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연극에 이어 창작 뮤지컬로 탄생 <엄마를 부탁해>

2008년 출판된 신경숙의 소설 ‘엄마를 부탁해’는 엄마를 잃어버렸다는 다소 충격적인 상황에서 시작, 한 가정에서 엄마의 존재가 어떠했는지를 거슬러 떠올리는 전개로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베스트셀러 소설 뿐 아니라 2010년 연극 무대에도 올라 중장년을 극장으로 몰리게도 한 이야기가 2011년 창작 뮤지컬로 탄생했다.

엄마의 힘은 어디까지인지. 뮤지컬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는지. 딸들의 엄마이자, 엄마의 딸이기도 한 관객들이 관람 소감을 모았다.
(대담 내용 중 공연의 주요 전개와 표현 정보가 노출될 수 있습니다.)

참가자
손귀자(55) : 세 자녀의 엄마로 3, 4년 전부터 공연을 찾아보기 시작.
손정혜(53) : 평범한 대한민국 50대 주부.
이민아(27) : 취업준비 중. 엄마와 종종 공연장을 찾음.
김지은(24) : 대학생. 주로 좋아하는 배우를 따라 공연 선택.


창작 뮤지컬 <엄마를 부탁해>의 초연

손귀자(이하 귀자) : 소극장 공연도 많이 봤지만, 대극장의 느낌은 역시 달라요. 대극장이 주는 기분 자체도 관람에 큰 영향을 주는 것 같아요. 보러 가면 너무 행복하고. 대부분 무대나 작품도 좋은 경우가 많고요.

김지은(이하 지은) : 이 작품은 중극장 정도가 더 좋을 것 같아요. 대극장 공연은 의상이라든가, 대개 화려한 맛에 보잖아요. 대극장에서 본 <엄마를 부탁해>는 몰입도도 떨어지고, 뮤지컬이라기보다 연극이라는 느낌이 너무 많았거든요. 넘버 보다는 대사 위주였던 것 같아요.

이민아(이하 민아) : 연출하신 분이 <친정엄마와 2박 3일> 등 친정엄마 작품도 연출하셨다고 들었어요. 그래서인가 작품은 전혀 다른 내용이겠지만, 특유의 감성이라든가 무대 디자인 등이 비슷하게 많이 겹치는 느낌을 받았어요. 아들이 처음 근무했던 동사무소 숙직실도 구들장 같이, 꼭 그런 방 넣으시는 것 같고. 소설 읽으면서 생각했던 숙직실의 이미지와는 달랐어요.

소설에서 뮤지컬로

민아 : 소설 속 엄마는, 요즘 엄마들과 모습이 다르거든요. 저희 엄마가 소설을 읽으면 더 많이 공감하실 것 같았죠. 솔직히 저희 세대 부모님들이 이렇게 다 희생하거나, 까막눈이고 그러진 않으시잖아요.


지은 : 소설은 딸, 아버지, 어머니 시점으로 각각 전개가 되서 딸 부분에서 많이 공감을 했었어요. 뮤지컬 보면서 울고 싶진 않아 하는데, 공연 볼 때도 딸이 중심이 될 때 눈물이 나더라고요. 책에서 아버지 시점에선 화가 많이 났었어요. 그 아버지는 정말 너무 심하잖아요. 그런데 뮤지컬에서는 아버지 비중이 너무 없으셔서, 저 아버지 진짜 나쁘다, 그런 생각이 별로 안 들었던 것 같아요.

민아 : 소설은 엄마의 모습을 더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어서 조금 더 친밀하게 가까이 공감할 수 있었다면, 뮤지컬은 그냥 엄마의 엄마 이야기 같은, 엄마라는 이미지가 제게는 한 다리 건너서 있는 이야기로 다가왔어요.

왜 엄마는 가장 작은 나라에 살고 싶어 할까?

귀자 : 내용은 진짜 우리네 부모 자식간의 이야기지. 진짜 엄마하고 연극도 보러가고 싶고, 근데 현실은 그게 잘 안되잖아요. 그러려고 하면 이미 돌아가시고.

손정혜(이하 정혜): 마음은 있는데 효도는 못하고. 주변에 흔히 있을 수 있는 이야기죠.

