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 콘텐츠 개발에 힘쓰고 있는 HJ컬쳐 한승원 대표 “보편적이고 감동적인 이야기를 찾는다”

지난해와 올해 초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던 창작뮤지컬이 있다. 자살로 생을 마감한 화가 빈센트 반 고흐의 삶과 그가 남긴 명작을 영상 기술을 통해 살려낸 <빈센트 반 고흐>, 모차르트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은 궁중 음악가 안토니오 살리에르의 지독한 열등감을 다룬 <살리에르>와 카스테라토 파리넬리의 비극적인 삶을 오페레타 형식을 빌려 그린 <파리넬리>는 모두 신생 제작사 HJ컬쳐의 작품이다. 제작자나 배우들 모두 보람되지만 힘들다고 말하는 창작뮤지컬을 연달아 무대에 올릴 수 있는 힘은 무엇일까? ‘좋은 컨텐츠로 관객에게 즐거움을 주자’는 HJ컬쳐 한승원 대표의 공연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를 전한다.

Q 회사명 HJ컬쳐가 휴먼(HUMAN)과 조이풀(JOYFUL)를 합쳐서 만들었다고.
예술이 유일하게 사람들을 위로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힘들 때 음악을 들으면 기분이 좋아지고 마포대교에 자살하려는 사람이 시 한 구절에 마음을 돌릴 수도 있다. 예술만큼 위대한 일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가 만든 컨텐츠로 사람들이 즐거웠으면 좋겠다.’라는 뜻으로 회사 이름을 지었다. 우리 회사가 있어야 될 이유는 힘들고 지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컨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다.

개인 사업으로 시작하다가 법인으로 전환한 지 올해가 3년 차이다. 1년 차는 라인업을 준비했고, 2년 차에 들어서면서 준비한 공연을 올리고 관객들에게 회사가 알려지기 시작했다. 1년 만에 세 작품이 런칭될 수 있어서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Q 최근 막을 내린 <파리넬리>를 비롯한 <살리에르><빈센트 반 고흐> 등 창작 콘텐츠이면서 인물에 대한 이야기다.
회사를 만들면서 국내 시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러려면 글로벌한 소재가 필요했다. 우리만 아는 이야기보다는 많은 사람들이 알 수 있는 보편적인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러 문화를 아우르고 세대와 관계 없는 보편적인 이야기와 거기서 줄 수 있는 감동을 찾되, 무대에 올렸을 때 더 좋을 만한 콘텐츠를 찾고자 했다.

이번 <파리넬리>는 무대에서 음악적인 이야기를 하고 싶었는데 무엇이 좋을까 고민하다가 파리넬리가 눈에 들어왔다. 아무래도 보편적이면서 감동적인 이야기는 예술가들의 삶을 다루는 것이 가장 적합했다. 그래서 그동안 <빈센트 반 고흐>나 <살리에르> 같은 인물 열전의 작품들을 많이 하게 됐다.


<파리넬리>

Q 창작만 고집하는 이유가 있나?
사실 몇 년 전에 <쉬 러브즈 미>라는 작품을 해봤는데 쉽지가 않았다. 좋은 라이선스가 있다면 해야겠지만 당장 해외 네트워킹이 활발한 것도 아니고, 그리고 검토 요청을 하고 싶어도 빨리 피드백이 안 오는 실정이다. 라이선스는 그 해 핫한 작품은 많지만 오히려 요즘 시대 정서와 맞는 작품을 찾기가 더 힘들다. 그렇다면 소재를 찾아서 발굴하고 그것을 공연에 맞게 개발하는 창작을 하는 것이 빠르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 스텝과 배우들의 능력이 뛰어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창작은 해볼만한 작업이다.

또한 기존의 라이선스로 강력한 회사들이 있는데, 지금 같은 어려운 내수시장에 끼어들어서 라이선스를 한다고 하면 그것이 정말 공연 시장을 위해서 옳은 일도 아닌 것 같다. 그렇다면 결국 창작이 답이고, 또 연달아 여러 편을 하는 이유도 시스템적으로 작품 하나만 하면 직원을 쓸 수가 없다. 작품 하나 끝나면 직원들을 다 내보내고 다시 작품을 올릴 때 또 뽑아야 한다. 그렇다면 결국에는 연이어 작품이 계속 있어야 한다. 한 쪽에서는 신작 개발하고 다른 한 쪽에서는 작품 올리면서 시스템적으로 가야 선순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Q 제작 과정이 궁금하다.

회사에서 소재가 나오면 기획팀이 모여서 소재에 대한 타당성과 가능성을 이야기하고 직원들의 의견을 모아서 라인업을 확정을 짓는다. 그런 후에는 어떤 작곡가와 작사가가 좋겠느냐는 고민을 하게 된다. 보통은 대본과 음악을 진행시킨 후에 연출가를 찾고 있다. 대표로서 대본 개발 과정부터 많이 참여하는 편이다. 연습에 들어가기 전까지만 말을 많이 하고 연습에 들어가면 그때는 창작자들이 알아서 할 수 있도록 믿고 맡겨두는 편이다.

