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탄탄하다, 이 무대

여전히 아기는 황새가 가져다 준다고 믿는 사람이 있는가. 그대가 10대를 맞이한 지 한참이나 지난 시점에서도 그리 믿고 있다면, 이것이야 말로 <사춘기>가 여전히 세계 곳곳에서 충격이 될 수 밖에 없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전 세계가 ‘베테킨트 바람’이라 할 정도로 그의 희곡 사춘기(원제 Fruhlingserwachen)는 2008년도 국내외 공연계에 새롭운 이슈로 떠올랐다. 성에 대한 10대들의 관심과 그들과 항상 함께하는 교육의 문제, 1890년 작인 이 작품이 안고 있는 변하지 않은 세상의 위태하고 민감한 소재는 2006년 브로드웨이에서 록 뮤직과 어울려 일대 파란을 일으켰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주목하는 이 작품, 뮤지컬 <사춘기>에는 여느 작품이 품고 있지 못한 그 무엇이 있어 더욱 눈길이 간다.

지난 8월 개막, 약 한 달간의 공연을 마치고 10월 중순까지 연장 공연 중인 뮤지컬 <사춘기>는 2년 전부터 이미 한국 공연을 위해 텍스트가 준비 완료된 작품이다. 김운기 연출은 지도하던 대학교 학생들과 함께 수차례 워크숍을 연 바 있고 그의 아내이자 뮤지컬 <내 마음의 풍금>, <첫사랑> 등을 쓴 이희준 작가와의 협력도 큰 몫을 했다.

그리하여 뮤지컬 <사춘기>는 창작 초연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탄탄한 기본기’를 자랑하고 있다. 베데킨트의 원작을 토대로 하였으나, 학교 성적으로 생의 갈림길이 정해지는 한국 고등학생들과, 인터넷 문화, 호기심과 불안함이 공존하는 성에 대한 인식이 혼재해 무겁게 무대를 엄습한다.

전학 오자마자 전체 수석을 차지하는 영민(박해수 분)과 영민을 부러워하지만 백댄서의 꿈을 갖고 있는 선규(맹주영 분), 봉사활동에 뿌듯해 하고 성경책만을 읽는 여학생 수희(전미도 분)등의 인물들은 저마다의 캐릭터로 이 시대 10대를 대변하고 있다. 성적, 이혼 가정, 가부장적인 아버지, 동성애, 임신과 낙태 등 사회 속에 푸른 새싹들을 누렇게 태워버리는 어른들의 고집과 무관심이 가득하다.

발푸르기스의 밤, 멤피스토 등 강렬한 어휘와 상징적인 소재들의 등장이 낯설지만 의미 있다. ‘서울대에 갈거야’라든지, 여배우 이름을 직접 이야기 하며 ‘그 언니처럼 되어야지’ 등과 같이 너무나 한국적인 말들은 조금 세련되지 못하게 다가오기도 한다.

하지만 단 몇 개의 의자만으로 충분히 감각적이고 효과적인 이미지를 연출해 내는 무대의 쓰임, 공연 후에도 오래도록 귓가에 맴도는 “입 맞추지마, 그럼 널 사랑하게 될지도 몰라” 등의 노랫말 등 결코 지나칠 수 없는 뮤지컬 넘버들에 엄지 손가락을 주저 없이 든다. 대부분의 배우들에게 이번 작품이 첫 대학로 뮤지컬 데뷔 무대라는 점에서 뮤지컬 <사춘기>는 보배 같은 배우들을 세상에 등장시키는 역할도 하고 있다. 10대의 이야기라 하지만, 이 작품은 10대가 아닌 다른 사람들과 많은 무대들에게 저마다의 메시지를 던져주고 있음이 분명하다.


글: 황선아 기자(인터파크INT suna1@interpark.com)
사진: 다큐멘터리 허브(club.cyworld.com/docuherb)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