민아 : 요즘 젊은이들 세대와는 딱 맞지는 않지만, 기본 정서는 똑같다고 봐요. 어머니가 자신을 희생하며 자식들을 챙기고. 그런 건 우리도 느끼는 거고, 그런 기본적인 바탕에서 많이 공감 했지요. 장녀 대사 중에 “남들 앞에선 잘 웃는데 엄마 앞에선 짜증만 낸다”고, 솔직히 다 공감하잖아요.

정혜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나라’ 그 부분이 정말 감동적이었어요. 부모는 자기가 사랑하는 자식들을 가까이에 다 두고 살고 싶잖아요. 언제든지 보고 싶을 때 보고. 그런 느낌을 표현한 거 아닐까요.


귀자 : 나도 서른 하나, 스물 아홉 살 딸이 있어요. 근데 정말 시집 안 보내고 싶어요. 우리가 결혼을 해 봤기 때문에. 연애하는 건 좋지만 결혼은 현실이잖아요. 요즘 늦게 결혼하는게 사회적으로는 안 좋고, 2세를 생각하면 좀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딸이 시집가는 건 섭섭하죠. 가도 가까이 살았으면 좋겠어요.

민아 : 극중에서도 엄마가 “돈 허투루 쓰지 말아라”라고, 저희 엄마도 그러시거든요. 네가 돈 버는 데 아껴 써야지, 하시고. 그런데 막상 공연 보여드리면, 더 좋은 자리 원하시고.(웃음)

귀자 : 진짜 우리 윗세대들 엄마는 정말 희생적이었지. 요즘하고는 많이 다르죠. 요즘은 가족들이 모이기도 힘들고. 우리 큰 애도 따로 살고 하니 진짜 자주 보고 싶은데 만날 수가 없어요. 옛날에는 한 가족이 같이 살고 그랬는데, 그런 모습이 조금씩 없어지니까. 그래서 이런 작품이 더 인기가 있는 게 아닐까요.

정혜 : 중장년층은 공연 내용을 다 이해해요. 왜냐면 다 겪어 오셨으니까. 특히 시골에서 사신 분들은 더 잘 알죠.

귀자 : 우리도, 엄마가 돌아가시고 나니 엄마 생각이 더 나요. 태어났을 때부터 엄마를 본 것이니, 우리에겐 처음부터 엄마는 어른이잖아요. 그런데 사실 엄마도 어린 시절이 있었는데. 크면서 더 묻고 이야기도 나눴으면 좋았을텐데.
민아 : 딸들은 어딘가 모르게 엄마에게는 아빠와는 좀 다른 감정이 있잖아요. 끊임없이 싸우면서 돌아서면 아무것도 아닌? 그런 애증 관계? 그런 유대 관계 때문에 딸들이 예매해서 부모님께 많이 보여드리는 것 같아요. 또 작품이 ‘엄마’에 초점이 맞춰져서 앞으로 내 자식이 태어나면 나도 엄마가 될 거고, 그렇게 엄마를 거슬러 올라가면 ‘보편적인 엄마’를 느끼게 되죠. 엄마를 이해하고 싶은 딸, 자신의 엄마를 이해하고 싶은 엄마, 그런 것 때문에 찾게 되는 것 같아요.


지은 : 이런 작품 몇 번을 봐도 제가 확 바뀌는 건 아니잖아요. 그래도 보면 눈물 나고, 엄마한테 전화해서 “엄마, 사랑해” 그러면 좀 마음이 편해지는 것 같아요. 한편으로는 죄책감이 덜어지는 것도 같고. 죄를 용서받는 그런 느낌(?)도 있는 것 같아요.

고요히 흐르는 노래, 발군의 배우들

귀자 : 전체적으로 귀에 거슬림 없이 매끄럽게 음악이 이어져서 좋았어요.

정혜 : 시작도 그렇고, 중간 중간에 군무가 들어가 있어서 작품의 활력소가 된다고 할까? 너무 분위기가 착 가라앉기만 하면 공연 보는 게 힘들 수도 있잖아요.

