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쓰릴 미’가 전하는 사이코패스의 색다른 시선!
작성일2009.04.27
조회수27,132
(주)뮤지컬해븐이 새롭게 오픈한 신촌 ‘더스테이지(The STAGE)’에서 현재 ‘쓰릴 미’ 공연이 한창이다. 뮤지컬 ‘쓰릴 미’는 1924년 미국 시카고에서 일어난 실제 살인사건을 배경으로 극단적인 인간 내면을 치밀하게 그려냈다. 지난 2007년에 한국에서 첫 선을 보인 이 작품은 지금까지 수많은 뮤지컬 스타를 배출해내며 한국의 대표적 뮤지컬로 자리 잡았다. 김무열, 최재웅, 이율, 이창용, 김동호 등은 이 작품을 통해 일약 스타덤에 올랐으며, ‘쓰릴 미’를 수십 번 이상 관람하는 마니아들도 생겨났다. 올해는 강필석, 김우형, 정상윤, 김산호, 김하늘이 캐스팅되어 큰 사랑을 받고 있다.
현재 공연계의 큰 화두, 뮤지컬 ‘쓰릴 미’가 사회의 숨어있는 범죄자 ‘사이코패스’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어 그 궁금증을 더해간다. ‘사이코패스’, 이 단어만 들어도 우리는 등골이 오싹해진다. 그만큼 우리 사회가 현재 이로 인한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이코패스’의 단어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사이코패스(psychopath)’는 1920년대에 독일학자 슈나이더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이 개념은 ‘성격 탓으로 인해 타인이나 자기가 속한 사회를 괴롭히는 정신병질(精神病質)’을 뜻한다. 자칫 사람을 차별하고 인권침해의 소지가 있어 기피돼 왔으나, 70년대 이후 미국에서 재평가받기 시작했다. 이미 영국과 미국에서는 ‘사이코패스’라는 개념을 통해 연쇄살인범들의 행동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미국 연쇄살인범 90% 이상이 ‘사이코패스’라고 한다. (출처_KBS 스페셜 ‘악의 가면, 사이코패스’ 중)
그러나 ‘사이코패스’는 범죄자에게만 국한되는 개념이 아니다. 니시무라 박사는 ‘사이코패스’를 일컬어 “정장차림의 뱀”이라고 말한다. 일상 속에서 얼마든지 만날 수 있는 평범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반사회적 행동으로 공공연한 물의를 일으키거나, 법망에 걸려들지만 않는다면 오히려 사회주도층을 형성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나아가 그들이 강력한 권력을 소유하게 될 경우, 전쟁을 통한 합법적인 살인과 학살을 자행하게 됨으로써 개인이 아닌 인류의 비극을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한다. 그래서 ‘사이코패스’는 남녀노소, 특권층, 빈곤층, 엘리트 등 어느 한곳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 중 600만 명의 유대인을 학살한 히틀러도 ‘사이코 패스’ 에 속한다는 사실이다.
뮤지컬 ‘쓰릴 미’의 주인공 ‘그’와 ‘나’도 부유한 가정환경 속에서 잘 자란 엘리트들이었다. 게다가 명석한 두뇌와 멋진 외모를 가져 모두의 부러움을 샀다. 한마디로 말해서 현재의 ‘엄친아’들이라고 할 수 있다. 부족할 것 하나 없는 이들이 왜 이 같은 범행을 저질렀을까? 극중 주인공 ‘그’는 불이 활활 타오르는 모습에서 희열을 느끼는 인물이었다. 하지만 거기서 만족하지 않고 점점 강하고 자극적인 것을 원해 살인까지 저지르게 된다. ‘그’는 이러한 살인을 저질렀는데도 전혀 죄책감을 느끼지 못한 일종의 ‘사이코패스’성향의 인물이었다.
뮤지컬 ‘쓰릴 미’는 평범한 인물들이 벌이는 ‘사이코패스’를 다루지 않았다. 범죄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의외의 인물들을 통해 색다른 ‘사이코패스’를 제시했다. 이는 기존 범죄자의 모습을 완전히 뒤집어버린 신선한 충격이었다. 이러한 ‘동경심’이 관객들에게 색다른 쾌감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뮤지컬 ‘쓰릴 미’는 우리 사회의 악인 ‘사이코패스’의 문제점을 관객들에게 보다 친근감으로 다가섰다. 그래서 보는 내내 작품의 긴장감과 공감성이 유연하게 흘러갔다. 아마도 이것은 뮤지컬 ‘쓰릴 미’가 지금껏 사랑받는 이유일 것이다.
