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므파탈, 치명적인 그녀들의 매력

미와 슬픔은 언제나 붙어 다닌다고 했던가.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여성으로 기록된 그녀들의 삶의 끝은 언제나 비운의 ‘새드 앤딩’이다. 한 세대를 뒤흔들며 역사 속 새로운 페이지를 만든 ‘치명적인 매력의 소유자’, 여기, 뮤지컬 속에서 부활한 두 여인이 있다.


나로 인해 구원받을 것이다 _ 에바 페론

욕망을 실현시키기 위해 무얼 해야 하는 지 아는 영리한 여인. 아르헨티나 초원지대 작은 마을 로스톨도스에서 사생아로 태어난 에바 페론은 15세 도시로 나와 삼류 배우, 라디오 성우 등을 거치며 유명을 욕망하고 좇아간다. 화려한 삶을 바랐던 소녀 시절의 꿈은 스물 다섯 나이에 마흔 아홉 살의 정치인 후안 페론을 만나, 그가 구금 당했을 당시 노동자 총파업을 일으켜 10일 만에 석방시키는 등 막강한 권력 의지로 표출되기 시작한다.

에바에 대한 역사의 평가는 상반된다. 그녀의 비루한 출생, 인생역정 등은 빈민과 노동자들의 동질감을 얻었으며, 여성 노동자 임금 인상 및 여성의 시민적 지위 개선, 외국자본주의 추방, 노동입법 추진 등 퍼스트 레이디로서의 활동을 통해 그들 사이의 ‘성녀’로 불리게 된다. 감성적이고 뛰어난 연설 뿐 아니라 빼어난 미모는 대중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대표적인 ‘포퓰리즘’을 행하기에 큰 역할을 한다.


하지만 자신의 비판 세력을 제거하고 독재 정치를 펼쳤으며, 학교에서 자신의 자서전을 교재로 채택하거나 찬양 글짓기를 실시하는 등 부부의 우상화 작업을 진행하는 한편, 부정부패 및 개인의 사치가 극에 달해 당시 아르헨티나의 경제가 가파른 하향곡선을 그린 것은 그녀를 악녀로 기록하게 만들었다.

“돈 크라이 포 미 아르헨티나” 뮤지컬 <에비타>

<지저스 크라이스트 수퍼스타>를 만든 황금콤비 앤드루 로이드 웨버 작곡, 팀 라이스 작사로 1978년 탄생한 <에비타>는 귀엽고 순진하게 여겨지길 바랬던 에바 페론이 ‘꼬마 에바’라는 뜻으로 스스로 불리기 바랐던 애칭 ‘에비타’를 제목으로 하고 있다.

34세에 척수 백혈병과 자궁암으로 사망한 에바의 장례식장. 슬픔에 빠진 노동자들의 행렬과 혼돈 속에서 시작되는 극은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며 전개된다. 아르헨티나의 국모로 추앙 받는 에바의 일생을 소재로, 그녀와 만난 적이 없는 체 게바라를 관찰자 및 해설자로 등장시켜 에바에 대한 절대적인 추앙을 견제하는 역할로 극의 균형을 잡고 있는 것이 큰 특징.


배우를 꿈꾸며 도시로 올라오는 소녀 에바, 출세를 위해 남자들을 유혹해 이용하고 또 버리는 팜므파탈 성인 에바의 모습은 자신의 매력을 무기로 삼은 에비타의 캐릭터를 잘 드러내고 있다.

특히 <에비타>는 팝, 록, 라틴, 재즈 등을 비롯 장엄한 장송곡까지 강렬한 매력을 발산하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과 쉽게 소화하기 어려운 노래로도 유명한 작품. 대표 넘버인 ‘돈 크라이 포 미 아르헨티나’(Don’t cry for me Argentina)는 군중을 선동하는 연설이지만 대단히 감정적인 어조에서 시작해 클라이막스로 치닫는 리듬으로, 노래 자체의 매력 뿐 아니라 에바의 매력과 연설 스타일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내 주인은 나야 _ 캐롤린 엘리자베스

행운일까, 불운일까. 결혼이 약속된 남자를 만나러 나간 언니, 그 자리에 따라나간 여동생, 그리고 정혼자의 여동생에게 첫 눈에 반한 남자. 뮌헨 출신으로 비극적 운명과 그에 상반되는 눈부신 아름다움이 그리운 전설처럼 전해져 오는 인물, 바로 캐롤린 엘리자베스이다.

