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터 it] 연극인에게도 이데올로기가 존재하는가, 연극 ‘경성스타’

핏빛과도 같은 강렬한 붉은색의 지배로 포스터는 전체적으로 음울한 기운을 내뿜는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붉은색에 대한 좋지 않은 인식이 있었다. 빨간 줄, 빨간 상놈, 빨간 거짓말 등의 단어만 봐도 알 수 있다. 포스터 안에 작게 나열된 사진들 속에는 암울했던 시절 경성에 살았던 사람들이 무수하다. 경성이라 하면 일제 침략기의 서울 명칭으로 대변된다. 그 어두웠던 시대, 과도기에 놓여있었고 핏빛으로 얼룩졌던 억압의 일제 강점기에도 뜨거운 열정과 꿈, 사랑과 희망은 존재했다.

 

고난과 압박 속에서 삶의 의욕은 더 불타오른다. 흑백사진을 물들인 붉은색이라 음울함이 더해지지만 어쩌면 이것은 타오르는 열정과 연극에 대한 당시 희극인들의 꿈일지도 모른다. 연극 ‘경성스타’는 대중연극에서 친일연극까지 고난과 괴로움 속에서의 변방연극사를 재조명한다.

 

이 작품은 한국 연극 100년의 흔적에서 가장 어두인 시기였던 1920-1930년 대중극시대부터 1940년대 친일연극 시대를 관통한다. 친일연극의 실타래를 벗겨내면서 검열의 시대 속에서도 연극을 계속할 수밖에 없었던 불우한 연극인들의 삶과 작업이 무대화 된다.

 

연극 ‘경성스타’에서 재미있는 점은 서로 만난 적이 없던 대중극작가 임선규와 최초의 여배우 이월화가 만났다는 가설에서 시작한다는 것이다. 극중에 등장하는 월희란 가상 여배우는 이월화에서 전옥에 이르기 까지 식민지시대를 풍미했던 여배우들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그려낸다.

 

“연극인은 근본적으로 이데올로기가 없어. 그들에게 유일한 이데올로기가 있다면 바로 연극일 뿐이야...(중략) 그러니까 우리 서로 헤어지더라도 서러워 말자. 연극만세다.” 이 대사는 이 작품에 등장하는 신인배우 전민이 여동생 혜옥에게 던지는 말이다. 지금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분단 상황을 푸는 연극적 단서가 되기를 희망하는 것이다.

 

한국 근대 연극사의 뒷모습을 보여줄 연극 ‘경성스타’는 11월 19일부터 11월 28일까지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에서 공연된다.

 

 

뉴스테이지 강태영 기자 newstage@hanmail.net





[공연문화의 부드러운 외침 ⓒ뉴스테이지 www.newstage.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