우리 작품에는 배우나 스태프들이 신인들이 많이 참여한다. 창작 작업은 서로 간의 호흡이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이야기를 나눠야 하는데, 그러다 보니 기존에 작업을 많이 하셨던 훌륭한 분들도 많이 계시지만 그 분들은 기존 라인업도 많고 그동안 함께 작업해온 컴퍼니도 있기 때문에 우리 것만 올인해 달라고 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신인이나 입봉이나 데뷔는 했지만 아직 경험이 부족한 친구들이랑 작업을 많이 했다. 개인적인 생각이긴 하지만 콘텐츠를 만들 때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건 '이루고자 하는 꿈과 목표가 명확한 사람들이 모이면 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Q 배우들은 어떻게 뽑나.
’누구 때문에 표가 잘 팔렸어’ 하는 소리를 듣고 싶지 않다. 누구 하나 보다는 모두의 노력으로 잘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그래야 십 년, 이십 년을 갈 수 있다. 우리와 비슷한 생각과 꿈이 있는 배우와 함께 십 년을 바라보고 가고 있다. 그래야 십 년 후에는 우리가 원하는 모습이 만들어질 것 같다. 나는 우리 배우들이 최고의 스타 배우들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배우들을 무조건 믿어야 하고, 배우들이 다른 작품에서 보다 더 돋보디고 자신의 색깔을 낼 수 있도록 도와주려고 한다. 배우들에게 약속하고 싶은 것이 하나 있다면 "우리 작품을 했을 때 훗날 경력사항에 중요한 작품으로 만들어주겠다.'는 것이 목표다.


<빈센트 반 고흐> (위)
<살리에르> (아래)

Q 하반기에는 <만추>와 <드가장>을 무대에 올린다.
<만추>는 HJ컬쳐의 첫 연극이다. 영화 <만추>를 좋아하기도 했고, 또 두 남녀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또 다른 하나는 <드가장>이라는 작품이다. 지금까지는 어떻게 하다 보니까 계속적으로 인물 이야기로 갔는데, 새로운 것을 많이 하고 싶다. <드가장>은 영화 <색즉시공>같은 뮤지컬이다(웃음). 아무 생각 안하고 뇌를 쉬고 싶을 때나 원초적으로 자극 받고 싶을 때가 있지 않나. 뮤지컬도 그런 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아무 때나 편하게 와서 볼 수 있는 공연이 될 것이다.

Q MD 상품 제작 등 여러모로 관객들을 위한 신경을 많이 쓰고 있다.
사실 학교 다닐 때는 관객이 연극의 3요소라고 불리는 그것에 대해 이해하지 못했다. 되게 의아해했다. 교수님께도 격렬하게 아니라고 말하기도 했다(웃음). 학생 때니까 작품을 많이 접해보지 않았고 관객에 대해서도 잘 몰랐었다. 오히려 ‘청테이프가 더 연극의 3요소이다’라고 생각했다. 청테이프는 공연할 때 어디 안 쓰이는 곳이 없다. 빨간 약이다(웃음).

하지만 이제는 안다. 우리가 공연을 하는 이유는 관객을 위해서 하는 거다. 공연 예술은 관객 없이 존재할 수가 없다. 관객이 작품에 동참하지 않고 관객에게 웃음과 행복감을 주지 못하면 안 된다. 그래서 관객이 제 3의 요소라고 생각한다. 대중이 어디에서 눈물을 흘리지 예측할 수는 없지만, 내가 만든 작품이 관객이 좋아해줄 거라고 바라고 믿고 만드는 수밖에 없다.

대신 작품 외적인 것들. MD, 티켓 가격, 할인 정책, 좌석배치도 같은 경우, 우리는 알지 않나. 관객이 어떨 때 행복할까?라는 사실을 말이다. 그래서 ‘내가 관객이라면 어떨까’ 라는 생각을 많이 한다. 물론 한계는 있겠지만 작품 외적인 것들을 잘 정비해서 관객들에게 웃음과 기쁨을 줄 수 있는 요소를 많이 만들어 내야 한다.

일례로 관객들을 위해서 OST를 제작하고 있다. 창작 초연에서 OST를 내는 게 쉬운 일은 아닌데, 회사의 색깔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들은 “일부러 늦게 내야 또 공연장에 온다”고 말씀하기도 하지만 우리가 정말 우리만의 색을 보여주고 관객들이 원하는 것을 채워주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걸 전부 쏟아내면 관객들이 알아줄 거라고 믿는다.