지은 : 선입견 일 수도 있는데, 김형석 작곡가는 유명하지만 가요를 주로 쓰시잖아요. 그래서 인지, <엄마를 부탁해> 넘버는 다른 뮤지컬 넘버들과는 동떨어진 느낌이 들었어요. 차지연 배우는 성량도 풍부하고 노래를 정말 잘 해서 충분히 질러 줄 수도 있는데, 그런 넘버가 너무 없는 거에요. 계속 참더라고요. 스토리가 약해도 넘버가 좋아서 뮤지컬 보는 분들도 꽤 계시잖아요.

민아 : 저는 오히려 생각보다 가요 느낌이 안 나서 좋았어요. 개인적으로 밝고 신나고 포인트가 있는 뮤지컬 넘버를 좋아해서 이 작품 음악에 큰 기대를 하지 않았던 게 이유일 수도 있겠죠. 그런데도 생각보다 자연스럽게 뮤지컬 넘버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 같아요. <엄마를 부탁해>는 넘버도 중요하겠지만, 극을 이끌어 가는 이야기, 그 포커스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거든요. 창작극에서, 특히 중후하고 다소 무거운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경우에는 음악이 스토리에 양보해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지요.

정혜 : 가요를 작곡한 사람이라고 계속 가요만 해야 하고, 뮤지컬 영역을 하면 안되고, 그게 아니라 새로이 도전을 하는 건 참 좋다고 생각해요. <엄마를 부탁해>의 음악도 극에 맞게 괜찮았던 것 같아요.


귀자 : 김성녀 배우의 팬이에요. <벽 속의 요정>을 봤을 때도 그 연세에 어린 아이부터 노인까지 다 소화한다는 게 정말 대단한 거죠. 이 작품에서도 혼례복 입고 나오는데, 그 모습도 어울리잖아요.

지은 : 김성녀 배우는 이 작품에서 처음 뵈었는데 정말 잘하시더라고요. 차지연 배우는 특징 있는 자기 넘버가 없는 듯 해서 아쉬웠고. 차녀 역할의 김경선 배우도 잘하시고요. 배우가 살리는 공연 같아요. 연기나 노래나 뭐 하나 빠지는 게 없고. 앙상블들도 다 제 역할을 하고요.

민아 : 공연을 볼 때 주연보다는 조연에 더 눈이 가는 편이에요. 김경선 배우는 저도 오늘 처음 봤는데 정말 잘하시더라고요. 개인적으로 그런 음색을 많이 좋아하지만, 성량이 풍부하고, 시원한 음색이셔서 많이 기억에 남는 것 같아요. 배우들 모두 조절을 잘 하신다고 해야 할까? 굉장히 편하게, 안정되게 연기하시는 모습들. 그래서 더 편하게 볼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이 장면 못 잊어

귀자 : 많이 나오진 않았지만, 아버지의 모습이 기억에 남네요. 젊었을 때는 자기 하고 싶은 대로 하고 가정을 등한시했지만, 나중에는 참 측은하다는 느낌. 그래도 엄마는 일평생 최선을 다해서 살았잖아요.


정혜 : 초반에, 사라진 엄마가 아들이 살았던 동사무소 숙직실 찾아갔을 거라는 그 장면, 역시 엄마는 아들한테 집착하는구나(웃음). 특히 첫째. 실마리를 그렇게 풀어가니까, 아, 역시, 큰 애한테 집착하는 우리네 엄마들 생각 나고.(웃음)

민아 : 시동생 공부시키자고 남편을 설득시키잖아요. 정말 기억에 남아요. 굉장히 인자한 성품의 대표적인 어머니상이죠. 그걸 시작으로 훗날 고아원에 가서 일도 해주고. 엄마라는 성품을 대변해 줄 수 있는 장면 같아요. 나도 저 나이에 넉넉한 마음을 갖고 저렇게 해볼 줄 알아야겠다,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지은 : 마지막에 뒤에는 별들이 빛나고, 그 앞에서 엄마와 딸이 서로 끌어안는 장면이 참 좋았어요. <엄마를 부탁해>에서 무대는 정말 좋았어요. 그런데 차녀가 엄마한테 한글 알려주는 장면은, 앙상블 옷이 너무 유치했어요.



정리: 황선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suna1@interpark.com)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