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설명

일본의 기쿠바리, 상인정신이 전하는 따뜻한 마음!

<우동 한 그릇>은 “한 그릇의 메밀 국수”란 원제의 우리나라 번역판으로 잔잔한 감동 뿐만 아니라 일본인의 ‘상인 정신’을 배울 수 있다. 한 그릇을 주문한 세 모자에게 주인은 ‘반덩이’의 우동을 얹어 주었다. 왜 ‘반덩이’일까? 전직 문화부 장관인 이어령 교수는 ‘일본인의 상인정신’이란 글에 바로 이 이야기를 전재하면서, 세 모자에게 150엔을 받고 우동 1인분에 반덩이를 더 얹어 주는 그 정신, 상도(商道)에 어긋나지 않으면서도 인정이 살아있는 상인의 정신이 바로 일본을 경제 대국으로 이끈 정신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섣달 그믐날이면 우동을 먹는 풍습을 지킴으로써 남편 없이 키우는 아들들에게 힘과 용기를 주려고 했던 과부는, 바로 일본인의 상인 정신에 힘입어서 미래의 성공을 기약할 수 있었던 것이다. 모두를 살리는 ‘상도(常道)’ 바로 그것이 일본의 힘이며, 더불어 우리의 경제를 되살릴 수 있는 정신이기도 하다.

또 이렇게 손님을 배려하는 상인의 마음은 일본의 “기쿠바리”라고 할 수 있는 데, 이것을 우리말로 하자면 배려에 가깝고, 실질적인 뉘앙스로는 눈치에 가까운 말이다. 이 눈치라는 말은 일본의 경우에는 자발적으로 자기 쪽에서 신경을 써주는 적극적인 윤리 범주에 들어가는 말이다. 쉽게 말하면 장사하는 사람들이 손님에게 물건을 팔 때의 서비스 정신 그리고 물건을 만드는 장인이 그것을 사용하는 소비자를 생각하는 마음이 기쿠바리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이야기의 경우, 왜 그 여자 손님이 하필 남이 문을 닫을 시각에 ‘북해정’에 나타났는가 하는 것을 풀어 주는 낱말이 바로 이 “기쿠바리”인 것이다. 또한 손님들이 다 가고 없는데도 그 여인은 “저, 우동 1인분인데 괜찮을까요?”라고 머뭇거리며 이야기 하고 엄마 뿐 아니라 우동 1인분을 주문할 때 형제의 표정 에는 겸연쩍어 하는 빛이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표 정, 말투, 몸짓, 그것을 한마디 말로 나타낸 것이
“기쿠바리‘이다. ”기쿠바리“는 섬세한 상호 관계를 통해서만 가능하고 그 균형을 이룰 수 있다. 그러므로 자연히 이 ”기쿠바리“의 연출은 기쿠바리를 하고 있다는 사실 까지도 눈치 채게 해서는 안 된다. 그렇게 되면 사회적 연출이 붕괴 된다.

이 인간관계에서“기쿠바리”가 없었다면<우동 한 그릇>은 태어나지 않았다.

줄거리

한 그릇의 우동으로 힘과 용기를 얻었던 세 모자,
추억의 우동 집,<북해정>에 다시 찾아오다.

<북해정>이라는 작은 우동 집은 해마다 12월 마지막 날이 되면 손님들로 붐빈다. 가게가 문을 닫을 무렵, 그곳에 남루한 차림의 세 모자가 들어와서 단 한 그릇의 우동으로 배를 채우고 간다. 그 후에도 12월 마지막 날이 되면 세 모자는<북해정>을 찾고,
다정하고 따뜻한 그들의 모습에 주인은 보이지 않는 배려를 아끼지 않는다.

시간이 흘러 다음 해 12월 마지막 날, 주인은 우동을 먹으러 올 세 모자를 기쁜
마음으로 기다리지만 그들은 나타나지 않았고, 이후 몇 년이 지나도 그들은 <북해정>에 다시 오지 않았다. 안타까운 마음으로 이들 모자를 기다리는 주인은 그들의 자리를 언제나 비워뒀고, 이러한 사연은 단골들 사이에서 화제가 된다. 그저 추억으로 세 모자에 대한 기억이 남겨질 무렵, 그들은 다시 우동 집에 나타난다.

두 아들은 장성한 청년의 모습으로, 그리고 엄마는 제법 말쑥해진 모습으로...
이제 그들은 한 그릇의 우동이 아닌, 떳떳한 세 그릇의 우동을 시켜 놓는다.
그리고 우동 집 주인이 베풀어 주었던 따뜻한 배려와 마음에 대해 고마움을 전한다.
그렇게<북해정>의 섣달그믐은 훈훈함으로 젖어간다.