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소소한 일상이 행복이었네
매일 아침 저녁으로 보는 가족들, 친구와의 수다, 귀가길 만나는 아름다운 저녁노을…. 사람들은 대부분 이런 작은 일상 하나 하나가 행복임을 생각하지 못한다. 특별한 이벤트, 극적인 행운이 주는 아드레날린을 추구하는 우리들에게 이건 일상의 반복 중 하나니. 하지만 한 작품이 말을 걸고 있다. 지금, 공기와 같은 당신의 일상을 소중히 하라고. 결코 영원하지 않으니….
당연해서 잊고 사는 일상과 죽음에 대해...
뮤지컬 <우리동네>는 평범한 동네, 평범한 사람들의 특별하지 않은 이야기를 보여준다. 남편과 아이들을 위해 매번 식사를 준비하는 어머니, 이웃의 출산 소식, 동네 괴팍한 술주정뱅이, 자상한 아버지와 이성과 용돈에 민감한 사춘기 아이들.
제목처럼 배경도 평범하기 그지없다. 때는 1980년대 어느 즈음. 산등성이를 끼고 2000명도 안 되는 주민들이 사는, 고즈넉한 서울 주변의 어느 동네, 그곳이 우리 동네다.
이곳의 하루는 다른 하루들과 비슷하다. 아침 동이 틀 무렵, 배씨 아들 종현이는 신문배달을 하고 숙자 엄마는 우유배달을 한다. 김씨 부인과 이씨 부인은 분주한 아침준비 뒤 아이들을 학교로 보내고 만나 수다를 떤다. 상우와 선영이는 방과 후 수학문제 풀이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동네 아주머니들은 성가대 연습을 하고 집으로 돌아간다. 소박하고, 평범한 동네의 모습이다. 물론 로맨스도 있다. 드라마틱하지 않지만 예쁜 연애담이다.
이런 삶 속에서 죽음은 애써 외면하다 이내 잊고 살아가버리는 피할 수 없는 숙명일 것. 여기선 삶과 죽음이 샴 쌍둥이처럼 붙어있다는 명백한 사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함을 이야기 한다. 항상 곁에 있던 가족이, 이웃이 홀연히 죽음을 따라 버리고, 죽은 자의 돌아온 삶과 남겨진 사람들을 보고 있노라면 매일 똑 같은 하루하루가 얼마나 큰 행복인지를 되새김질 하게 된다.
이 작품의 미덕은 누구나 고개를 끄덕일 내 삶이 담겨 닮겨있다는 점이다. 소소한 일상에 돋보기를 갖다 대는 가 하면, 멀찍이 떨어져 쓱 훑는 시선은 남의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에 가슴을 두드린다.
절제된 무대, 삶으로 채워넣어
무대에는 특별한 무대장치라곤 찾아볼 수 없다. 심지어 흔한 소품도 발견되지 않는다. 나래이터가 ‘저쪽에 커다란 은행 나무’가 있다고 하면, 관객은 저마다 자신이 어린 시절 놀았던 큰 나무를 대입시키곤 한다. 주 무대가 되는 가정집의 거실과 부엌에도 배우들의 동작만으로 짐작 하게 한다. 극도의 절제를 추구한, 소품 대신 삶을 더 채워 넣는 작품이다.
노래도 귀에 잘 들어오는 편. 특히 딸을 결혼을 지켜보다 눈물을 찍어내며 ‘결혼하면 여자만 고생인데’라고 읊는 어머니의 노래가 재미있다. 가수 리치가 상우역으로 출연해 주목 받고 있고, 현재 6번째 앵콜 공연 중이다.
이 작품은 1938년 퓰리처상을 수상한 손튼 와일더의 연극 'Our town'
삶과 죽음. 인간이 거스를 수도, 바꿀 수도 없는 흐름을 항상 염두해 두며 살아가는 사람은 별로 없다. <우리동네>는 극장문을 나오며 죽음, 일상을 생각하게 한다. 당연하게 잊고 살아가는 걸 상기하게 만드는 것만큼 힘든 건 없다. 그래서 특별한 작품이다.
글: 송지혜 기자(인터파크ENT song@interpark.com)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