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인도의 젠더 전환자 공동체, 히즈라(Hijra)와
이들이 섬기는 신 바후차라마타Bahuchara Mata

성性의 경계를 넘어선 이들이 던지는 하나의 질문
'우리의 성은 남과 여, 단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는가?'

히즈라들이 ‘마타(어머니)’로 섬기는 신 ‘바후차라마타’는 남성과 여성 그 가운데의 신성함을 상징한다. 남자도 여자도 아닌 히즈라들이 인도 내에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유지되어 온 것은 온전히 이 신의 존재 덕분이다. 스스로를 남성이나 여성으로 정체화하지 않는 히즈라들에게 사랑은 성의 구분을 뛰어 넘는 것일 수 밖에 없다.

<바후차라마타>는 현대 사회가 고수하고 있는 생물학적 기준에 따른 성의 이분법적 구분과 차별을 넘어서는, 대안적인 젠더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시작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뛰다’의 관심은 지금, 이 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이다. 지금은 소수자가 되어버린, 이분법의 주류세계에서 추방된 이들의 삶 역시 우리들 안의 삶 중 하나인, 이 모든 사람들의 삶이다.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말하기 이전에, 사람들이 외면하는 세상의 한 면을 그저 담담히 들여다보려 하는 것이다.

공연창작집단 뛰다, 오늘의 이야기를 새로운 무대언어로

2011년부터 한국과 인도 예술가들의 공동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공동제작 프로젝트 <바후차라마타>는 긴 공동 워크숍과 창작 레지던시 과정을 거치며 이질적인 두 문화의 충돌과 수용을 통해 한국과 인도의 문화적 경계를 넘어서 아시아적 가치를 담아내고자 하는 문화상호적 작업을 지향하고 있다.

줄거리

난 여잔 아니에요. 하지만 여자에 가까워요

어떤 이야기가 있다. 그녀, 아니 그, 아니 그냥 그 사람이라고 해야겠다. 그 사람은 여자로 태어났지만 여자로 사는 것이 불편했다. 보통의 남자들처럼 행동하고, 남자들처럼 옷 입는 게 좋았고, 남자들처럼 자연스럽게 여자들에게 눈길이 갔다.
어느 날, 한 여자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그리고 그 사랑으로 그 사람은 자신의 성 정체성에 눈을 뜨게 된다. 여자를 사랑하게 된 자신은 분명 남자일 거라 확신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자신을 사랑했던 그 여자는 자신을 여자로서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혼란스러웠다. 물론 그 여자도 그랬을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헤어질 수 밖에 없었다. 그 사람은 남자가 되기 위해 무던히 노력했다. 당연히, 여자가 아니라면 남자여야하기에.
그런데 성전환 수술을 앞둔 어느 날, 그 사람은 남자가 되는 것을 포기하고 말았다. 호르몬 치료로 변해버린 자신의 몸이 낯설었고, 내가 아닌 다른 무엇이 된다는 생각에 두려워졌던 것이다.

그 사람은 더 큰 혼란에 빠졌고 자신을 떠나간 그 여자를 더욱 그리워했다. 그 사랑만이 자신을 다시 구해줄 거라는 믿음으로 그 사람은 용감하게 그 여자를 찾아갔고, 마침내 사랑은 다시 이어졌다. 그 사람은 이제 무언가가 된다는 생각은 버렸다. 분명 여자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굳이 자신을 남자라고 말하지 않는다. 이제 그런 구분은 필요하지 않으니까. 중요한 것은 자신을 그대로 사랑해주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