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100페스티벌 2012’ 연극, 정치를 말하다.
100페스티벌2012은
2005년 <젊은 연출가전 五目전>을 시작으로 올해 8회째를 맞이하고 있는 서울연극페스티벌로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대중과 함께 고민하고 제안하는 축제로서 전문 예술인들의 다각적 접근으로 만들어진 연극작품들은 우리의 현 모습을 투영하여 그 동안 관객과 평단의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연극 페스티벌이다.
연극은 동시대를 투영하는 거울이라는 것임에 입각하여 ‘100페스티벌 2010-전쟁 그리고 분단’, ‘100페스티벌 2011- 다문화, 소통 그리고 열린사회’에 이어 세 번째 주제로 ‘연극, 정치를 말하다’로 작품을 공모하였고 이에 엄선된 작품을 선정하여 이에 6개 극단의 공연을 통해 100페스티벌2012를 기획, 개최하고자 한다.
이번 2012년의 주제는 <연극, 정치를 말하다>로, 7월3일(화) 부터 8월12일(일) 까지 6개의 작품이 매주 이어진다. 또한 매주 수요일은 공연관람 후 전문예술인들과 관객과 함께하는 시간 인 <다솜 모임>을 통해 예술의 사회적 역할과 현 시대를 본 작품들로 소통하는 시간을 갖는다.
<도둑님들>
극단 수작 ∥ 작 김무지 . 연출 고건영
기득권자들은 자신이 가진 것을 지키기 위해, 혹은 더 큰 욕심을 위해 온갖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의지만으로는 소신을 지켜가기 힘든 현실 속에서 방황하다 결국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변절하는 위정자와, 모종의 목적으로 모두를 공황상태로 몰아가는 막후의 권력자,
그 와중에 억울하게 스러져가는 희생자들의 모습 속에서, 부조리한 대한민국의 현실을 되짚어 본다.
작가의도
“대중이 혁명 세력으로 발전하지 못하는 이유는 혁명을 위해 값비싼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 이라는 촘스키의 말에서 ‘도둑님들’은 시작됐다. ‘그분’을 추억하지만, 행동하지 못하는 모든 대중이 공감할 수 있기를..
연출의도
저명한 정치학자 데이비드 이스턴은 정치란 ‘가치의 권위적 분배’라 정의했다.
권위적 분배.. 실로 인류의 역사는 그 권위의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 변화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보편 타당한 다수의 합의가 권위가 되고 분배의 주체가 되는 세상, 그런 대한민국을 위해 참으로 많은 이들이 피 흘리며 스러져 갔다. 하지만 여전히 저열한 이기심으로 기득권 사수에 혈안이 된 권력자들과, 무기력하게 그들에 휘둘리고 희생당하는 민초들..
지금 이 순간에도 현재진행형인 이 악순환의 고리는 도대체 언제쯤이나 끊어질 수 있을까..
행동하라! 벽에 대고 욕이라도 하라! 던 어느 전직 대통령님의 일갈이 송곳처럼 뇌리를 후비는 요즘, 소심한 비웃음이나마 함께 했으면 하는 작은 바람을 가져본다."
100페스티벌2012은
2005년 <젊은 연출가전 五目전>을 시작으로 올해 8회째를 맞이하고 있는 서울연극페스티벌로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대중과 함께 고민하고 제안하는 축제로서 전문 예술인들의 다각적 접근으로 만들어진 연극작품들은 우리의 현 모습을 투영하여 그 동안 관객과 평단의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연극 페스티벌이다.
연극은 동시대를 투영하는 거울이라는 것임에 입각하여 ‘100페스티벌 2010-전쟁 그리고 분단’, ‘100페스티벌 2011- 다문화, 소통 그리고 열린사회’에 이어 세 번째 주제로 ‘연극, 정치를 말하다’로 작품을 공모하였고 이에 엄선된 작품을 선정하여 이에 6개 극단의 공연을 통해 100페스티벌2012를 기획, 개최하고자 한다.
이번 2012년의 주제는 <연극, 정치를 말하다>로, 7월3일(화) 부터 8월12일(일) 까지 6개의 작품이 매주 이어진다. 또한 매주 수요일은 공연관람 후 전문예술인들과 관객과 함께하는 시간 인 <다솜 모임>을 통해 예술의 사회적 역할과 현 시대를 본 작품들로 소통하는 시간을 갖는다.
<도둑님들>
극단 수작 ∥ 작 김무지 . 연출 고건영
기득권자들은 자신이 가진 것을 지키기 위해, 혹은 더 큰 욕심을 위해 온갖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의지만으로는 소신을 지켜가기 힘든 현실 속에서 방황하다 결국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변절하는 위정자와, 모종의 목적으로 모두를 공황상태로 몰아가는 막후의 권력자,
그 와중에 억울하게 스러져가는 희생자들의 모습 속에서, 부조리한 대한민국의 현실을 되짚어 본다.
작가의도
“대중이 혁명 세력으로 발전하지 못하는 이유는 혁명을 위해 값비싼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 이라는 촘스키의 말에서 ‘도둑님들’은 시작됐다. ‘그분’을 추억하지만, 행동하지 못하는 모든 대중이 공감할 수 있기를..
연출의도
저명한 정치학자 데이비드 이스턴은 정치란 ‘가치의 권위적 분배’라 정의했다.
권위적 분배.. 실로 인류의 역사는 그 권위의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 변화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보편 타당한 다수의 합의가 권위가 되고 분배의 주체가 되는 세상, 그런 대한민국을 위해 참으로 많은 이들이 피 흘리며 스러져 갔다. 하지만 여전히 저열한 이기심으로 기득권 사수에 혈안이 된 권력자들과, 무기력하게 그들에 휘둘리고 희생당하는 민초들..
지금 이 순간에도 현재진행형인 이 악순환의 고리는 도대체 언제쯤이나 끊어질 수 있을까..
행동하라! 벽에 대고 욕이라도 하라! 던 어느 전직 대통령님의 일갈이 송곳처럼 뇌리를 후비는 요즘, 소심한 비웃음이나마 함께 했으면 하는 작은 바람을 가져본다."
줄거리
지방의 작은 마을, 우중초리(雨中草里). 마을 사람들은 특별농공단지에 입주해 있는 공장에서 나는 악취로 괴로움을 겪고 있다. 마을 이장인 대철은 공장 악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마을 사람들의 원성을 산다. 공장의 실 소유주인 대철의 작은 아버지 문호는 모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막후에서 사람들을 조종하며 마을을 공황상태로 몰아가는데.. 할아버지 때부터 대대로 이장 직을 맡아온 가계에 대한 부담과 자신의 이익을 위해 시시때때로 변모하는 주위 사람들의 협잡 속에서 대철은 과연 무사히 이장 직을 지켜낼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