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성의 The Stage 96] 뮤지컬 ‘아랑가’
뮤지컬 ‘아랑가’는 중앙대학교 졸업공연으로 시작됐다. 작품은 2014년 아시아스쿨 페스티벌 최우수작품상 수상, 2015년 CJ 크리에이티브 리딩공연, 2015년 서울뮤지컬페스티벌 예그린앙코르 최우수작품 선정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아왔다. 뮤지컬 ‘아랑가’는 상업 제작사 인사이트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2016년 본 공연으로 거듭나게 됐다.
뮤지컬 ‘아랑가’는 삼국사기에 수록된 ‘도미설화’에 젊은 창작자들의 재기발랄한 창작열을 더해 탄생됐다. 작품은 도미설화를 바탕으로 했던 기존 창작물들과는 다르게 개로왕의 비극적인 사랑과 인생을 중심으로 한다. 뮤지컬 ‘아랑가’는 텍스트와 음악을 현대적인 상징과 미학으로 재구성해 여전히 동시대에 유효한 꿈 속 같은 ‘사랑의 진정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작품은 무엇보다 ‘판소리’와 ‘뮤지컬’, 우리음악과 서양음악을 적극적으로 융합한다. 전통을 바탕으로 한 모던한 접근방식을 통해 글로벌한 동시대에도 유효한 사랑의 화두를 내던지는 작품이다.
작품 등장인물인 ‘개로’는 ‘자신이 왕이 되면 나라가 망할 것이다’라는 무녀의 저주에 시달린다. 그는 연일 공포에 찌든 악몽 속에서 허덕인다. 그때마다 그는 언제나 그를 위로해주는 꿈속의 한 여인을 본다.
그러던 어느 날 백제의 안녕을 위해 열린 기원제에서 개로왕은 꿈속 여인과 꼭 닮은 여인 ‘아랑’과 운명처럼 마주한다. 그는 그 순간부터 ‘아랑’을 곁에 가까이 두고 싶어한다. 하지만 ‘아랑’은 이미 개로왕의 최측근의 충신 ‘도미’의 부인이다. 개로왕은 이를 알고 혼란에 빠진다.
음모를 조장하는 인물인 ‘도림’은 거짓된 반역의 증거를 내세워 ‘도미’를 처형하고 배에 띄워 보낸다. ‘아랑’은 ‘도미’가 없어진 후에도 개로왕을 받아들이지 않고 죽어서라도 ‘도미’와 함께하려 한다.
‘아랑가’는 ‘아랑’의 어머니가 ‘아랑’을 부르는 이름에서 출발한 애칭이다. 동시에 ‘아랑’이 어머니의 품 속 같은 꿈 속을 거닐게 하는 자장가다. ‘도미’와 ‘아랑’의 행복한 사랑의 하모니이기도 하다. 개로왕의 저주와 그리움이 묻은 원성, 탄식 속에서도 여전히 ‘아랑’에게 집착하는 통한의 소리이기도 하다.
이처럼 ‘아랑~ 아랑~ 아랑~’이라는 선율은 누가 어떻게 부르냐에 따라 정서와 희비가 엇갈린다. 작품 속 소품인 부채도 때로는 ‘사한’의 단도로, ‘도림’의 활로, 개로왕이 보는 군사기밀로, 그리고 ‘도미’의 눈을 찌를 때 쓰이는 오브제로 엇갈린다. 부채는 마지막에 개로왕과 백제의 종말을 고하는 상징성을 더한다. 이 소품은 그 어떤 사실적인 표현보다 연극적인 상상력을 동원해 더 큰 그림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
작품을 구현하는 무대 또한 다양하게 구성했다. 무대는 센터를 비우고 8장의 실커튼을 활용해 깊이와 장소를 해결하고 다양한 공간을 확보했다. 거기에 모던한 가로선을 활용한 강렬하고 상징적인 영상 맴핑을 더했다. 이를 통해 이미지, 개인의 심리, 정서뿐 아니라 인물 간의 갈등과 왕권의 몰락까지 그려냈다. 영상구성은 정서의 확장과 변형을 무대 위에 자유롭게 넘실거리게 해 매우 효과적인 운용을 도왔다.
작곡가 ‘이한밀’의 ‘아랑가’는 어머니와 ‘아랑’에서부터 시작해 ‘아랑’과 ‘도미’, 개로왕에 이르기까지 같은 멜로디로 몰입을 더했다. 음악은 장소의 공간적 상태와 심리, 상황적 정서의 이입, 캐릭터의 상태에 따른 다양한 색깔로 전체 작품을 관통했다. 정서를 리드하거나 아우르면서 짧고 강렬하게 인식하게했다. 메인 테마의 멜로디는 적재적소에 배치돼 작품을 저절로 따라할 수 있게 하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
전통음악과 현대음악의 만남은 오래전부터 꾸준히 시도되거나 활용되고 있다. 뮤지컬 ‘아랑가’의 시도가 획기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전통을 바탕으로 한 재창조, 그리고 동시대성을 확보하기위한 창작진의 진한 노력들이 앞으로 더 좋은 결과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고무적이다.
아쉬운 점은 소리 면의 일관성이다. 도창의 해설이 판소리나 아니리를 통한 발림까지 리드해가는 만큼 캐릭터들의 대사나 가창에서도 우리 소리의 시김새가 부분적으로라도 살짝 묻어났더라면 소리에 있어서도 더 자연스럽게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었을 것 같았다. 아울러 회를 거듭할수록 우리악기와 서양악기의 혼용에서 오는 음악적 톤과 바란스, 악기의 음색과 인성의 하모니가 좀 더 유려하게 넘나들며 매끄러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도 필요할듯하다.
뮤지컬 ‘아랑가’는 4월 10일까지 충무아트홀 블랙에서 공연된다.
사진_인사이트엔터테인먼트
유희성 칼럼니스트 he2sung@hanmail.net
[공연문화의 부드러운 외침 ⓒ뉴스테이지 www.newstage.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