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잃어버린 자아를 찾아
미망의 늪에서 끝없이 헤매이는 인간들의 군상.
역사로부터 진보가 아니라 끊임없이 순환되는 듯 한 인간 살이.
끝 닿을 줄 모르는 인간들의 묙망.
그 욕망의 늪에서 허우적 대는 우리들.
이처럼 알 듯 모를 듯 수수께끼 같은 인연의 고리를
불가의 심우도에 기대어 우리가 잃어버린,
우리들의 마음속에 숨어있는 자아를 찾아
깊은 성찰의 불씨를 깨달음으로써
우주와 자연과 생명과 인간의 삶이 일체임을 깨닫고자 한다.
인연과 보
이번 공연은 극단 완자무늬가 추진하고 있는
심우도 연작 씨리즈 중의 한 작품이다.
심우도는 선가에서 깨달음의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소를 마음에 비유해 그 마음을 찾는다 하여 심우도라 하고
그림이 10개가 되었다 하여 십우도라고 하였다.
이번 공연은 그 심우도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사바의 얘기이다.
사바란 누가 어떤 큰 소리로 떠들어도
인연과 보에서 파생한 생, 멸속의 희노애락일 뿐이다.
그 사바의 인연과 업보속에 이번 작품의 소재로 삼은 10. 27 법난은
한국 근, 현대 종교사에 대단히 유감스럽고 큰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벌써 역사속에 묻혀버린 사건이다.
이 작품은 그런 종교나 권력이,
인간과 인간이,
남과 여가,
상식과 비상식이 인연과 보의 틀 속에서
부딪히는 얘기를 다룬 작품이다.
작품의도
이 작품은 “심우도”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사바의 얘기로
크게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사바세계의 끊이지 않는 인연과 업보의 긴 뿌리로 나타나는
한 가정의 모습이고 또 하나는 극의 소재로 삼은
10.27 법난이라는 한국현대사의 굴절된 현상을
종교와 권력의 부딪힘으로 구성한 독특한 소재거리다.
10.27 법난은 한국 근, 현대 종교사에 큰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속에 묻혀버린 사건으로 이번 작품에서는 이를 배경으로
종교와 권력이 인간과 인간, 남과 여,
상식과 인연과 업보의 틀속에서 부딪히는 얘기를 다루고 있다.
미망의 늪에서 끝없이 헤매이는 인간들의 군상.
역사로부터 진보가 아니라 끊임없이 순환되는 듯 한 인간 살이.
끝 닿을 줄 모르는 인간들의 묙망.
그 욕망의 늪에서 허우적 대는 우리들.
이처럼 알 듯 모를 듯 수수께끼 같은 인연의 고리를
불가의 심우도에 기대어 우리가 잃어버린,
우리들의 마음속에 숨어있는 자아를 찾아
깊은 성찰의 불씨를 깨달음으로써
우주와 자연과 생명과 인간의 삶이 일체임을 깨닫고자 한다.
인연과 보
이번 공연은 극단 완자무늬가 추진하고 있는
심우도 연작 씨리즈 중의 한 작품이다.
심우도는 선가에서 깨달음의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소를 마음에 비유해 그 마음을 찾는다 하여 심우도라 하고
그림이 10개가 되었다 하여 십우도라고 하였다.
이번 공연은 그 심우도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사바의 얘기이다.
사바란 누가 어떤 큰 소리로 떠들어도
인연과 보에서 파생한 생, 멸속의 희노애락일 뿐이다.
그 사바의 인연과 업보속에 이번 작품의 소재로 삼은 10. 27 법난은
한국 근, 현대 종교사에 대단히 유감스럽고 큰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벌써 역사속에 묻혀버린 사건이다.
이 작품은 그런 종교나 권력이,
인간과 인간이,
남과 여가,
상식과 비상식이 인연과 보의 틀 속에서
부딪히는 얘기를 다룬 작품이다.
작품의도
이 작품은 “심우도”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사바의 얘기로
크게 두 개의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사바세계의 끊이지 않는 인연과 업보의 긴 뿌리로 나타나는
한 가정의 모습이고 또 하나는 극의 소재로 삼은
10.27 법난이라는 한국현대사의 굴절된 현상을
종교와 권력의 부딪힘으로 구성한 독특한 소재거리다.
10.27 법난은 한국 근, 현대 종교사에 큰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속에 묻혀버린 사건으로 이번 작품에서는 이를 배경으로
종교와 권력이 인간과 인간, 남과 여,
상식과 인연과 업보의 틀속에서 부딪히는 얘기를 다루고 있다.
줄거리
일운스님은 10. 27 법난 때 끌려가 고문 후유증으로 죽게 된다.
광렬의 생부인 일운스님의 죽음은
광렬에게 생부를 알려야 한다는 어머니와 양부의 갈등을 초래하고
모든 인연의 길을 끊고 인도로 떠난 광렬은 집으로 돌아오게 된다.
사실을 알게 된 광렬은 개인으로는 현실도피와 개인주의,
패배주의적 삶에서 있는 그대로 현실, 즉 사회의 모든 일이
자신과 연관되어 있지 않은 일이란 없다는 열린 세게로,
깨달음의 과정으로 옮아가게 되고,
부끄럽던 불교계에서는 10. 27 법난이라는
현대사의 굴절된 현상을 밝히려 한다.
권력과 종교의 싸움은 한 가정에 평지풍파를 일으키나
그 속에서 어려움을 딛고 일어서려는 광렬의 의지는
우리 삶을 유지하는 생활철학의 단초로 우리 모두의 가슴을 두드린다.
종교와 권력이 부딪히는 10. 27 법난의 소용돌이 속에서
한 가정의 잠재된 비밀은 노출화 될 수밖에 없는
개인과 가정의 아픔을 느끼게 한다.
결국 모든 인연과 행위의 시점인 욕망과 갈애는
또 다른 과보와 인연을 만들고 그 현상은 개인과 개인,
개인과 역사에 누구도 방관자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일깨운다.
광렬의 생부인 일운스님의 죽음은
광렬에게 생부를 알려야 한다는 어머니와 양부의 갈등을 초래하고
모든 인연의 길을 끊고 인도로 떠난 광렬은 집으로 돌아오게 된다.
사실을 알게 된 광렬은 개인으로는 현실도피와 개인주의,
패배주의적 삶에서 있는 그대로 현실, 즉 사회의 모든 일이
자신과 연관되어 있지 않은 일이란 없다는 열린 세게로,
깨달음의 과정으로 옮아가게 되고,
부끄럽던 불교계에서는 10. 27 법난이라는
현대사의 굴절된 현상을 밝히려 한다.
권력과 종교의 싸움은 한 가정에 평지풍파를 일으키나
그 속에서 어려움을 딛고 일어서려는 광렬의 의지는
우리 삶을 유지하는 생활철학의 단초로 우리 모두의 가슴을 두드린다.
종교와 권력이 부딪히는 10. 27 법난의 소용돌이 속에서
한 가정의 잠재된 비밀은 노출화 될 수밖에 없는
개인과 가정의 아픔을 느끼게 한다.
결국 모든 인연과 행위의 시점인 욕망과 갈애는
또 다른 과보와 인연을 만들고 그 현상은 개인과 개인,
개인과 역사에 누구도 방관자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일깨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