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다 매력의 결정체 <뜨거운 여름>
작성일2014.11.25
조회수6,692
공연배달서비스 간다(이하 간다)는 자신들의 매력이 무엇인지 너무나 잘 알고, 또 그것을 마음껏 발휘할 줄 아는 극단이 분명하다. 극단의 이름을 가장 처음 알린 <거울공주 평강이야기>에서는 고전을 뒤집는 깜찍한 발상에 더해 음악과 무대 장치를 대신하는 배우들의 신체 활용이 으뜸이었고, <그자식 사랑했네> <우리 노래방 가서 얘기 좀 할까?>는 극단 단원들, 즉 이 시대 청춘남녀들의 경험을 녹여낸 사실적인 이야기로 많은 이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남이 아닌 '자신들'의 이야기를 정직하지만 재미있게 풀어내는 간다는 올해 창단 10주년을 맞이하며 선보인 신작 <유도소년>을 통해서 그들이 이제 불장난 같이 아찔한 연애에 온 몸을 던지던, 또 꿈을 향해 앞만 보고 달리던 청춘의 문턱을 하나 쯤은 넘었음을 시인하고 있다. 온전히 나에게만 향했던 어린 날의 시선은 점점 주변(가족)으로 확대되고(<나와 할아버지>), 치열했던 20대를 지나 한숨 돌리며 불현듯 뒤돌아 본 과거에는 잠시 잊고 있었던 푸르른 희망이 있었음을 깨닫기도 한다. 그렇게 마주한 옛 시절의 열정은 다소 무기력해진 오늘날에 새로운 윤활유가 될 것이라는 믿음이 <뜨거운 여름>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간다의 작품은 2, 30대 관객들 사이에서 더욱 큰 공감대를 형성한다. <뜨거운 여름> 역시 마찬가지다. 주인공인 연극 배우 재희가 첫사랑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녀를 처음 만났던, 우울했지만 순수했고 찬란했던 10대로 되돌아가며 펼쳐지는 이 작품은, 그 시절을 살았던 관객 모두를 재희로 만들어버린다. 교과서 아래 깔아놓고 몰래 보던 만화책, 남학생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컴퓨터 게임, 유행가 테이프를 쉼 없이 돌려 듣던 마이마이, 워크맨 등은 관객 모두를 자신들의 10대 시절에 응답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배우들의 신체 활용이 극적 언어로 훌륭하게 쓰여지는 것도 이번 작품에서 만날 수 있는 간다의 큰 매력이다. 작품을 쓰고 연출했으며 극단의 대표이기도 한 민준호 역시 과거 무용을 배우고 펼쳤을 정도로 움직임에 대한 관심이 크지만 <뜨거운 여름>의 놀라운 움직임들은 배우이자 안무가로 활약 중인 심새인의 힘이 컸음을 짐작하게 한다. 친근하고 사실적인 설정과 대사들이 배우들의 호흡 속에 차지게 살아나지만, 배우들의 몸과 몇 개의 소품들로 생성되고 소멸하며 또 변형되는 시공간을 만나는 것이 바로 무대에서만 가능한 마법임을 다시 한번 물씬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극단 단원들의 경험이나 주변의 일들을 바탕으로 한 친근하고 사실적인 이야기라는 간다의 장점은 재치 넘쳤던 전개에 비해 다소 허탈하고 급한 결말을 보일 때가 있다. <뜨거운 여름> 역시 마찬가지다. 성인 재희가 등장하는 도입부와 결말은 다소 급해 그 역할을 알아차리기 어렵고, 10대로 소환되어 아름답게 그 시절을 만끽하던 관객들이 다시 과거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마련된 시간은 매우 짧아 당황스럽기까지 하다. 열린 결말은 때론 매듭이 잘 안 지어져 펼쳐진 이야기 자루의 모습을 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뜨거운 여름>이 좋은 작품이라는 것을 부인할 수 없는 것은, 작품에 가득 담겨 있는 간다만의 유난한 장점들이 객석의 많은 박수와 공감대를 이끌어내며 극장 안에서 소통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극단 창단 멤버이자 주인공 재희 역을 맡은 배우 진선규의 활약도 결코 빼놓을 수 없겠다. 그의 투혼에 버금가는 열연은 진선규가 다재다능하며 진실한 배우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해줌과 동시에 극단 간다의 앞으로 10년도 기대하게 만들고 있다.