Q 관객이 무서울 때는 없나?
관객은 늘 무섭다. 관객들이 좋아할 거라는 마음을 기다린다는 건 정말 초초한 일이다. 그래서 매일 새벽기도를 간다(웃음). 그저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정말 작품을 열심히 만들고 대중이 좋아하기만을 기다릴 수 밖에 없다. 그러니까 절박한 사람들이 모여야 한다. 그래서 진정성이 중요하다. 누구는 관객들 눈치를 너무 많이 보는 것 아니냐고 하는데, 우리는 사랑하는 여자친구, 남자친구 위해서 잘 보이려고 하지 않나. 눈치 보여서, 싫은데 억지로 하는 것은 아니다. 좋아서 더 해줄려고 하는 거다. 다른데서 눈치 본다고 하는데 그건 오해인 것 같다. 티켓 가격이 싸지도 않고 그것을 한 번도 아니고 몇 번씩 보고, 후기도 남겨주고, 다른 사람에게 권유도 해주는데 어떻게 관객들이 안 예쁠 수가 있을까?


Q 프로듀서로서 좋아하는 작품이 있다면?
뮤지컬 <레미제라블>과 <라이온킹>을 좋아한다. <라이온킹>은 개인적으로 뮤지컬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한 작품이다. 대학 졸업 후 미국에 가서 봤는데 오프닝 무대를 보는 순간, ‘뮤지컬이라는 것이 이런 거구나. 전율을 느꼈다. 어떻게 이럴 수 있을까? 당시 한국에서는 그런 작품을 볼 수 없을 때였다. 무대를 보면서 눈물도 흘리고 진한 감동을 받았다. 그때는 또 젊을 때라 피가 끓었다. 보면서 ‘나도 관객들이 좋아하는 작품을 꼭 한번 만들어보고 싶다’고 마음먹었다. 그렇게 대학로로 왔는데 피폐해진 삶을 또 몇 년 살다가 <레미제라블>을 보고 다시 희망에 대해 생각했던 것 같다.

개인적으로 매킨토시 작품을 좋아하는데 만난 적은 없지만 궁금했다. 평생 좋은 작품 하나만 해도 어려운데 저 사람을 도대체 뭘까? 하는 궁금증이 일었다. 매킨토시를 모델로 삼으면서 그는 어떤 작품을 많이 올리나, 왜 저 작품은 글로벌 라이징이 가능할까? 그런 걸 나름대로 연구했다. <오페라의 유령>은 소설이 원작, <캣츠>는 시, <미스 사이공>은 오페라고. 이런 것들을 보면 기본적으로 이 사람이 추구하는 원텍스트가 전쟁, 사랑, 인간의 감정을 기반으로 하는 이야기들을 풀어내고 있다. 그의 작품은 단지 재미로만 끝나지 않고, 그렇다고 꼭 교훈을 주고자 만든 것은 아니지만 인생을 한 번쯤 돌아보고 되새김질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람들의 마음을 위로해줄 수 있는 작품이기에 오래도록 사랑받는 것이 아닐까 싶다.

Q 요즘 고민거리가 있다면?
첫 번째는 육아. 어떻게 좋은 아빠가 될 수 있을까(웃음). 두 번째는 회사의 콘텐츠가 많아지면서 다음 시즌 대관을 잡아야 하는데 대관이 쉽게 되는 일이 아니다. 창작 작품도 점점 많아지면서 공연장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 기존 공연장과 회사들의 관계를 비집고 들어가기가 힘들다. 그래서 일정 수준의 라인업이 빨리 나와줘야 여러 제안도 많이 할 수 있다.

Q 앞으로 어떤 회사로 만들 생각인가.
뮤지컬은 태생적으로 부담 없는 가격이 있을 수가 없다. 적은 금액대가 아니다. 결국은 최소한의 티켓 가격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객 입장에서는 고가일 수 밖에 없는데, 관객들에게 만족도를 주기 위해서는 관객이 지불하고 보는 그 가격 이상의 가치를 관객들이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줄 수 있는가'를 늘 생각하며 최대한 관객에게 최적화된 공연을 제공하고자 5년 안에 국내 시장을 다지고 5년 후에는 그 힘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에서 공격적인 제작을 하는 것이 목표다.

글: 강진이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jini21@interpark.com)
사진: 배경훈 (Mr.Hodol@Mr-Hodol.com)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댓글3

  • sugi8** 2015.06.17

    제가 좋아하는 완성도 높은 창작작품들이 모두 HJ작품이였다는 것을 알고서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습니다. 앞으로 나올 작품들도 기대하고 응원합니다!

  • babu09** 2015.05.20

    반고흐 ,살리에르 ,파리넬리 모두 좋아하는 작품입니다 이후 에이치제이컬쳐의 작품 기대되네요~

  • irtu** 2015.05.20

    생각해보니 제가 바로 제 돈 내고 공연 봐주고 재미있으면 여러 사람에게 권하고 후기도 쓰고 입소문도 내주고(재미없으면 혹평도 서슴치 않는)바로 그 무섭고 기특한 '관객'이었네요. 연극의 3요소...어쩌다보니 HJ의 작품을 한 번도 본 적 없어요. 우선순위에서 밀린 거죠. 곧 고흐를 보러 가겠습니다. 진정성을 가지고,절박하게 만든 작품을 빨리 보고 싶어졌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