19세기 헝가리-오스트리아 제국의 황제인 프란츠 요제프의 아내로 네 명의 자녀를 낳고 산 엘리자베스는 드라마틱한 러브스토리와는 달리 엄격한 궁 생활, 자신을 존중하지 않는 냉정한 시어머니의 간섭 등으로 평생 자유를 갈망하게 된다.

시씨(Sissi)라 불리며 자유롭고 쾌활하게 지내던 어린 시절부터 한 나라 황제의 마음을 첫 눈에 앗아간 아름다운 외모는 돋보였다. 황후가 된 후 시어머니에게 자녀 양육을 빼앗기고 국정에서도 밀려난 그녀가 요양을 이유로 한 여행으로 많은 시간을 궁 밖에서 지냈거나, 무정부주의자 루이기 루체니가 휘두른 꼬챙이에 찔려 44세에 비극적으로 사망할 때까지 그녀는 평생 눈부신 미모를 유지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생전에 175cm의 키에 몸무게 50kg, 허리둘레 20인치를 유지했다는 그녀가 쏟은 아름다움을 위한 노력은 상상 이상의 수준. 하루 4시간씩 긴 머리카락을 손질했으며 말년에는 과도한 다이어트로 영양실조 증상을 보이기도 했다고 한다. 평소 허리를 조이는 코르셋을 입었는데 코르셋 철심이 배를 찔러 피가 드레스에 흘러도 몰랐으며, 암살 당시 너무 조인 배가 마비되어 그녀 스스로도 꼬챙이에 찔린 줄 모르고 한 시간여를 더 걷다 출혈이 심해진 것이 직접적인 사인으로 기록되고 있다.

죽음이 그녀의 눈앞에 나타난다, 뮤지컬 <엘리자벳>

뮤지컬 <엘리자벳>은 자유를 갈망하며 불행하게 살아간 황후 엘리자베스의 일대기를 그리는 과정에 ‘죽음’을 상징하는 캐릭터, 토드를 등장시켜 환상적인 매력을 더한다. 어린 시절 나무에 오르다 떨어지며 죽음과 처음 마주한 엘리자베스와 그녀의 아름다움에 매혹되어 그녀 곁을 떠나지 않는 죽음. 이 둘이 조우하고 이별하는 반복되는 아슬한 과정들이 불안한 엘리자베스의 결혼 생활에 설득력을 더하며 극중 비극성을 더한다.

극 중 유일하게 엘리자베스 외 죽음의 실체를 보게 되는 그녀의 아들 루돌프는 실제로는 몰락한 귀족 남작 부인 마리아 배체라와 이뤄질 수 없는 사랑에 괴로워하다 권총 동반자살로 죽게 되지만, 뮤지컬에서는 죽음, 토드에 의해 아버지와 맞서게 되고, 어머니 엘리자베스에게도 위로 받지 못한 채 방황하다 자살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루돌프의 이뤄질 수 없는 비극적인 사랑은 뮤지컬 <루돌프>의 바탕이 되기도 한다.


1992년 비엔나 초연 이후 5년간 1천 회 공연을 통해 1백 만 명 관객 동원 기록을 세운 <엘리자벳>은 이후 유럽 지역을 비롯한 10개 국가에서 공연되었으며, 1996년 아시아 최초로 일본에 상륙, 현재까지 토호와 다카라즈카 극단, 두 개의 버전으로 공연 중이다. 초연 20주년을 맞는 올해에는 한국 뿐 아니라 유럽 투어 공연을 시작하기도 한다.

웅장한 궁전, 황후의 아름다운 외모를 더욱 돋보이게 만드는 화려한 드레스와 장신구 등을 비롯, 빠르게 교체되는 무대 등 시선을 압도하는 볼거리도 빼 놓을 수 없다. 헝가리어, 그리스어 등 언어 능력이 탁월했으며, 평소 운동을 즐겨 우수한 승마 실력을 자랑했다는 자유분방하고 고혹적인 황후 엘리자베스의 매력이 무엇보다 빛나는 작품이다.


글: 황선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suna1@interpark.com)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