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대 공연] 영화 <재심>과 꼭 닮은 공연은?

  • like8
  • like8
  • share
* 이 기사는 일부 작품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스포일러에 예민하신 분들은 작품관람 후 기사를 읽으실 것을 추천합니다.
 
■ 돈과 권력의 민낯… 영화 <재심> vs 연극 <베헤모스>
돈과 권력의 만행이 세상에 드러나게 되자 국민은 분노했다. 어느 정도 불공평한 사회라고 생각은 했지만, 이 정도까지 바닥일 줄은 생각지 못했기 때문이다. 영화 <재심>과 연극 <배헤모스>는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현실을 살고 있는 지금, 우리에게 돈과 권력이 판치는 세상의 씁쓸함을 다시 한번 상기하게 하는 작품이다.

먼저 영화 <재심>은 약촌 오거리 실화 사건을 바탕으로,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10년간 감옥생활을 한 청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돈만을 좇던 변호사 준영은 주인공 현우를 만나게 되면서 조금씩 변화하고, 10여 년 만에 재심을 통해 사건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애쓴다. 그 속에서 준영은 과도한 성과주의에 사로잡힌 경찰이 현우를 범인으로 만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증거조작을 일삼았는지 알게 된다. 작품 속에서는 진실을 알면서도 집단의 권위를 위해 사실을 은폐하려는 권력자들의 민낯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마치 우리 사회의 모습처럼.

영화 <재심>이 착한 희생자와 변호사의 이야기를 다뤘다면, 연극 <베헤모스>는 정반대의 캐릭터를 통해 돈과 권력의 폐해를 꼬집는다. 사건은 재벌가 아들 태석에게 벌어진 살인 사건으로부터 시작된다. 돈에 눈이 먼 변호사 이변은 자수를 한 가해자 태석을 무죄로 만들기 위해 온갖 방법을 동원한다. 정의구현을 목표로 삼으며 검사생활을 하는 오검은 살인 사건의 결정적인 증거를 찾기 위해 이변과 대립하고, 불꽃 튀는 다툼은 파국의 결말로 치닫는다. 작품은 권력과 돈에 의해 점차 변해가는 인간상을 보여주며, 우리 자신의 모습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한다. 연극 <베헤모스>는 오는 4월 2일까지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에서 계속된다.
 
■ 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꼬집다… 영화 <천하장사 마돈나> VS 연극 <남자충동>
어린 시절 말괄량이처럼 뛰어놀다가 여자답지 못하다고 부모님께 혼난 기억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남자와 여자의 성 역할을 맘대로 구분 짓는 사회 인식이 하나의 고정관념처럼 작용한 결과다. 이처럼 고정관념의 힘은 강력하다. 특정 집단의 색을 규정짓기도, 때론 개인의 행동을 제약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영화 <천하장사 마돈나>와 연극 <남자충동>은 이러한 고정관념에 빠진 사람들에게는 신선한 충격이 될 수 있는 작품이다.

영화 <천하장사 마돈나>는 성전환수술 비용을 벌기 위해 한 소년이 씨름부에 들어가면서 겪게 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남성미의 대명사 '천하장사'와 섹시아이콘 '마돈나'라는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두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작품은 극 전반에 걸쳐 기존의 고정관념과 싸운다. 성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주인공 동구는 흔히 트렌스젠더 하면 떠올리게 되는 화려한 여성적인 모습과는 달리 통통한 몸매의 평범한 소년이다. 그런 그는 남성성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스포츠, 씨름에 도전한다. (심지어 어이없게 잘한다)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한 우리의 오해를 무너뜨리기 위한 이러한 설정은 극 후반부로 갈수록 주인공 동구를 특별한 인물이 아닌, 사람 그 자체로 보게 한다.

연극 <남자충동>은 <천하장사 마돈나>와 달리 지극히 수컷 냄새가 물씬 풍기는 작품이다. 영화<대부>의 알파치노를 롤모델로 삼고 있는 시골 양아치 장정은 ‘남자다움’에 살고 ‘남자다움’에 죽는다. 가족들과 함께 사는 걸 중요시하지만 남자다움에서 발현된 폭력성은 주변 사람들을 다 떠나게 한다. <남자충동>은 주인공 장정의 파멸을 통해 그가 생각한 남자다움이 얼마나 보잘것없는 것임을 꼬집는다. 바로, 힘과 폭력으로 일그러진 남성성에 대한 고정관념 말이다. 연극 <남자충동>은 오는 26일까지 대학로 티오엠 1관에서 계속된다.
 
■ 선과 악 사이 방황하는 인간상… 영화 <곡성> vs 뮤지컬 <더 데빌>
나약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선과 악이라는 선택의 기로에 놓일 때 당신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겠는가. 내 안의 혹은 나를 지켜주는 천사를 택하겠는가, 아니면 달콤하지만 치명적인 결말을 낳을 수도 있는 악마를 택하겠는가. 이처럼 선과 악이라는 프레임 속에서 방황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준 두 작품이 있다. 바로 영화 <곡성>과 뮤지컬 <더 데빌>이다.

지난해 상반기 대한민국의 화제작으로 떠오른 영화 <곡성>은 낯선 외지인이 나타난 후 벌어지는 의문의 연쇄 사건들을 중심으로 이를 의심하게 된 한 남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누구의 말이 진실인지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자신을 지켜주는 천사 무명의 말보다 악마 일광의 말에 귀를 기울이게 되는 종구. 결국, 사랑하던 딸의 죽음이라는 안타까운 결말을 지켜보며 우리는 거짓에 유혹당하고 끊임없이 의심하는 인간의 나약함에 대해 떠올리게 된다.

뮤지컬 <더 데빌> 역시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끊임없이 악마에 유혹당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준다. 주가가 대폭락한 블랙 먼데이 이후 모든 것을 잃게 된 인간 존 파우스트는 천사인 X화이트와 X블랙 사이에서 달콤한 유혹의 손길을 뻗치는 X블랙을 택한다. 그리곤 비도덕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살 길을 찾아 나가며 점점 타락의 길로 빠진다. 심지어 자신의 사랑하는 연인 그레첸까지 외면하면서 말이다. <더 데빌>은 타락해가는 인간상을 보여주며 우리에게 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어두운 현실 세계에서 부디 천사의 손을 잡아 밝은 사회로 나아가길 바라는 것처럼. 뮤지컬 <더 데빌>은 오는 4월 30일까지 대학로 드림아트센터 1관에서 공연된다.


글 : 이우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wowo0@interpark.com)
사진 : 인터파크
 

[ⓒ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공연

#다른 콘텐츠 보기

가장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