로 영리한 여자다.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서 이를 악 물줄 아는 열정은 비슷한 것 같다. 에비타와 점점 닮아가는 걸 느낀다. 페론파를 주장하며 선동하는 장면에서 가슴이 뭉클해지는 걸 느낀다. 부끄러운 이야기이지만 정치에는 관심이 없었다. 가난한 사람, 서민들을 위해 권력층과 맞서 싸우는 에비타를 연기하면서 묘한 기분을 느꼈다. 요즘, 우리나라의 정치,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시각이 생긴 것도 사실이다.
리사: 남자를 이용하고, 온갖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 퍼스트 레이디 자리까지 올라간 그녀가 가진 진정성에 대해서 생각하게 됐다. 살면서‘진실하게 살자’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면서 진정성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는 편인데 국민을 생각하는 에비타의 마음은 진심이었던 것 같다. 문득, 그 진심에 소름이 끼칠 정도다.
선아: 다른 모습의 에비타라는 걸 그렇게 표현한 것 같다. 나는 천방지축, 뛰어다니는 이미지가 강하지 않나. 리사 언니의 갸날프고, 보호해주고 싶은 모습이 영부인이 된 2막에서 빛을 발한다. ‘아, 저런 모습도 있구나’라는 생각으로 언니를 보면서 누르는 힘을 배운다. 그렇게 배운 것들 것 정선아 식으로 다시 표현되는 것 같다.
선아: 더블 캐스팅, 나도 좋아한다. <아이다><아가씨와 건달들> 등 원 캐스트 공연이 대다수였는데 오랜만에 더블 캐스팅을 하게 되니 장점도 많고, 좋은 점을 많이 느낀다.
리사: 선아와는 반대로 대부분 더블 캐스팅 공연을 해왔었다. <광화문 연가>에서 처음으로 원 캐스트 공연을 했었는데 고민이 정말 많았다. “아파서 쓰러지면 어떻게 해요?”라고 계속 물어봤을 정도로. 공연 기간도 짧았고, 정신을 바짝 차리고 있어서 그런지 끝나고 나서 아프더라. (웃음)
선아: 70 퍼센트? 90 퍼센트 이상 되는 것 같은데! 무대에 계속 있어야 한다는 점은 힘들지만 그 만큼 호흡을 끊지 않고 연기할 수 있다. 숨고를 틈도 없으니까. 집중력은 정말 최고조일 수 밖에 없다.
리사: 남자가 원톱으로 나서는 뮤지컬이 많아진 게 사실이다. <아이다>를 포함해서, 여성이 멋지게 나오는 뮤지컬에서 여성 관객이 재미있게 볼 수 있는 포인트들이 많지 않은가. 예쁜 척, 연약한 척하는 캐릭터가 등장하는 작품보다는 여성관객이 뜨겁게 볼 수 있는 작품이 바로 <에비타>라고 생각한다.
선아: ‘그녀의 웃음 소리 뿐’넘버를 듣고 정말 기절할 뻔했다. 임팩트가 커서 빨간드레스 입은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다. 소문으로만 듣다가 리사 언니의 공연을 처음 봤던 거다. 대기실에 가서 지나 선생님에게 “와 정말 잘하네요” 했더니 “잘하지, 우리 리사”라고 말씀하시더라. 선생님은 우리를 큰딸, 작은딸이라고 불러 주신다. 솔직히 <광화문 연가>에서는 리사언니 밖에 안보이더라. (웃음)
리사: <드림걸즈> 에서는 선아 밖에 안보였다, 정말로 (웃음). <드림걸즈>가 미국인을 컨셉으로 하는 작품인데 선아 혼자 미국인의 느낌을 풍기더라. 고개를 흔들거나, 손 흔드는 각도가 정말 달랐다. ‘한국에 저런 배우가 있었나’라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난다.
리사: 피곤하지 않나. 언젠가 더블 캐스팅된 배우가 나에게 경계심을 갖고 있다는 걸 느낀 적이 있었는데, 나중에는 마음을 열더라. 다른 사람에게 경계심, 질투를 느끼는 성격이 아니다. 누굴 만나도 그렇다.
선아: 그건 언니도, 나도 마찬가지다. 그런 마인드가 통해서 비슷한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리사: 선생님 소속배우인 줄 아시는 분들도 있을 것 같다(웃음). 다른 작품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할 때 선생님이 좋은 작품을 이야기해주신다. 제 다른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연출 분들과도 작품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은 선생님과 함께하는 게 편하고 좋다. 워낙 저를 잘 아는 분이다.
선아: 요즘 최고의 주가를 올리고 있지 않나. 어떤 연출보다 진보적이고, 판에 박힌 생각을 하지 않는다. 사회의 변화를 무대에서 보여주고 있다는 점, <에비타>에서 여성 연출가와 함께 한다는 점도 큰 의미가 있는 것 같다.
선아: 지금, 이 시점에 <에비타>를 볼 수 있다는 게 강점인 것 같다. 희로애락은 물론이고, 사회 어떤 계층이 봐도 공감할 수 있는, 배울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연말 기분을 낼 수 있는 가장 좋은 뮤지컬이다. 뚝심, 꽉 찬 알맹이를 갖고 있다.
리사: 절대 티켓 값이 아깝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노래를 듣는 것 만으로도 감동인 작품이다. 많은 작품을 한 건 아니지만, 그 동안 많은 작품을 보고 느껴왔다. <에비타>는 뭔가 다른 점을 갖고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글: 강윤희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kangjuck@interpark.com)
사진: 기준서(스튜디오춘 www.studiochoon.com)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