글: 황선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suna1@interpark.com)
사진: 플레이디비DB
남이 아닌 '자신들'의 이야기를 정직하지만 재미있게 풀어내는 간다는 올해 창단 10주년을 맞이하며 선보인 신작 <유도소년>을 통해서 그들이 이제 불장난 같이 아찔한 연애에 온 몸을 던지던, 또 꿈을 향해 앞만 보고 달리던 청춘의 문턱을 하나 쯤은 넘었음을 시인하고 있다. 온전히 나에게만 향했던 어린 날의 시선은 점점 주변(가족)으로 확대되고(<나와 할아버지>), 치열했던 20대를 지나 한숨 돌리며 불현듯 뒤돌아 본 과거에는 잠시 잊고 있었던 푸르른 희망이 있었음을 깨닫기도 한다. 그렇게 마주한 옛 시절의 열정은 다소 무기력해진 오늘날에 새로운 윤활유가 될 것이라는 믿음이 <뜨거운 여름>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간다의 작품은 2, 30대 관객들 사이에서 더욱 큰 공감대를 형성한다. <뜨거운 여름> 역시 마찬가지다. 주인공인 연극 배우 재희가 첫사랑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녀를 처음 만났던, 우울했지만 순수했고 찬란했던 10대로 되돌아가며 펼쳐지는 이 작품은, 그 시절을 살았던 관객 모두를 재희로 만들어버린다. 교과서 아래 깔아놓고 몰래 보던 만화책, 남학생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컴퓨터 게임, 유행가 테이프를 쉼 없이 돌려 듣던 마이마이, 워크맨 등은 관객 모두를 자신들의 10대 시절에 응답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배우들의 신체 활용이 극적 언어로 훌륭하게 쓰여지는 것도 이번 작품에서 만날 수 있는 간다의 큰 매력이다. 작품을 쓰고 연출했으며 극단의 대표이기도 한 민준호 역시 과거 무용을 배우고 펼쳤을 정도로 움직임에 대한 관심이 크지만 <뜨거운 여름>의 놀라운 움직임들은 배우이자 안무가로 활약 중인 심새인의 힘이 컸음을 짐작하게 한다. 친근하고 사실적인 설정과 대사들이 배우들의 호흡 속에 차지게 살아나지만, 배우들의 몸과 몇 개의 소품들로 생성되고 소멸하며 또 변형되는 시공간을 만나는 것이 바로 무대에서만 가능한 마법임을 다시 한번 물씬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극단 단원들의 경험이나 주변의 일들을 바탕으로 한 친근하고 사실적인 이야기라는 간다의 장점은 재치 넘쳤던 전개에 비해 다소 허탈하고 급한 결말을 보일 때가 있다. <뜨거운 여름> 역시 마찬가지다. 성인 재희가 등장하는 도입부와 결말은 다소 급해 그 역할을 알아차리기 어렵고, 10대로 소환되어 아름답게 그 시절을 만끽하던 관객들이 다시 과거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마련된 시간은 매우 짧아 당황스럽기까지 하다. 열린 결말은 때론 매듭이 잘 안 지어져 펼쳐진 이야기 자루의 모습을 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뜨거운 여름>이 좋은 작품이라는 것을 부인할 수 없는 것은, 작품에 가득 담겨 있는 간다만의 유난한 장점들이 객석의 많은 박수와 공감대를 이끌어내며 극장 안에서 소통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극단 창단 멤버이자 주인공 재희 역을 맡은 배우 진선규의 활약도 결코 빼놓을 수 없겠다. 그의 투혼에 버금가는 열연은 진선규가 다재다능하며 진실한 배우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게 해줌과 동시에 극단 간다의 앞으로 10년도 기대하게 만들고 있다.
글: 황선아 기자(매거진 플레이디비 suna1@interpark.com)
사진: 플레이디비DB
[ⓒ플레이DB m.play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