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옥·오태석·하유상·천승세…연극계 원로들 '수작' 만난다
작성일2016.04.28
조회수4,52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원로연극제'
'태' '그 여자 억척어멈' 등 공연
6월 3~26일 아르코예술극장·대학로예술극장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한국 연극사의 역사와 의미를 되짚어볼 수 있는 ‘원로연극제’가 오는 6월 3일부터 26일까지 서울 종로구 동숭동 아르코예술극장과 대학로예술극장에서 열린다. 김정옥(85), 오태석(77), 하유상(89), 천승세(78)의 작품을 차례로 무대에 올린다. 9년 만에 무대에 오르는 ‘태(胎)’를 비롯해 ‘그 여자 억척어멈’ ‘딸들의 연인’ ‘신궁’ 등이 6월 한 달간 관객을 찾는다.
김정옥 작·연출의 ‘그 여자 억척어멈’(6월 3~17일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은 배우 배해선이 1인 4역을 하는 모노드라마 형식이다. 1인칭 시점인 자신, 1951년 한국전쟁 1·4후퇴 때 남쪽으로 내려온 북한 여배우 배수련 역, 브레히트 ‘억척어멈’의 억첨어멈 역, 조선 시대 동학란을 배경으로 한 억척어멈 역을 연기한다. 1997년 박정자가 학전소극장에서 한달 넘게 초연하며 주목을 받았고, 이어 일본 삼백인 극장이 주최한 ‘아시아 연극제’에 참가해 호평을 받고 일본 전국을 순회공연을 했다. 일본의 아사히 신문은 그 해의 ‘베스트 5’로 ‘그 여자 억척어멈’을 추천하기도 했다.
오태석 작·연출의 ‘태’(6월 3~12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는 1974년 초연 이후 국내뿐 아니라 일본·인도에서 끊임없이 공연한 작품으로 한국 현대 희곡 중 손꼽히는 명작의 하나다. 익히 알려진 이야기인 계유정난으로 정권을 잡은 수양대군(세조)이 조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는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펼친다. 과연 죽음을 뛰어넘어 존속하는 ‘삶의 가치’는 무엇인지에 대한 절실한 질문을 던진다. 주인공인 박중림(박팽년의 아버지) 역은 배우 오현경(80)이 맡았다.
하유작 작, 구태환 연출의 ‘딸들의 여인’(6월 4~12일까지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은 1957년 국립극장에서 초연됐다. 전장의 상흔이 남아있던 시기에 ‘자유연애’라는 소재를 다룬 내용으로 이후 몇 차례 리메이크 됐다. 격동의 1950년대를 자유연애와 결혼에 대한 희극으로 풀어냈으며 박윤희, 배상돈, 황세원 등이 출연한다.
1977년 발표된 천승세의 중편소설을 바탕으로 한 ‘신궁’(6월 17~26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은 어촌 무당 왕년이를 통해 악덕 선주와 고리대금업자에게 시달리는 어촌인의 실상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번 원로연극제를 위해 천 작가는 소설을 극본으로 각색해 초연무대를 올린다. 무속과 토속적 방언이 작품 전체에 흘러 넘치는 작품으로 이승옥, 정현, 정상철, 기정수, 이봉규 등의 배우가 출연한다.
|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한국 연극사의 역사와 의미를 되짚어볼 수 있는 ‘원로연극제’가 오는 6월 3일부터 26일까지 서울 종로구 동숭동 아르코예술극장과 대학로예술극장에서 열린다. 김정옥(85), 오태석(77), 하유상(89), 천승세(78)의 작품을 차례로 무대에 올린다. 9년 만에 무대에 오르는 ‘태(胎)’를 비롯해 ‘그 여자 억척어멈’ ‘딸들의 연인’ ‘신궁’ 등이 6월 한 달간 관객을 찾는다.
김정옥 작·연출의 ‘그 여자 억척어멈’(6월 3~17일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은 배우 배해선이 1인 4역을 하는 모노드라마 형식이다. 1인칭 시점인 자신, 1951년 한국전쟁 1·4후퇴 때 남쪽으로 내려온 북한 여배우 배수련 역, 브레히트 ‘억척어멈’의 억첨어멈 역, 조선 시대 동학란을 배경으로 한 억척어멈 역을 연기한다. 1997년 박정자가 학전소극장에서 한달 넘게 초연하며 주목을 받았고, 이어 일본 삼백인 극장이 주최한 ‘아시아 연극제’에 참가해 호평을 받고 일본 전국을 순회공연을 했다. 일본의 아사히 신문은 그 해의 ‘베스트 5’로 ‘그 여자 억척어멈’을 추천하기도 했다.
오태석 작·연출의 ‘태’(6월 3~12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는 1974년 초연 이후 국내뿐 아니라 일본·인도에서 끊임없이 공연한 작품으로 한국 현대 희곡 중 손꼽히는 명작의 하나다. 익히 알려진 이야기인 계유정난으로 정권을 잡은 수양대군(세조)이 조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는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펼친다. 과연 죽음을 뛰어넘어 존속하는 ‘삶의 가치’는 무엇인지에 대한 절실한 질문을 던진다. 주인공인 박중림(박팽년의 아버지) 역은 배우 오현경(80)이 맡았다.
하유작 작, 구태환 연출의 ‘딸들의 여인’(6월 4~12일까지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은 1957년 국립극장에서 초연됐다. 전장의 상흔이 남아있던 시기에 ‘자유연애’라는 소재를 다룬 내용으로 이후 몇 차례 리메이크 됐다. 격동의 1950년대를 자유연애와 결혼에 대한 희극으로 풀어냈으며 박윤희, 배상돈, 황세원 등이 출연한다.
1977년 발표된 천승세의 중편소설을 바탕으로 한 ‘신궁’(6월 17~26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은 어촌 무당 왕년이를 통해 악덕 선주와 고리대금업자에게 시달리는 어촌인의 실상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번 원로연극제를 위해 천 작가는 소설을 극본으로 각색해 초연무대를 올린다. 무속과 토속적 방언이 작품 전체에 흘러 넘치는 작품으로 이승옥, 정현, 정상철, 기정수, 이봉규 등의 배우가 출연한다.
▶ 당신의 생활 속 언제 어디서나 이데일리 ‘신문 PDF바로보기’
▶ 스마트 경제종합방송 ‘이데일리 TV’ | 모바일 투자정보 ‘투자플러스’
▶ 실시간 뉴스와 속보 ‘모바일 뉴스 앱’ | 모바일 주식 매매 ‘MP트래블러Ⅱ’
▶ 전문가를 위한 국내 최상의 금융정보단말기 ‘이데일리 마켓포인트 3.0’ | ‘이데일리 본드웹 2.0’
▶ 증권전문가방송 ‘이데일리 ON’ 1666-2200 | ‘ON스탁론’ 1599-2203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