박하나 기자 newstage@hanmail.net
[공연문화의 부드러운 외침 ⓒ뉴스테이지 www.newstage.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현재 공연계의 큰 화두, 뮤지컬 ‘쓰릴 미’가 사회의 숨어있는 범죄자 ‘사이코패스’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어 그 궁금증을 더해간다. ‘사이코패스’, 이 단어만 들어도 우리는 등골이 오싹해진다. 그만큼 우리 사회가 현재 이로 인한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이코패스’의 단어는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사이코패스(psychopath)’는 1920년대에 독일학자 슈나이더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다. 이 개념은 ‘성격 탓으로 인해 타인이나 자기가 속한 사회를 괴롭히는 정신병질(精神病質)’을 뜻한다. 자칫 사람을 차별하고 인권침해의 소지가 있어 기피돼 왔으나, 70년대 이후 미국에서 재평가받기 시작했다. 이미 영국과 미국에서는 ‘사이코패스’라는 개념을 통해 연쇄살인범들의 행동 양상을 분석하고 있다. 미국 연쇄살인범 90% 이상이 ‘사이코패스’라고 한다. (출처_KBS 스페셜 ‘악의 가면, 사이코패스’ 중)
그러나 ‘사이코패스’는 범죄자에게만 국한되는 개념이 아니다. 니시무라 박사는 ‘사이코패스’를 일컬어 “정장차림의 뱀”이라고 말한다. 일상 속에서 얼마든지 만날 수 있는 평범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반사회적 행동으로 공공연한 물의를 일으키거나, 법망에 걸려들지만 않는다면 오히려 사회주도층을 형성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나아가 그들이 강력한 권력을 소유하게 될 경우, 전쟁을 통한 합법적인 살인과 학살을 자행하게 됨으로써 개인이 아닌 인류의 비극을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한다. 그래서 ‘사이코패스’는 남녀노소, 특권층, 빈곤층, 엘리트 등 어느 한곳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 중 600만 명의 유대인을 학살한 히틀러도 ‘사이코 패스’ 에 속한다는 사실이다.
뮤지컬 ‘쓰릴 미’의 주인공 ‘그’와 ‘나’도 부유한 가정환경 속에서 잘 자란 엘리트들이었다. 게다가 명석한 두뇌와 멋진 외모를 가져 모두의 부러움을 샀다. 한마디로 말해서 현재의 ‘엄친아’들이라고 할 수 있다. 부족할 것 하나 없는 이들이 왜 이 같은 범행을 저질렀을까? 극중 주인공 ‘그’는 불이 활활 타오르는 모습에서 희열을 느끼는 인물이었다. 하지만 거기서 만족하지 않고 점점 강하고 자극적인 것을 원해 살인까지 저지르게 된다. ‘그’는 이러한 살인을 저질렀는데도 전혀 죄책감을 느끼지 못한 일종의 ‘사이코패스’성향의 인물이었다.
뮤지컬 ‘쓰릴 미’는 평범한 인물들이 벌이는 ‘사이코패스’를 다루지 않았다. 범죄와 전혀 어울리지 않는, 의외의 인물들을 통해 색다른 ‘사이코패스’를 제시했다. 이는 기존 범죄자의 모습을 완전히 뒤집어버린 신선한 충격이었다. 이러한 ‘동경심’이 관객들에게 색다른 쾌감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뮤지컬 ‘쓰릴 미’는 우리 사회의 악인 ‘사이코패스’의 문제점을 관객들에게 보다 친근감으로 다가섰다. 그래서 보는 내내 작품의 긴장감과 공감성이 유연하게 흘러갔다. 아마도 이것은 뮤지컬 ‘쓰릴 미’가 지금껏 사랑받는 이유일 것이다.
박하나 기자 newstage@hanmail.net
[공연문화의 부드러운 외침 ⓒ뉴스테이지 www.newstage.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